[교육학]다양한 비행이론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학]다양한 비행이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아노미 이론
1. 뒤르케임
2. 머튼

하위문화 이론
1. 하위문화의 의미
2. 하위문화이론 유형

사회통제론
1. 사회통제론의 의미
2. 사회통제론의 유형

차별 접촉이론
1. 차별 접촉이론의 개념

낙인 이론
1. 낙인이론의 개념
2. 낙인이론의 특징
3. 낙인의 과정

본문내용

면, 즉 사회통제가 개인에게 영향력을 행사하지 못하면, 거의 자동적으로 일탈행위가 발생한다고 보고 있다. 이와 같은 주장은 Merton의 아노미이론과 정반대의 논리이다. 아노미이론은 특수한 계층의 사람들에게는 사회가 구조적인 긴장(strain)을 행사하여 비행을 하도록 한다고 주장하는데 반하여, 사회유대 이론은 역으로 비행을 저지르도록 강요하는 긴장은 없으며 오히려 저지르지 못하게 하는 요인 즉, 유대만이 존재한다고 본다.
차별 접촉이론
1. 차별 접촉이론의 개념
비행 및 범죄의 과정에 일차적인 관심을 갖고 있는 차별 접촉이론(differ-ential association theory)을 전개한 사람은 현대 범죄학의 아버지로 일컬어지는 E.H. Sutherland이다.
차별 접촉이론을 한마디로 줄인다면, 범죄행위도 일반행위와 마찬가지로 배워서 한다는 것이다. 배우는 내용은 범죄기법 뿐 아니라 범죄(또는 법)에 대한 태도가 포함된다는 것이다. 즉, 법을 위반하는 것이 나쁘다라고 배우면 범죄를 하지 않게 된다는 것이며, 위반하는 것이 나쁘지 않다라고 배우면 위반하게 된다는 거의 순환논리(tautology)에 가까운 단순한 이론이다. 범죄자가 범죄를 저지르는 것은 범죄행위 즉 법을 위반하는 것은 나쁘지 않다고 배웠고 따라서 범죄기법을 배워 소집단내에서 개인끼리 상호작용을 통해 배우는데, 법에 대한 우호적인 태도와 비우호적인 태도를 \"차등적\"으로 개인과의 \"접촉\"을 통해 배운다는 것이다. 즉 범죄자는 비우호적인 태도를 우호적인 태도보다 더 많이 배웠고, 역으로 비범죄자는 우호적인 태도를 더 많이 배웠다는 것이다. 차별접촉이론의 기본명제는다음과 같다.
(1) 범죄행위는 학습된다.
(2) 범죄행위는 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 타인과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된다.
(3) 범죄행위에서 학습되는 중요한 부분은 친밀한 개인적 집단내에서 일어난다.
(4) 범죄행위가 학습될 때 그 학습내용은 두 가지가 있다. 그 하나는 복잡하든지 단순하든지 간에 범죄하는 기법이고, 다른 하나는 동기 욕구 합리화 및 태도에 관한 특정한 방향이다.
(5) 동기와 욕구의 특정한 방향은 법을 우호적(favorable)으로 정의하는가 또는 비우호적으로 정의하느냐에 따라 학습된다.
(6) 법에 대한 비우호적인 정의가 우호적인 정의보다 더 클 때 범죄자가 된다.
(7) 차별적 접촉은 빈도 지속기간, 우선성(Prlority), 강도에 따라 다르다.
(8) 범죄행위를 배우는 과정은 다른 행위를 배우는 과정과 같다.
(9) 범죄행위도 욕구와 가치의 표현이란 점에서 다른 일반적인 행위와 같다.
차별접촉이론이 비행에 관한 단순한 논리에도 불구하고 Sutherland 이론이 대단히 평가되는 것은 차별적 접촉이론이 범죄화 과정에 관한 효시적 이론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과정의 설명에서도 구체적 단계를 언급하지는 않았고, 그 내용도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은 공리적 이론(axiomatic theory)의 성격을 띠고 있다.
낙인 이론
1. 낙인이론의 개념
일탈행동 과정을 다룬 대표적인 이론은 낙인이론(labelling theory)이다. 낙인이론의 두드러진 특징은 과정에 일차적인 관심을 가졌다는 점뿐만 아니라, 지금까지의 일탈행동 원인론과는 달리 일탈행동 대하여 상대적 입장을 취한 점이다. Backer는 어떠한 행위가 범죄인가 아닌가는 그 행위의 내재적 속성(intrinsic quality)에 따라 정의되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이 범죄라는 낙인을 찍은 행위”라고 규정한다. 따라서 비행자란 그러한 낙인이 성공적으로 적용된 자이며 그 집단에서 국외자(outsider)가 된다는 것이다.
2. 낙인이론의 특징
일탈행동에 대한 상대적 접촉을 강조하는 낙인이론은 크게 둘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첫번째는 낙인이 원인이 되어 후속되는 비행 및 범죄가 일어나는 과정에 관심을 갖는 입장이고, 다른 하나는 어떠한 행위가 일탈로 낙인지워지기 쉬운가 또는 누가 일탈자로 낙인지워지기 쉬운가 하는 물음으로서 낙인을 결과로 보는 입장이 있다.
낙인이론자들의 관심은 왜 사람이 범죄를 저지르는가에 대해서 크게 문제시하지 않는다. Becker가 주장한 바와 같이 그것은 다양한 맥락 속에서 다양한 이유 혹은 충동(random impulse)이 원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낙인이론가들의 관심은 비행행위에 관심을 두기보다는 비행을 지속적으로 하는 사람(career deviant)에 관심을 둔다. 즉 왜 사람이 비행이라고 낙인지워진 행위, 사회적으로 거부된 행위이며 그 결과로 여러 불이익이 수반되는 행위를 지속적으로 하는가에 관심을 갖는다.
3. 낙인의 과정
Becker는 일탈자라는 낙인은 하나의 사회적 지위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고 주장하며, 개인이 갖고 있는 여러 지위 중 대표되는 지위(master status)가 된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A라는 사람이 회사원이며 어느 club의 회원이며 자식들에게는 아버지, 부인에 대하여서는 남편이라는 복수의 사회적 지위를 갖고 있으나 그가 어떠한 이유에서든지 범죄자라고 성공적으로 낙인지워진다면, 그가 갖고 있는 다른 제 지위보다도 범죄자라는 지위가 그를 대표한다는 것이다. 범죄자라는 대표지위를 갖게 되면 처음에는 인정을 하지 않지만, 계속적인 사회적 반응(social reaction)은 그로 하여금 스스로 범죄자라는 자아개념을 갖게 만든다. 이와 같이 사회적 반응으로 인하여 범죄자라고 스스로 인정하게 되면 그 사람은 제2의 범죄를 저지르게 된다고 Lemert는 주장한다.
일차적 범죄(primary deviance)는 다양한 맥락에서 일어날 수 있으나 이차적 범죄(secondary deviance)에 가장 중요한 원인은 다름 아닌 낙인이 된다는 것이다. 이는 마치 대학교수가 자기에게 기대되는 역할 즉, 가르치고 글을 쓰는 역할을 하듯, 범죄자라고 낙인 지워진 사람은 자기에게 기대되는 역할 즉 범죄를 저지른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대학교수가 그에게 기대되는 역할을 하지 않으면 제재(sanction)가 가해지듯 범죄자로 낙인 지워진 사람은 그에게 가해지는 여러 가지 위협 및 불이익을 피하기 위해서 범죄를 저지른다는 것이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23.03.04
  • 저작시기2015.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994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