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내담자도 정서적으로 안정되어 대인관계에 대한 두려움이 해소된 경우, 집단미술치료에 참여하는 것이 좋다. 집단미술치료는 집단활동을 통해 정서적 유대감과 소속감을 경험하고 집단원과 교류를 통해 자신의 문제를 새로운 각도에서 볼 수 있으며 사회적 기술 등을 배울 수 있다. 즉, 대인 관계 양식과 사회기술 양식을 학습하고 실험해보는 경험 제공한다. 집단의 크기는 집단 구성원의 특성과 치료목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6~12명 정도 제안한다. 단, 장애아동의 경우 4명 정도가 적절할 수 있다. 가족미술치료는 내담자의 문제가 내담자 자신의 문제이기보다 전 가족의 문제라는 전제하에 실시하며, 개인이나 집단의 형태보다 가족이 왔을 때 더 빠른 변화효과를 가져올 수 있고, 변화의 지속시간이 길다는 전제하에 실시한다. 특히 애착문제가 있는 아동, 장애아동의 경우 가족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효과적이다.
5)문제행동지도에 대한 중재에 부모와 교사도 포함하면 치료적인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대처방안으로 문제행동이 발생하면, 무시, DRA(Differential reinforcement of alternative behavior, 대체행동 차별강화), DRI(Differential Reinforcement of Incompatible Behavior, 상반행동 차별강화)를 제공하면 문제행동이 감소할 수 있다.
6)내담자가 원하는 매체를 선택하는 비구조적 미술치료가 있고, 사전에 치료사가 치료회기와 미술매체를 선정하여 미술치료 프로그램 구성하는 구조적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있다. 내담자의 특성에 맞는 미술매체 및 기법 활용한다.
5)문제행동지도에 대한 중재에 부모와 교사도 포함하면 치료적인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대처방안으로 문제행동이 발생하면, 무시, DRA(Differential reinforcement of alternative behavior, 대체행동 차별강화), DRI(Differential Reinforcement of Incompatible Behavior, 상반행동 차별강화)를 제공하면 문제행동이 감소할 수 있다.
6)내담자가 원하는 매체를 선택하는 비구조적 미술치료가 있고, 사전에 치료사가 치료회기와 미술매체를 선정하여 미술치료 프로그램 구성하는 구조적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있다. 내담자의 특성에 맞는 미술매체 및 기법 활용한다.
추천자료
미술치료의 창조성
체육과(체육교육) 교육과정의 이론적 배경과 구성체제, 초등학교 체육과(체육교육)의 교수학...
미술과(미술학습, 미술교육)의 목표, 미술과(미술학습, 미술교육)의 내용구성, 미술과(미술학...
미술치료 대상자와 미술치료에 요구되는 조건, 미술치료사의 태도와 자세
제7차 미술과교육과정의 성격과 목표, 제7차 미술과교육과정 구성중점, 제7차 미술과교육과정...
보육과정의 필요성과 영역
★보육과정의 두 가지(성숙주의, 행동주의)접근법 비교분석 및 표준보육과정의 영역별 보육목표★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따른 교수-학습 방법
3월4주 일일보육계획안 (평가인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