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자기분화와 삼각관계, 만성불안, 핵가족 정서체계와 가족투사과정
2) 보웬의 가족치료모델과 나의 일상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2. 본론
1) 자기분화와 삼각관계, 만성불안, 핵가족 정서체계와 가족투사과정
2) 보웬의 가족치료모델과 나의 일상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고받기를 원했다. 불안도 높은 편이라 자녀가 외출했을 때 일정한 시간에 꼭 연락을 해서 위치를 확인하고 함께 있는 친구들의 연락처를 확인하는 등의 행동을 보이기도 했다. 보웬의 가족치료모델을 적용해봤을 때, 아마도 원가족의 어머니가 남편으로 인해 고생한 것이 강렬하고 불안한 기억으로 남아 자녀가 고생시키는 이성을 만나지는 않을지, 힘든 일을 경험하지는 않을지 염려되어 원가족으로부터 정서적으로 분화되지 않은 행동을 보인 것으로 추측된다.
3. 결론
보웬의 다세대가족치료모델을 접하기 전까지는 주 양육자 한 사람과의 관계와 어린 시절 형성된 가족 관계의 양상만을 중요하다고 생각했는데 부모의 원가족과 혹은 그 이상의 세대로부터 특정한 형태의 정서와 의사소통방식이 투사되고 전달되는 체계가 존재한다는 사실이 흥미로웠다. 또한 현재 개인에게 나타나는 어떠한 심리적인 문제와 갈등이 개인의 잘못이나 부모의 영향만이 아니라 굉장히 오랜 시간동안 다양한 사람들로부터 영향을 받아 형성된 것이라고 설명하기 때문에 개인의 죄책감이나 부담, 책임을 덜어준다는 면에서 가족상담을 진행할 때 긍정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모델이라고 여겨진다. 하지만 내담자 개인이 원가족이나 그 이상 세대의 정보를 잘 알지 못하거나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실제로 적용하기는 어려운 모델로 보인다. 특히 심각한 갈등으로 인해 원가족으로부터 물리적으로나 정서적으로 완전히 단절되어 오랜 기간 교류가 일어나지 않은 경우, 내담자가 원가족의 이야기를 하고 싶지 않거나 상담자에게 공개하기 어려운 경우, 트라우마로 인해 진술이 어려운 상황에도 치료모델의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렵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문정화(2017), 가정폭력 피해 결혼이주여성의 가족치료 사례연구: 단독으로 상담에 참여한 중국출신 여성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vol 55(55), 91-128, 한국가족복지학회.
박태영, 박소영(2019), 여성 가정폭력 행위자 가족상담 사례 연구: Bowen 가족치료모델의 관점을 중심으로, 복지상담교육연구, vol 8(1), 183-209,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박태영, 유진희(2012), 자해행동을 하는 자녀에 대한 가족치료 사례연구, 가족과 가족치료, vol 20(2), 225-251, 한국가족치료학회.
정성경(2020), 한국사 트라우마를 경험한 가족의 보웬가족치료 사례, 교육치료연구, vol.12(3), 333-349, 한국교육치료학회.
3. 결론
보웬의 다세대가족치료모델을 접하기 전까지는 주 양육자 한 사람과의 관계와 어린 시절 형성된 가족 관계의 양상만을 중요하다고 생각했는데 부모의 원가족과 혹은 그 이상의 세대로부터 특정한 형태의 정서와 의사소통방식이 투사되고 전달되는 체계가 존재한다는 사실이 흥미로웠다. 또한 현재 개인에게 나타나는 어떠한 심리적인 문제와 갈등이 개인의 잘못이나 부모의 영향만이 아니라 굉장히 오랜 시간동안 다양한 사람들로부터 영향을 받아 형성된 것이라고 설명하기 때문에 개인의 죄책감이나 부담, 책임을 덜어준다는 면에서 가족상담을 진행할 때 긍정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모델이라고 여겨진다. 하지만 내담자 개인이 원가족이나 그 이상 세대의 정보를 잘 알지 못하거나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실제로 적용하기는 어려운 모델로 보인다. 특히 심각한 갈등으로 인해 원가족으로부터 물리적으로나 정서적으로 완전히 단절되어 오랜 기간 교류가 일어나지 않은 경우, 내담자가 원가족의 이야기를 하고 싶지 않거나 상담자에게 공개하기 어려운 경우, 트라우마로 인해 진술이 어려운 상황에도 치료모델의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렵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문정화(2017), 가정폭력 피해 결혼이주여성의 가족치료 사례연구: 단독으로 상담에 참여한 중국출신 여성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vol 55(55), 91-128, 한국가족복지학회.
박태영, 박소영(2019), 여성 가정폭력 행위자 가족상담 사례 연구: Bowen 가족치료모델의 관점을 중심으로, 복지상담교육연구, vol 8(1), 183-209,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박태영, 유진희(2012), 자해행동을 하는 자녀에 대한 가족치료 사례연구, 가족과 가족치료, vol 20(2), 225-251, 한국가족치료학회.
정성경(2020), 한국사 트라우마를 경험한 가족의 보웬가족치료 사례, 교육치료연구, vol.12(3), 333-349, 한국교육치료학회.
추천자료
(심리학에게묻다, 공통) Murray Bowen에 의해 발전된 다세대가족치료 모델은 되물림되는 가족...
(심리학에게묻다 1공통) 다세대가족치료의 주요개념인 자기분화와 만성불안의 원리, 삼각관계...
심리학에게묻다 2022 Murray Bowen에 의해 발전된 다세대가족치료 모델의 주요개념인 자기분...
심리학에게묻다 2022] Murray Bowen에 의해 발전된 다세대가족치료 모델은 되물림되는 가족의...
심리학에게묻다 2022] Murray Bowen에 의해 발전된 다세대가족치료 모델은 되물림되는 가족의...
심리학에게묻다 2022년 Murray Bowen에 의해 발전된 다세대가족치료 모델은 되물림되는 가족...
[2022 심리학에게묻다] Murray Bowen에 의해 발전된 다세대가족치료 모델은 되물림되는 가족...
심리학에게묻다 [2022] Murray Bowen에 의해 발전된 다세대가족치료 모델은 되물림되는 가족...
심리학에게묻다 = ) 다세대가족치료의 주요개념 자기분화와 만성불안의 원리 삼각관계 핵가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