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과건강 2023] 1. 운동, 식생활 등 다양한 측면에서 자신의 생활습관 점검한 후 특징 기술, 대사증후군을 예방 또는 관리하기 위한 구체적 실천방안 2. 75세 박씨, 119에 구조를 요청한 후 전문구조요원이 도착할 때까지 응급처치, 필요한 응급처치 기술하고 시행방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생활과건강 2023] 1. 운동, 식생활 등 다양한 측면에서 자신의 생활습관 점검한 후 특징 기술, 대사증후군을 예방 또는 관리하기 위한 구체적 실천방안 2. 75세 박씨, 119에 구조를 요청한 후 전문구조요원이 도착할 때까지 응급처치, 필요한 응급처치 기술하고 시행방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일상생활 속 사소한 습관은 건강에 영향을 미치며 질병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운동, 식생활 등 다양한 측면에서 자신의 생활습관을 스스로 점검한 후 그 특징을 기술하고, 대사증후군을 예방 또는 관리하기 위한 구체적 실천방안을 작성하시오(20점).
1) 운동, 식생활 등 다양한 측면에서 자신의 생활습관을 스스로 점검한 후 그 특징을 기술
2) 대사증후군을 예방 또는 관리하기 위한 구체적 실천방안을 작성
2. 75세 박씨가 식사 도중 얼굴이 붉어지면서 안절부절 못하고 있다. 함께 식사하던 가족은 박씨에게 기침하여 이물질을 뱉어내도록 유도하였으나 좀처럼 이물질이 배출되지 않아 즉시 119에 구조를 요청한 후 전문구조요원이 도착할 때까지 응급처치를 하고자 한다. 이때 필요한 응급처치가 무엇인지 기술하고 그 시행방법을 상세히 기술하시오(10점).
1) 기도폐쇄
2) 응급처치 시행방법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자가 비만이나 임산부일 경우
환자가 매우 비만하거나 임신 말기여서 환자의 복부를 팔로 감쌀 수 없는 경우에는 가슴 압박을 한다. 가슴 압박은 다음과 같이 실시한다.
① 환자를 서게 하거나 앉힌 뒤 환자 뒤에 서서 팔을 환자의 겨드랑이에 끼고 가슴을 감싼다. 주먹의 엄지손가락 쪽을 흉골 중앙 부위에 댄다. 주먹이 늑골 위나 흉골 아래 끝 가까이 놓이지 않도록 주의한다.
② 다른 손으로 주먹을 잡고 빠르게 수평으로 압박을 한다.
③ 환자가 의식을 잃는 경우에는 중단한다.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가슴 압박은 한 번씩 확실하게 시도해야 함을 유념해야 한다. 이윤원(2004). 기도 폐쇄시 응급 처치 요령. 대한적십자사.
(4) 환자 혼자 있을 때의 경우
기도가 막혔을 때 주위에 도와줄 사람이 없으면 혼자서 복부 밀쳐 올리기를 실시한다. 한 손은 주먹을 쥐고 엄지손가락 부분이 배꼽 바로 위와 흉골 끝 사이의 복부 중앙에 오도록 한 후 다른 손으로 주먹을 잡고 빨리 밀쳐 올린다. 또는 몸을 앞으로 숙이고 의자 등받이·씽크대 난간과 같이 딱딱한 것으로 복부를 누를 수도 있다. 이때 주의할 점은 끝이 뾰족한 것이나 모서리에 몸을 숙이면 상처를 입을 수 있으니 잘 살펴봐야 한다. 이윤원(2004). 기도 폐쇄시 응급 처치 요령. 대한적십자사.
(5) 손가락으로 이물제거 할 경우
① 의식이 없는 부상자에게만 실시한다.
② 엄지와 검지를 이용하는 수지교차법을 이용 입을 벌린다.
③ 이물이 보이고, 잡힐 경우 제거하며, 이물이 안으로 더 들어갈 수 있을 것 같은 경우에는 실시하지 않는다. ※모든 응급처치는 대상에 따라 달라짐을 유념한다. 이윤원(2004). 기도 폐쇄시 응급 처치 요령. 대한적십자사.
Ⅲ. 결론
대사증후군(Metabolic Syndrome)은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저고밀도지 단백증, 복부 비만 등과 같이 우리 몸의 대사에 영향을 주는 위험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증상을 말한다.
나의 생활습관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나는 불규칙한 식습관을 가지고 있고, 운동량도 적은편이다. 과음할 때도 자주 있어 문제다.
대사증후근을 예방하기 위한 실천방안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식생활관리이다. 하루 세끼 식사를 규칙적으로 제시간에 한다. 균형 잡힌 식생활을 한다. 인스턴트 음식 먹지 않고, 야참 먹지 않는다. 탄수화물을 적게 먹는다. 기름기가 적은 단백질과 야채를 풍부하게 섭취한다.
둘째, 운동요법이다. 퇴근시간에 버스 두 정류장정도 걷기운동하기, 주말에 자전거타기 운동하기, 사무실에서 중간 중간에 가볍게 운동하기이다.
셋째, 과음관리이다. 술을 끊어야 할 이유 적고, 음주의 목표를 세우고, 음주일지를 기록한다.
기도폐쇄에 의한 호흡곤란은 해부학적·물리적인 원인에 의해 기도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막혀 호흡할 수 없는 상태를 말한다. 갑작스러운 호흡곤란 환자에게 기도폐쇄 소견이 보이면 즉시 응급처치를 시행하여야 한다. 환자가 기침, 청색증, 말하거나 숨쉬기 힘든 호흡곤란 등의 증상을 보이거나 자신의 목을 움켜잡는 징후를 보이면 환자에게 “목에 뭐가 걸렸나요?”라고 물어보아, 환자가 말을 하지 못하고 고개를 끄덕인다면 심각한 상태의 기도폐쇄로 판단하고 즉각적으로 처치를 해야 한다.
기도폐쇄 시 시행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의식이 있는 경우 하임리히법을 시행한다. 둘째, 의식이 없는 경우에는 심폐소생술을 시행한다. 셋째, 환자가 비만이나 임산부일 경우 가슴압박을 한다. 넷째, 환자가 혼자 있을 경우 혼자서 복부 밀쳐 올리기를 실시한다. 다섯째, 손가락으로 이물제거 할 경우, 수지교차법을 이용 입을 벌린다. 이물이 보이고, 잡힐 경우 제거하며, 이물이 안으로 더 들어갈 수 있을 것 같은 경우에는 실시하지 않는다.
과제를 수행하면서 나의 생활습관 살펴보고, 대사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한 실천방안을 마련해 보았다. 그리고 음식물로 인한 기도폐쇄 시 응급처치 시행방법에 대해 공부해보는 소중한 시간이었다고 생각된다.
Ⅳ. 참고문헌
정성희,박영숙(2020). 생활과건강.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이윤원(2004). 기도 폐쇄시 응급 처치 요령. 대한적십자사.
질병관리청, 대한심폐소생협회(2021). 2020년 한국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 질병관리청, 대한심폐소생협회.
신은정(2009). LPL 효소의 PvuⅡ 유전자 다형성이 한국형 대사증후군 발병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홈페이지.
대한의학회 홈페이지.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3.03.17
  • 저작시기2023.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007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