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의 대외교역량 증대의 방법은 무엇일까요 ]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 한국의 대외교역량 증대의 방법은 무엇일까요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수요와 공급 균형
2) 양적성장보다 질적 성장으로
3) 국내외 흐름과 위기 속에서 무한무역으로 전환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세계의 부가 국내의 부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공급만큼 수요도 필요함에 따라 비교경쟁력이 적은 것은 무역으로 받아들여 불필요한 비용낭비를 줄이고, 물가상승을 방어하는 장점으로 활용해야 한다. 동시에 곡물과 같은 국가안보와 관련된 품목은 내수시장을 어느 정도 보호해야 한다.
둘째, 원자재를 들여와 재가공하여 수출품목이 현재 한국의 무역산업의 중심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무한무역인 K-컬쳐 콘텐츠의 인기에 따라 한국의 브랜드 가치가 올라가면서 부수적으로 화장품, K-푸드의 대외무역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더이상 유한무역의 양적 성장보다는 이제는 질적 성장으로 대외무역량을 늘려나가야 한다.
셋째, 2045년에는 앞으로의 흐름이 물건을 소비보다는 공유의 시대, 4차산업혁명의 시대로 접어든다는 유엔미래보고서 결과가 있다. 더이상 눈에 보이는 물건의 가치소비가 줄어든다는 이야기이다. 또한, 코로나 전염병의 후폭풍으로 인플레이션 경제불황과 인력의 기계 대체로 대기업의 구조조정이 진행될 예정이다. 국내는 저출산으로 국가존망이 달린 상황이다. 따라서 유한무역의 활기와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운영이 지금과 같으리라는 보장이 없다. 이와 같은 흐름을 타고 1인기업이 늘어날 전망이다. 유한무역과 무한무역의 교차점에서 한국 브랜드 가치를 올려 물품교역량을 늘리는 역할을 한동안 하다가 소비가 줄어드는 시점에서 음악, 영화와 같은 콘텐츠영역의 대외무역교류로의 파도를 타야한다. 이에 1인기업은 알 수 없는 변화에 유동적이게 대처하고, 1인 1미디어의 세분화되고 섬세한 욕구를 충족시켜줄 무역의 새길이라 여긴다. 따라서 정부는 새로운 산업양성뿐만 아니라 새로운 시대의 안팍 흐름에 따라 대내외 무역의 새항로를 개척해야 한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New Venture Strategies,Vesper,K. H., Prentice-Hall, Englewood Cliffs, NJ, 1980
무역학개론, 강태구·김태기·박복재, 무역경영사,2012
무역전략론, 임성범, 원, 2011
유엔미래보고서 2045, 박영순·제롬글렌, 교보문고, 2015
최태성 한국사 수업, 최태성, 메가북스, 2018
1) 2022년 무역경기확산지수, 무역통계분석, 월간동향분석, 수출입무역통계, 4p
2) 2022년 수출입 평가 및 2023년 전망, 2022년 31호 연구보고서, 한국무역협회, 홍지상·김꽃별·김아린·조의윤·도원빈·이유진, 2022년 6p, 24p, p47
4) 연도별 반도체 수출비중, 관세청, 10대 수출입 품목, e-나라지표
5) 최신무역학원론, 오수균·오병석, 두남, 2012, p29~p30
6) 지난해 화장품 수출실적 10조 5,099억 역대 최고, 무역수지 흑자 9조 첫 돌파, 김대환 기자, cosinkorea, 2022년 7월 7일
7) 세계로 뻗어나가는 k-푸드 사상처음으로 수출 100억달러, 김하연 기자, 코리아넷뉴스, 2022년 1월 6일
8) 요소가격균등화정리, 매일경제용어사전
9) 중소기업 10대수출품목순위, 알림소식, 보도자료, 중소벤처기업부

키워드

  • 가격2,8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3.03.17
  • 저작시기2023.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008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