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영화산업과마케팅] 1. 영화와 MPR(Marketing Public Relations)의 관계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시오. 2. 영화에 미치는 흥행 요인을 3가지 이상 열거하고 각각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시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2023 영화산업과마케팅] 1. 영화와 MPR(Marketing Public Relations)의 관계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시오. 2. 영화에 미치는 흥행 요인을 3가지 이상 열거하고 각각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영화와 MPR(Marketing Public Relations)의 관계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시오.
    1) 영화와 마케팅의 개요
    2) MPR(Marketing Public Relations)의 개요
    3) 영화와 MPR의 관계
  2. 영화에 미치는 흥행 요인을 3가지 이상 열거하고 각각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시오.
    1) 마케팅 PR
    2) 상상과 창의력
    3) 기획컨셉
    4) 스타이미지와 컨셉
    5) 홍보 마케팅

Ⅲ. 결 론

Ⅳ. 참고 문헌

본문내용

의 절반은 독창적인 아이디어에서 출발한다. 실제 윤제균 감독의 히트작 <색즉시공>도 시나리오 대신 A4 용지 1~2장에 적은 아이템만으로 투자사와 계약을 체결했다고 한다.
실제로 지금까지 흥행 성공한 작품들을 보면 <엽기적인 그녀>에서 <조폭마누라>, <달마야 놀자>, <집으로>, <나쁜남자>, <동갑내기 과외하기>에 이르기까지 무언가 일상적인 코드 속에 담겨진 비일상적인 요소를 신선한 감각으로 끌어낸 기획마인드가 창출해 낸 것이다.
4) 스타이미지와 컨셉
영화의 흥행에서 중요한건 스타 자체가 아니다. 얼마만큼 그 작품에 잘 어울리는 캐릭터이냐가 관건이다. 곽경택 감독의 빅히트작 <친구>의 유오성이 대표적인 예이다. 단선적이며 정형화된 캐릭터에 불과했던 유오성은 <친구>에서 우정과 의리를 아는 건달 역을 맡으며 일약 톱스타의 자리에 올랐다. 그가 최고의 개런티를 갱신한 <별>의 주연으로 출연했지만, 장형익 감독의 <병>은 흥행에서 참패하고 말았다.
영화배우로 장동건은 데뷔 당시 그다지 관객 동원력이 없었다. <인정사정 볼 것 없다>의 흥행도 이명세 감독의 연출력과 박중훈의 카리스마 덕분이었지, 장동건의 힘은 아니었다. 하지만 <친구>에서의 변신을 통해 그는 훨씬 더 폭넓은 연기자로 거듭나면서 흥행배우로서 자리 잡아갔던 것이다. 조폭 캐릭터의 강렬함과 카리스마가 결합함으로써 영화에 강한 인상을 심어준 한편, ‘어떤 영화를 볼 것인지’ 망설이는 관객들에게 확실하게 어필한다. 이처럼 스타와 캐릭터의 완벽한 조합이 흥행을 낳는 것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지만 21세기라는 대표주자인 영화산업을 통해 그들은 한국영화를 주도해 나가는 스타로 통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영화의 흥행을 결정하는 요인으로는 스타의 이미지와 영화의 기획에 있어 얼마나 영화에 캐릭터가 부합하는가 하는 등의 요인이 크게 작용한다는 것을 알아볼 수 있었다.
5) 홍보 마케팅
거대자본이 투여된 대작 영화일수록 흥행에 대한 리스크부담이 상대적으로 커진다. 개봉 초반부터 관객들의 시선을 단 한 번에 사로잡지 못하면 손익분기는커녕, 쪽박을 면치 못하는 신세로 전락하고 만다. 사실 개봉 첫 주부터 최다 극장 스크린 수를 확보에, 최다 관객동원 수를 끌어올리기 위해선 광역적인 ‘와이드 릴리스’라는 개봉전략으로 초전에 기선을 제압하려는 것이다.
각종 홍보프로모션과 선전광고를 통해 전국 200여 개 스크린 동시개봉이란 말도 이젠 다반사로 발생하는 멀티플렉스 전성시대가 아닌가. 이른바 멀티플렉스 형태의 극장들이 대거 등장하면서 한 극장에서 동시에 10여 편 전후의 영화를 동시에 상영하는 것이 가능해진 것이다.
199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한국 영화는 개봉을 위한 프린트 수가 평균 30~40벌만으로도 충분했지만, 지금은 상황이 다르다. 최다스크린 확보가 영화 흥행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만큼, 영화사 입장에서 보자면 200여 개의 스크린으로도 모자랄 지경이다.
예컨대, 2001년 최고의 히트작 <친구>처럼 전국 200여 극장 동시개봉이라고 한다면 적어도 200벌 이상의 영화 프린트가 필요하다. 게다가 홍보용 예고편의 경우 300벌 이상의 프린트를 공급해야 한다. 통상적으로 러닝타임 100분가량의 개봉작 프린트 1벌을 배급하는데 들어가는 총 배급경비는 약 250만 원 정도이다.
그렇다면 200여 군데 스크린을 기준으로 했을 때 배급경비만도 5억 원이 소요된다는 계산이다. 개봉작품에 따라선 마케팅비 지출이 전체 총제작비 예산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경우도 있다. 이처럼 한국 영화의 흥행 가도와 함께 급증하는 마케팅 비용 속에서도 이것이 바로 흥행 성공의 법칙이라고 어느 누가 장담할 수 있을 것인가. 제아무리 흥행 보증수표인 스타를 세운다 해도 장르나 절묘한 카피 문구로 잘 포장한다고 해도. 막상 뚜껑을 열어보기 전에는 흥행 성공에 대해선 아무도 보증할 수 없는 노릇이다.
Ⅲ. 결 론
중요한 것은 흥행에 대박 난 영화들은 성공하고 나면 언제나 그랬듯이 어떤 트렌드를 주도한다는 것이다. 또한, 시대적 코드와 맞물리면서 뭔가 나름대로 흥행 성공의 법칙을 가지고 있기 마련이다. 예컨대 곽재용 감독의 <엽기적인 그녀>는 당시 인터넷 세대들의 문화 소비적인 아이콘으로서 ‘엽기코드’를 시의적절하게 잘 포착한 흥행성공작이다.
2001년 최고의 빅 히트작인 곽경택 감독의 <친구>는 학창 시절의 교복 문화와 질박한 사투리를 통해 친구들의 우정과 향수를 자극함으로써 조폭 영화의 새로운 트렌드를 담아냄으로써 관객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실제로 성공한 흥행 영화는 평균제작비의 두세 배 이상을 쏟아부은 할리우드식 대작 영화라기보다는 평균제작비 수준의 기획 영화들인 <친구>, <신라의 달밤>, <가족>, <말아톤>, <마파도>와 같은 작품들이었다. 이들 작품들은 작품의 완성도, 시대적 트렌드에 대한 문화 코드를 바탕으로 기획단계에서 철저한 사전준비를 통해 적절한 예산책정과 달리 프로덕션 단계의 강화로 평균제작비를 약간 웃도는 정도만으로 대성공한 작품들이었다.
대체로 한국 영화의 흥행 공식은 영화의 테마가 명쾌하게 드러난 타이틀을 사용할 것, 퓨전 코믹요소를 최대한 살릴 것, 캐릭터 이미지를 차별화할 것, 관객의 감정선을 자극할 것, 이러한 모든 콘텐츠를 마케팅화 할 것 등으로 요약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아무래도 영화는 모방이나 패러디만의 세계가 아닌 상상력의 싸움이다. 특정 장르의 유행성, 기성의 영화스타만을 기용한 반짝 히트작은 인위적인 프로모션이 필요하지만 새로운 느낌의 역작은 관객 스스로가 몰리면서 흥행 트렌드를 만든다는 사실이다.
Ⅳ. 참고 문헌
1. 강승구ㆍ장일(2015), 영화산업과 마케팅, KNOU Press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2. 한정호(2014), 성공적인 마케팅 PR 전략 (한나래 언론 문화 총서), 한나래.
3. 김혜원(2009), 마케팅 없는 영화 없다 (뉴미디어 시대의 영화 홍보 마케팅 전략), 시아.
4. 양영철(2006), 영화산업, 집문당.
5. 베니 김(2005), 흥행영화엔 뭔가 특별한 코드가 있다 (영화마케팅 불변의 법칙), MJ미디어.
6. 이수범(2005), 영화 마케팅 PR론, 나남.
  • 가격5,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23.03.27
  • 저작시기2023.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018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