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간호력
1) 입원경로
2) 입원 후 실시된 치료
3) 앞으로 예정된 과정
2. 현 건강상태
3. 질병에 대한 기술(Description of Disease)
4. 대상자의 간호과정
(1)초기사정자료(Initial Data, 간호정보조사지):Health assessment, 임상병리적 검사, 주호소.
5. 간호과정
6. 투약
7. 특수치료
8. 참고문헌
1) 입원경로
2) 입원 후 실시된 치료
3) 앞으로 예정된 과정
2. 현 건강상태
3. 질병에 대한 기술(Description of Disease)
4. 대상자의 간호과정
(1)초기사정자료(Initial Data, 간호정보조사지):Health assessment, 임상병리적 검사, 주호소.
5. 간호과정
6. 투약
7. 특수치료
8. 참고문헌
본문내용
흡음을 관찰한다.
⑧흡인을 통해 원활한 객담배출을 돕는다.
부적절한 기도청결은 호흡곤란, 가스교환장애 등을 일으킬 수 있다. 분비물의 원활한 배출을 위해 금기가 아니라면 잦은 수분섭취를 권장하고 가습기를 틀어 분비물을 액화시킨다.
2. Nebulizer의 사용을 통해 기관지의 객담을 묽게 하고 기관지 확장을 돕는다.
- 간호 중재 후 대상자는 기도 내 분비물의 점도가 묽어져 배출이 용이해졌다고 말하였다.
- 호흡 시 천명음이 많이 줄어듦을 알 수 있다.
- 대상자는 기침에 대한 두려움이 감소되어 원활한 기침을 통해 기도 내 분비물 양이 줄어들어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보호자는 흉부물리요법을 통해 대상자의 배액에 도움을 주었다고 말한다.
간호사정
(Nursing assess
ment)
간호진단
(Nursing Dx, Due to/ Realated to)
간호목표
(Goals-objectives, expected outcomes)
간호중재
(Nursing Intervention)
합리적 근거
(Rational)
평가
(Evaluation)
Subjective data
Objective data
2-①“계속 기침하고 가래뱉으니까 힘들어서 식욕도 없어”
2-② 부인이“밥을 가져다줘도 많이 먹지도 않고 금방 수저를 놔버려요..”
2-③ 제공된 식사를 반 이상 남긴다.
2-④ Total protein 수치가 낮다.(6.1gm/dl)
2-⑤ 식사시간에 수면에 취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2# 영양불균형: 영양부족 r/t 식욕부진
장기목표
대상자는 입원기간 내에 식욕을 회복해 균형 잡힌 식사를 한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2일 이내에 식사섭취량이 반 이상일 것이다.
대상자는 4일 이내에 식사시간이 되면 허기를 느끼고 식욕이 증가할 것이다.
① Total protein수치와 수분 전해질 수치를 매일 체크한다.
②식욕증진을 위해 구강위생을 통해 입안의 점액분비물을 제거한다.
③ 식사 1-2시간 전에 간단한 운동을 실시하도록 한다.
④ 식사를 소량씩 6회에 나누어 제공한다.
⑤평소 대상자가 좋아하던 음식을 제공한다.
식사를 방해하는 요인들을 제거함으로써 대상자의 식욕을 증진시킨다.
대상자가 평소 좋아하던 음식을 제공하여 식욕을 증진시킬 수 있다.
체력이 떨어진 폐렴환자에게 고열량, 고비타민, 고단백질 식이를 제공한다.
Total protein수치가 정상으로 돌아온다.(6.5-8.2g/dl)
대상자는 제공된 식사를 거의 남기지 않는다.
- 대상자는 하루에
2600-3000kcal를
섭취한다.
대상자는 먹고 싶은 음식이 생긴다고 말한다.
5) 투약(MEdication and Fluid Administration): 대표 약물 위주로 사진 포함
약품명
(Drug used for the patient/single dose, frequency)
성인의 표준용량
(간단히)
투약목적
(간단히)
약품사진
상품명
성분명
대원아미노필린정 100mg
Aminophylline
1일 300-400㎎(역가) 3-4회 분할투여 경구투여
기도폐쇄성장애에 의한 호흡곤란 등 여러 증상의 완화
이연클래리스로마이신정
Clarithromycin
1일 1회
250mg(역가) 중증 감염증의 경우 1회250mg(역가) 1일 2회 투여
폐렴을 일으키는 원인균을 인체 내에서 제거
지스로맥스정
azithromycin
1일 1회 500mg씩
3일간투여
[총투여량1.5g(역가)]
기관지염, 폐렴 등 하부호흡기 감염증 완화
6)특수치료(Special Treatment) : chest tube, paracentesis 등 처치, 방사선치료 위주
치료형태
(Type of Tx)
치료목표
(Object fo Tx)
대상자
방법
결과, 부작용, 유의사항
진한 화농성 객담을 배출하는 환자에게 흉뷰에 진동법과 타진법으로 배출을 도와준다.
환자가 분비물로 인한 호흡곤란이나 기관지 폐쇄가 일어나지 않는다.
(20--/--/--)Chest pain과 간헐적 Dyspnea를 호소하는 00세 Pneumonia환자
타진법
: 손을 컵 모양처럼 오므려 손목을 이용해 객담이 많은 부위에 적절한 세기로 두드려 속이 빈 깊은 소리가 나도록 한다.
진동법
: 대상자의 흉벽에 간호사의 손을 평평하게 유지시켜 진동을 준다.
결과
- 호흡성 분비물을 묽어져 객담과 분비물의 배출이 용이해진다.
부작용
시행 중 통증이나 호흡곤란을 느끼면 바로 중단한다.
유의사항
늑골골절, 헤파린 투여자, 불안정한 심장상태자에게는 실시하지않는다.
치료형태
(Type of Tx)
치료목표
(Object fo Tx)
대상자
방법
결과, 부작용, 유의사항
Nasal cannula
폐질환 환자 혹은 저산소혈증 환자에게 산소분압을 증진시켜 필요한 산소분압을 유지시켜준다.
(20--/--/-)Chest pain과 간헐적 Dyspnea를 호소하는 00세 Pneumonia환자
대상자를 반좌위를 취하게 한 후 가습용기에 증류수를 넣고 중앙공급체계인 경우 벽에 산소유량계를 꼽는다. 가습용기가 있는 산소장치의 출구와 비강캐뉼라를 연결하고 잘 연결되었는지 확인한다. 그 후 환자의 비강폐색여부를 확인하고, 개방되었으면 코에 산소투여부분을 꼽고 나머지 캐뉼라를 귀에걸고 턱 아래로 가져와 길이를 조절해 고정시킨다.
결과
- 대상자의 PO2수치가 증가한다.
부작용
한번에 6L/min이상 투여할 경우 두통이나 점막건조를 초래할 수 있다.
유의사항
비강폐쇄 환자에게는 사용할 수 없다.
환자의 의식이 명료하며 협조적이어야한다.
7) 참고문헌(refersnces)
- 양선희 외. (2014). 기본간호학Ⅰ. 서울: 현문사
- 양선희 외. (2014). 기본간호학Ⅱ. 서울: 현문사
- 김금순 외. (2014). 성인간호학Ⅰ. 서울: 수문사
- 김금순 외. (2014). 성인간호학Ⅱ. 서울: 수문사
- 김조자 외. (2014). 비판적 사고를 적용한 간호과정. 서울: 수문사
- 양선희 외. (2015). 핵심기본간호수기. 서울: 현문사
(인터넷)
서울대학병원 의학정보실 http://www.snuh.org/pub/infomed/sub01/sub01/
세브란스병원 건강칼럼 http://sev.iseverance.com/
⑧흡인을 통해 원활한 객담배출을 돕는다.
부적절한 기도청결은 호흡곤란, 가스교환장애 등을 일으킬 수 있다. 분비물의 원활한 배출을 위해 금기가 아니라면 잦은 수분섭취를 권장하고 가습기를 틀어 분비물을 액화시킨다.
2. Nebulizer의 사용을 통해 기관지의 객담을 묽게 하고 기관지 확장을 돕는다.
- 간호 중재 후 대상자는 기도 내 분비물의 점도가 묽어져 배출이 용이해졌다고 말하였다.
- 호흡 시 천명음이 많이 줄어듦을 알 수 있다.
- 대상자는 기침에 대한 두려움이 감소되어 원활한 기침을 통해 기도 내 분비물 양이 줄어들어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보호자는 흉부물리요법을 통해 대상자의 배액에 도움을 주었다고 말한다.
간호사정
(Nursing assess
ment)
간호진단
(Nursing Dx, Due to/ Realated to)
간호목표
(Goals-objectives, expected outcomes)
간호중재
(Nursing Intervention)
합리적 근거
(Rational)
평가
(Evaluation)
Subjective data
Objective data
2-①“계속 기침하고 가래뱉으니까 힘들어서 식욕도 없어”
2-② 부인이“밥을 가져다줘도 많이 먹지도 않고 금방 수저를 놔버려요..”
2-③ 제공된 식사를 반 이상 남긴다.
2-④ Total protein 수치가 낮다.(6.1gm/dl)
2-⑤ 식사시간에 수면에 취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2# 영양불균형: 영양부족 r/t 식욕부진
장기목표
대상자는 입원기간 내에 식욕을 회복해 균형 잡힌 식사를 한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2일 이내에 식사섭취량이 반 이상일 것이다.
대상자는 4일 이내에 식사시간이 되면 허기를 느끼고 식욕이 증가할 것이다.
① Total protein수치와 수분 전해질 수치를 매일 체크한다.
②식욕증진을 위해 구강위생을 통해 입안의 점액분비물을 제거한다.
③ 식사 1-2시간 전에 간단한 운동을 실시하도록 한다.
④ 식사를 소량씩 6회에 나누어 제공한다.
⑤평소 대상자가 좋아하던 음식을 제공한다.
식사를 방해하는 요인들을 제거함으로써 대상자의 식욕을 증진시킨다.
대상자가 평소 좋아하던 음식을 제공하여 식욕을 증진시킬 수 있다.
체력이 떨어진 폐렴환자에게 고열량, 고비타민, 고단백질 식이를 제공한다.
Total protein수치가 정상으로 돌아온다.(6.5-8.2g/dl)
대상자는 제공된 식사를 거의 남기지 않는다.
- 대상자는 하루에
2600-3000kcal를
섭취한다.
대상자는 먹고 싶은 음식이 생긴다고 말한다.
5) 투약(MEdication and Fluid Administration): 대표 약물 위주로 사진 포함
약품명
(Drug used for the patient/single dose, frequency)
성인의 표준용량
(간단히)
투약목적
(간단히)
약품사진
상품명
성분명
대원아미노필린정 100mg
Aminophylline
1일 300-400㎎(역가) 3-4회 분할투여 경구투여
기도폐쇄성장애에 의한 호흡곤란 등 여러 증상의 완화
이연클래리스로마이신정
Clarithromycin
1일 1회
250mg(역가) 중증 감염증의 경우 1회250mg(역가) 1일 2회 투여
폐렴을 일으키는 원인균을 인체 내에서 제거
지스로맥스정
azithromycin
1일 1회 500mg씩
3일간투여
[총투여량1.5g(역가)]
기관지염, 폐렴 등 하부호흡기 감염증 완화
6)특수치료(Special Treatment) : chest tube, paracentesis 등 처치, 방사선치료 위주
치료형태
(Type of Tx)
치료목표
(Object fo Tx)
대상자
방법
결과, 부작용, 유의사항
진한 화농성 객담을 배출하는 환자에게 흉뷰에 진동법과 타진법으로 배출을 도와준다.
환자가 분비물로 인한 호흡곤란이나 기관지 폐쇄가 일어나지 않는다.
(20--/--/--)Chest pain과 간헐적 Dyspnea를 호소하는 00세 Pneumonia환자
타진법
: 손을 컵 모양처럼 오므려 손목을 이용해 객담이 많은 부위에 적절한 세기로 두드려 속이 빈 깊은 소리가 나도록 한다.
진동법
: 대상자의 흉벽에 간호사의 손을 평평하게 유지시켜 진동을 준다.
결과
- 호흡성 분비물을 묽어져 객담과 분비물의 배출이 용이해진다.
부작용
시행 중 통증이나 호흡곤란을 느끼면 바로 중단한다.
유의사항
늑골골절, 헤파린 투여자, 불안정한 심장상태자에게는 실시하지않는다.
치료형태
(Type of Tx)
치료목표
(Object fo Tx)
대상자
방법
결과, 부작용, 유의사항
Nasal cannula
폐질환 환자 혹은 저산소혈증 환자에게 산소분압을 증진시켜 필요한 산소분압을 유지시켜준다.
(20--/--/-)Chest pain과 간헐적 Dyspnea를 호소하는 00세 Pneumonia환자
대상자를 반좌위를 취하게 한 후 가습용기에 증류수를 넣고 중앙공급체계인 경우 벽에 산소유량계를 꼽는다. 가습용기가 있는 산소장치의 출구와 비강캐뉼라를 연결하고 잘 연결되었는지 확인한다. 그 후 환자의 비강폐색여부를 확인하고, 개방되었으면 코에 산소투여부분을 꼽고 나머지 캐뉼라를 귀에걸고 턱 아래로 가져와 길이를 조절해 고정시킨다.
결과
- 대상자의 PO2수치가 증가한다.
부작용
한번에 6L/min이상 투여할 경우 두통이나 점막건조를 초래할 수 있다.
유의사항
비강폐쇄 환자에게는 사용할 수 없다.
환자의 의식이 명료하며 협조적이어야한다.
7) 참고문헌(refersnces)
- 양선희 외. (2014). 기본간호학Ⅰ. 서울: 현문사
- 양선희 외. (2014). 기본간호학Ⅱ. 서울: 현문사
- 김금순 외. (2014). 성인간호학Ⅰ. 서울: 수문사
- 김금순 외. (2014). 성인간호학Ⅱ. 서울: 수문사
- 김조자 외. (2014). 비판적 사고를 적용한 간호과정. 서울: 수문사
- 양선희 외. (2015). 핵심기본간호수기. 서울: 현문사
(인터넷)
서울대학병원 의학정보실 http://www.snuh.org/pub/infomed/sub01/sub01/
세브란스병원 건강칼럼 http://sev.iseverance.com/
추천자료
폐렴-Pneumonia
성인간호학실습-중환자실-폐렴,당뇨병
성인간호학-COPD에대한 case 간호과정
폐렴 Peumonia
아동 간호학 CASE( 아동 병동 케이스 ) - 소아 폐렴(Pneumonia) 대상자 CASE
아동간호학 case study 천식(asthma)
[성인간호학실습] subdural Hemorrhage SDH 경막하 출혈 Case study 케이스 스터디
[간호과정] 폐렴케이스 Pneumonia case study - 폐렴케이스스터디 폐렴사례관리 폐렴간호과정...
응급실 CASE STUDY A+ 자세한 병태생리 및 간호사정, 간호진단 4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