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1. 시간표집법
1) 정의와 특징
2) 장단점
2. 사건표집법
1) 정의와 특징
2) 장단점
3. 시간표집법과 사건표집법을 비교 분석
결론
참고문헌
본론
1. 시간표집법
1) 정의와 특징
2) 장단점
2. 사건표집법
1) 정의와 특징
2) 장단점
3. 시간표집법과 사건표집법을 비교 분석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을 수 있다.
2)장단점
(1) 장점
첫 번째, 사건표집 방법의 관찰은 관찰된 행동의 배경을 보여준다.
두 번째, 관찰 행동의 범위에 제한은 없으며 자주 발생하지 않는 행동을 연구할 수 있다.
세 번째, 사건표집 방법은 대상 유아를 위한 개별 교육 전략을 고안하는 데 도움이 된다.
네 번째, 사건표집 방법은 개별 유아에 대해 질적 정보를 제공한다.
(2) 단점
첫 번째, 사건표집은 관측된 데이터를 수량화하는 것이 어렵다.
두 번째, 수량화할 수 없는 데이터의 신뢰성을 측정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데이터의 신뢰성 측면에서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
세 번째, 표본기록방식에 비해 사건 전후의 자연스러운 연속성이 무너질 가능성이 높다.
네 번째, 사건표집은 관측 시간을 예측하는 것이 어렵다.
3. 시간표집법과 사건표집법을 비교 분석
첫 번째, 사건표집법은 관찰된 행동 배경을 알 수 있지만 시간 표집법은 사건의 전모나 상호작용 패턴, 행동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기 어렵다.
두 번째, 시간표집은 자주 발생하는 동작으로 제한되지만 사건표집은 관찰 동작의 범위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세 번째, 사건표집 방식은 유아 개인에 대한 질적 정보를 제공하지만 시간표집은 양적 데이터일 뿐 질적 데이터가 아니다.
네 번째, 시간표집은 수량화를 통해 통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지만. 한편, 사건표집은 관측된 데이터를 수량화하는 것이 어렵다.
다섯 번째, 시간표집은 한 번에 많은 대상을 관측할 수 있기 때문에 비교적 짧은 시간에 대량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에 있어 효율적이다. 반면 사건표집 방식은 관측 시간을 예측하기가 어렵다.
결론
관찰은 유아에 대한 평가 방법 중 가장 오래된 방법이다. 유아의 행동을 이해하거나 효과적인 교사 역할을 하기 위해 필요한 방법이다. 시간표집 방법은 시간을 수집하고 관찰하는 방법이며 관찰하고자 하는 특정 행동이 소정의 시간 내에 몇 번 발생하는지 수집하는 방법이며 행동 출연 빈도를 수집하는 방법이다. 사건표집 방법은 단순히 어떤 행동의 유무를 관찰하는 것이 아니라 행동이나 사건 발생 후 관심 있는 행동이나 사건이 발생할 경우 일정한 형식으로 행동 순서를 자세히 기술하는 방법이다.
참고문헌
유효순 외 3명 저, 영유아발달, 창지사, 2016
태진미, 놀이지도,정민사, 2018
장현주 저, 보육과정, 공동체,2017
곽승주 저, 보육과정, 정민사, 2016
정옥분 외 3명 저, 보육과정, 학지사,2016
네이버 지식백과
2)장단점
(1) 장점
첫 번째, 사건표집 방법의 관찰은 관찰된 행동의 배경을 보여준다.
두 번째, 관찰 행동의 범위에 제한은 없으며 자주 발생하지 않는 행동을 연구할 수 있다.
세 번째, 사건표집 방법은 대상 유아를 위한 개별 교육 전략을 고안하는 데 도움이 된다.
네 번째, 사건표집 방법은 개별 유아에 대해 질적 정보를 제공한다.
(2) 단점
첫 번째, 사건표집은 관측된 데이터를 수량화하는 것이 어렵다.
두 번째, 수량화할 수 없는 데이터의 신뢰성을 측정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데이터의 신뢰성 측면에서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
세 번째, 표본기록방식에 비해 사건 전후의 자연스러운 연속성이 무너질 가능성이 높다.
네 번째, 사건표집은 관측 시간을 예측하는 것이 어렵다.
3. 시간표집법과 사건표집법을 비교 분석
첫 번째, 사건표집법은 관찰된 행동 배경을 알 수 있지만 시간 표집법은 사건의 전모나 상호작용 패턴, 행동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기 어렵다.
두 번째, 시간표집은 자주 발생하는 동작으로 제한되지만 사건표집은 관찰 동작의 범위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세 번째, 사건표집 방식은 유아 개인에 대한 질적 정보를 제공하지만 시간표집은 양적 데이터일 뿐 질적 데이터가 아니다.
네 번째, 시간표집은 수량화를 통해 통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지만. 한편, 사건표집은 관측된 데이터를 수량화하는 것이 어렵다.
다섯 번째, 시간표집은 한 번에 많은 대상을 관측할 수 있기 때문에 비교적 짧은 시간에 대량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에 있어 효율적이다. 반면 사건표집 방식은 관측 시간을 예측하기가 어렵다.
결론
관찰은 유아에 대한 평가 방법 중 가장 오래된 방법이다. 유아의 행동을 이해하거나 효과적인 교사 역할을 하기 위해 필요한 방법이다. 시간표집 방법은 시간을 수집하고 관찰하는 방법이며 관찰하고자 하는 특정 행동이 소정의 시간 내에 몇 번 발생하는지 수집하는 방법이며 행동 출연 빈도를 수집하는 방법이다. 사건표집 방법은 단순히 어떤 행동의 유무를 관찰하는 것이 아니라 행동이나 사건 발생 후 관심 있는 행동이나 사건이 발생할 경우 일정한 형식으로 행동 순서를 자세히 기술하는 방법이다.
참고문헌
유효순 외 3명 저, 영유아발달, 창지사, 2016
태진미, 놀이지도,정민사, 2018
장현주 저, 보육과정, 공동체,2017
곽승주 저, 보육과정, 정민사, 2016
정옥분 외 3명 저, 보육과정, 학지사,2016
네이버 지식백과
추천자료
[유아교육평가 D형] 표집의 의미와 표집방법을 설명하시오
영유아 연구법
시간표집법과 사건표집법 각각에 대하여 설명한 후, 두 관찰법을 비교분석하여 설명하여 주십...
시간표집법과 사건표집법 각각에 대하여 설명한 후, 두 관찰법을 비교분석하여 설명하여 주십...
시간표집법과 사건표집법 각각에 대하여 설명한 후, 두 관찰법을 비교분석하여 설명하여 주십...
시간표집법과 사건표집법 각각에 대하여 설명한 후, 두 관찰법을 비교분석하여 설명하여 주...
시간표집법과 사건표집법 각각에 대하여 설명한 후, 두 관찰법을 비교분석하여 설명하여 주십...
3주 2강에서 시간표집법과 사건표집법에 대해 학습하였습니다. 시간표집법과 사건표집법 각각...
시간표집법과 사건표집법 각각에 대하여 설명한 후, 두 관찰법을 비교분석하여 설명하시오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