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뇌구조와 기능[정신간호학]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A+ 뇌구조와 기능[정신간호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운동계의 일부로서 평형감각, 근육긴장도, 자세조절, 수의적 운동의 조정에 관여한다. 소뇌는 다른 뇌 부위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인지적, 행동적 감정적기능과 관련있다. 이 부위의 결함은 도파민 전달이 억제되어 부드럽고 통합된 움직임을 방해하는 파킨스병과 피질하 치매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능적 분류
계통발생학적 분류
구조
기능
전정소뇌
원시소뇌
타래결절엽
평형, 안구운동조절, 자세교정
척수소뇌
구소뇌
방충부
움직임(정확성, 방향), 자세, 고유감각
대뇌소뇌
신소뇌
소뇌반구의 측부
섬세한 고난도 운동, 움직임을 미리 계획
뇌간 중뇌, 교뇌, 연수
뇌의 가장 아랫부분으로 간뇌아래, 소뇌앞에 위치하며, 척수로 이어진다. 뇌간은 망상체활성화계를 통한 변연계와 상호작용 때문에 정신병리학적으로 중요하다. 척수에서 비롯된 망상체활성화계는 각성과 의식 상태를 조정한다. 망상체 활성화계의 장애는 수면장애를 일으킬 수 있고, 집중을 방해하여 정신장애를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다. 뇌간체계인 추체외로계는 대뇌의 추체외세포에서 대뇌기저핵을 거쳐 척수신경으로 정보를 보내는 역할을 한다. 정형 항정신병 약물은 파킨스 증후군, 정좌불능, 지연성 운동장애와 같이 동작이 유연하지 못하고 조절할 수 없거나 지리멸렬하게 되는 추체외로증상을 일으킬 수 있다.
< 뇌간의 기능 >
1) 뇌신경 중 후신경과 시신경을 제외한 열쌍이 뇌간에서 기시한다.
2) 심혈관계 및 호흡조절, 통증에 대한 민감도 조절, 각성 및 의식에 대한 통합적 기능
3) 몸 대뇌/소뇌로 주고 받는 모든 감각 및 운동정보들은 뇌간을 경유함
망상 활성계
뇌간의 망상체에서는 대뇌피질로 향하는 상행 신경회로를 내어 대뇌를 더욱 깨어있게 해주는데, 망상체로부터 시작된 상행 신경회로를 ‘망상활성계’라고 한다.
- 기능: 수면과 각성의 전환, 집중
즉 수면은 망상활성계가 억제되었을 때 유발되며, 향정신약물이나 마취제들은 망상활셩계에 영향을 준다. 이곳에 문제가 생기면 주의력 결핍장애, 기면증, 수면장애, 치매 등이 생길 수 있다.
(10) 뇌실
대뇌반구 각가은 큰 공동인 외측 뇌실을 포함하며, 중앙의 작은 공동인 제 3뇌실은 간뇌의 중앙, 시상 양쪽 사이에 위치한다. 제4뇌실은 교뇌와 연수 근처에 위치하고 척수의 중심판과 연결되어있다. 정신질환자의 뇌영상 촬영 결과 뇌실의 확장을 볼 수 있는 데, 이는 뇌의 중요한 구조물이 위축됨을 의미한다.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3.04.10
  • 저작시기2021.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031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