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대_대중영화의이해_장르영화와 독립영화에 대한 설명 및 장단점 자연언어와 영화언어의 유사성 및 차이점 영화 속 특정 장면에서 주요한 형식적 특징을 찾아내고 전달하는 의미에 대한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방송통신대_대중영화의이해_장르영화와 독립영화에 대한 설명 및 장단점 자연언어와 영화언어의 유사성 및 차이점 영화 속 특정 장면에서 주요한 형식적 특징을 찾아내고 전달하는 의미에 대한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미즈하의 몸이 바뀌었음을 정확하게 인식하게 된다. 클로즈업 화면을 가득채운 햇살이 가득한 밝은 색감은 전체적인 영화의 시작점에서 몸이 바뀐다는 판타지적인 요소를 앞으로 어떤 재미있는 사건이 벌어질지 기대감을 느끼게 한다.
오른쪽의 장면은 영화의 마지막에 다다르는 시점에 “황혼”의 시간에서 나타나는 장면이다. “황혼”의 시간은 존재하지 않는 시공간 안에서 사라져가는 시간 속에 서로의 이름을 잊지 않기 위해 손바닥에 이름을 쓰는 장면이었는데, 이때 미키는 미즈하에게 이름을 쓰지 않고 좋아한다고 썼고 이 화면이 클로즈업되어 보여진다. 단순히 이름을 쓴다면 나중에 기억이 희미해졌을 때 잊혀질 기억이지만, 좋아한다는 감정을 적었기 때문에 나중에 기억이 희미해졌을때도 그 감정선이 남아 서로를 희미한 기억속에서도 그리워하게 된다. “황혼”의 시간이 사라지며 결국 미즈하는 사라져버렸고 혼자 남겨진 타키는 어둡고 검은 배경속에서 혼자 손바닥의 글자를 보고 있는데 이때 검은 배경은 곧 사라지게 될 기억과 서로를 잊어버리게 될 안타까운 모습을 표현하는 미장센 기법이기도 하다. 감독은 사람과 사람이 처음 만났을 때 가장 먼저 하는 일이 자신의 이름을 말하거나 상대의 이름을 묻는 것이기 때문에 이름을 물어보는 것 자체가 관계의 출발을 의미한다고 했다. 각자의 몸이 바뀌었을 때 썼던 이름과 서로가 잊혀지기 전 이름을 남기자고 했던 이름은 결국 서로가 무엇인지, 아니면 누군가를 찾고있는데, 그 대상의 이름이 무엇인지를 물어보는 것이 아닐까라는 생각을 했다.
[참고문헌]
장일·김예란, 『대중영화의 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7
박성식, 『영화 장르 진화현상에 대한 문화사회학과 다윈주의의 통합적 접근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논문, 2020.
송석주, 『명작으로 알아보는 영화언어』, 독서신문, 2019
이효인, 『한국독립영화, 수난과 의지의 흔적』, 한국독립영화협회, 2000
Katz, Steven D. Film Directing: Cinematic Motion(2ed.). Michael Wiese Productions. 김학순 외 옮김(2007년) 『영화 연출론』. 시공사. 2004
크리스티앙 메츠(Christian Metz) 『영화 언어: 영화의 기호학(Film Language: A Semiotics of the Cinema)』,1967
키스세븐 블로그 - https://kiss7.tistory.com/693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3.04.21
  • 저작시기202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040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