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수 있는가에 대해서 필자는 팝아트 작품 역시 그 작품에 담긴 의미가 예술적이라면 예술로 판단된다고 생각한다. 즉, 인류가 사진기를 개발하면서 더 이상 자연 및 환경에 대한 모방으로만 예술을 표현하기는 한계가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팝아트와 같이 대중성을 지닌 예술작품을 통해서 팝아트가 지닌 예술성에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면 이 역시 예술작품으로 간주할 수 있다. 즉, 예술작품은 대중의 외면을 받을 경우 예술작품으로서 그 가치성을 떨어진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팝아트가 저속하다는 비판을 받고 있으나, 팝아트는 대중과 친숙한 소재를 새로운 예술적 경지로 이끌고 있다는 점에서 대중과 호흡하는 하나의 예술적 장르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팝아트를 단순히 저속하고 퇴폐적인 것으로 파악할 것이 아니라, 팝아트에 담긴 의미가 결국 우리의 일상을 지배하는 대중성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팝아트에 대한 비판은 결국 현대를 사는 대중에 대한 비판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정치적·경제적 민주화가 전세계적으로 파급되면서 예술 역시 더 이상 소수의 전유물은 아니라는 관점에서 예술의 영역을 대중의 삶의 영역으로 확대시킨 팝아트의 예술적 가치를 높게 평가하고 싶다. 이에 우리에게 친숙하면서 즐거움을 제공하는 팝아트에 대한 지원과 관심을 통해 대중예술의 발전을 도모하는 것도 예술가의 시대적 사명이라고 생각한다.
※ 참고문헌
· 신운화 외 2인 공저, 「미술의 이해와 감상」,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 서울, 2020
· 고인혁 저, ‘한국 팝아트에 나타나는 대중문화의 모방과 차용연구’,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 강원도, 2014
따라서, 팝아트를 단순히 저속하고 퇴폐적인 것으로 파악할 것이 아니라, 팝아트에 담긴 의미가 결국 우리의 일상을 지배하는 대중성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팝아트에 대한 비판은 결국 현대를 사는 대중에 대한 비판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정치적·경제적 민주화가 전세계적으로 파급되면서 예술 역시 더 이상 소수의 전유물은 아니라는 관점에서 예술의 영역을 대중의 삶의 영역으로 확대시킨 팝아트의 예술적 가치를 높게 평가하고 싶다. 이에 우리에게 친숙하면서 즐거움을 제공하는 팝아트에 대한 지원과 관심을 통해 대중예술의 발전을 도모하는 것도 예술가의 시대적 사명이라고 생각한다.
※ 참고문헌
· 신운화 외 2인 공저, 「미술의 이해와 감상」,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 서울, 2020
· 고인혁 저, ‘한국 팝아트에 나타나는 대중문화의 모방과 차용연구’,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 강원도, 2014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