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보육계획에 대한 자율성 부여에 대해 찬성하는 경우와 반대하는 경우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제시
2. 참고자료
2. 참고자료
본문내용
정에서 교사의 자율성을 강조한 부분을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당연히 교사입장에서는 보육계획안을 마련하는데 있어서 자신의 임의대로 계획할 부분이 생기기 때문에 긍정적으로 생각할 수 밖에 없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렇다면 교사가 자신의 임의대로 보육계획안을 마련해서, 어떤 문제가 생겼다면 그 부분은 누가 책임을 져야 하는 것일까?
기관장이 책임을 져야 하는 것인가? 아니면 동료 교사 혹은 정부가 책임져야 하는 것인가? 보육계획안을 마련한 교사가 책임져야 하는 것일까? 누리과정은 책임소재 부분을 명확하게 명시하지 않고 있다. 문제를 일으킨 해당 교사는 당연히 누리과정에 입각해 자율적으로 보육계획안을 마련했다는 말을 하게 될 것이다. 즉, 잘못된 보육계획안 및 보육과정으로 인한 문제에 대한 책임소재 문제가 불거질 수 있기 때문에 교사에게 자율성을 부여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다.
반대로 누리과정에서 교사에 대한 자율성 부여로 인한 문제를 해당 교사가 전적으로 책임져야 한다는 부분을 명시하게 된다면, 교사에게 자율성을 부여해도 된다는 생각이 들었다.
2. 참고자료
보육교사론, 저자 조성연, 김영심 외 2명, 출판 파워북, 2023.03.08.
기관장이 책임을 져야 하는 것인가? 아니면 동료 교사 혹은 정부가 책임져야 하는 것인가? 보육계획안을 마련한 교사가 책임져야 하는 것일까? 누리과정은 책임소재 부분을 명확하게 명시하지 않고 있다. 문제를 일으킨 해당 교사는 당연히 누리과정에 입각해 자율적으로 보육계획안을 마련했다는 말을 하게 될 것이다. 즉, 잘못된 보육계획안 및 보육과정으로 인한 문제에 대한 책임소재 문제가 불거질 수 있기 때문에 교사에게 자율성을 부여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다.
반대로 누리과정에서 교사에 대한 자율성 부여로 인한 문제를 해당 교사가 전적으로 책임져야 한다는 부분을 명시하게 된다면, 교사에게 자율성을 부여해도 된다는 생각이 들었다.
2. 참고자료
보육교사론, 저자 조성연, 김영심 외 2명, 출판 파워북, 2023.03.08.
추천자료
[2019 유아교육과정4공통] (1)아동중심 교육과정과 통합 교육과정의 개념과 운영특성 (2)영유...
보육과정 > 개정 누리과정의 배경과, 바뀐 내용들을 중심으로 내용을 조사하고 개정 내용이 ...
[누리과정] 2019개정 누리과정의 특성과 기존의 누리과정과의 차이점에 대해서 쓰고, 개정된 ...
[2020 유아교육과정][기말시험][출처표기] 1.우리나라 영유아교육ㆍ보육기관인 유치원과 어린...
(유아교육론 1공통) 5. 2019 개정 누리과정의 목표와 내용, 특성에 대하여 설명하고(15점), ...
국가수준의 표준보육과정과 개정누리과정이 추구하는 의미있는 놀이가 일어날 수 있도록 자유...
영유아보육학 ) 영유아 중심, 놀이 중심 보육과정으로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 이에 맞는 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