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1학기 방송통신대 청소년인성교육 기말시험과제물)자기초월의 덕목 중 감사에 대하여 청소년인성교육 교재(p107-114) 내용 및 기타 자료를 개인이 자유롭게 참조하여 감사에 대한 개념 및 이론을 제시하고 감사 증진활동 등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2023년 1학기 방송통신대 청소년인성교육 기말시험과제물)자기초월의 덕목 중 감사에 대하여 청소년인성교육 교재(p107-114) 내용 및 기타 자료를 개인이 자유롭게 참조하여 감사에 대한 개념 및 이론을 제시하고 감사 증진활동 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자기초월의 덕목 중 감사에 대하여, ‘청소년인성교육’ 교재(p107-114) 내용 및 기타 자료를 개인이 자유롭게 참조하여,
1) ‘감사’에 대한 개념 및 이론을 제시하고,
2) 교재에 제시된 “감사 증진을 위한 활동” 중 한 가지를 선택하거나 또는 자신이 생각하는 감사 증진활동을 고안하여 자신의 삶에 직접 적용한 후 그 내용과 결과물을 제시하고
3) 이러한 적용과정에서 느낀점과 배운점을 쓰시오.
: 위의 3단계가 모두 포함되어야 함

1. ‘감사’에 대한 개념 및 이론을 제시하고,

1) 감사의 개념
2) 감사 이론

2. 교재에 제시된 “감사 증진을 위한 활동” 중 한 가지를 선택하거나 또는 자신이 생각하는 감사 증진활동을 고안하여 자신의 삶에 직접 적용한 후 그 내용과 결과물을 제시하고

①감사 일기 활동 목표 ②감사 일기 활동 방법
③감사 일기 활동 결과
가. 1일차 나. 2일차 다. 3일차 라. 4일차 마. 5일차 바. 6일차 사. 7일차

3. 이러한 적용과정에서 느낀점과 배운점을 쓰시오.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존재할 것이라는 생각은 잘못된 것이다. 오늘 옆에 있는 사랑하는 사람이 내일도 변함없이 존재하리라는 보장은 없다.
이렇게 사소한 일조차 원래 그러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인식하게 되면서, 어제의 그런 사소할 일들이 오늘 일어나는 것은, 어쩌면 기적일지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기적은 말 그대로 확률적으로 일어나기 힘든 일을 말한다. 확률적으로 일어나기 힘들 기적이 매일 일어나는 것이라면, 그러한 기적에 감사의 마음이 생기는 것은 지극히 자연스러운 일일 것이다. 매일 로또 당첨의 기적이 일어나는데 감사하지 않을 사람을 없을 것이다.
이렇게 감사하기는 당연하게 여겼던 것에 대한 감사였다. 또한 감사하기는 ‘당연히 감사해야 할 것에 감사하기’이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감사하기’이기도 하다.
그러나 머리로는 감사의 의미와 필요성을 이해하지만, 1주일 동안 감사일기를 적었다고 화창한 날씨에 고마움을 느끼고 샘물 같은 감사의 마음이 샘솟듯 일어나는 않았다. 가족이 오늘도 건강하다고 하여 주체할 수 없는 감사의 눈물이 흐르지도 않았다. 따라서 1주일 동안의 감사 훈련으로는 실제 감사의 감정이 생길 것을 기대하는 어려워 보인다.
그런데 여기서 생기는 의문이 하나 있었다. 감사의 기쁨이 생기지 않으면 감사를 하지 말아야 하는가? 행복해서 웃는 것이 아니라 웃어서 행복해지는 것처럼 감사일기를 꾸준히 실천하며 \'감사한 척\'하다 보면 진짜 감사하는 마음이 생길 것이다.
그러므로 한 줄이라도 좋으니 감사일기를 매일 써야 할 것이다. 그리고 주변의 모든 일을 감사하고, 무엇이 왜 감사한지를 구체적으로 작성해야 한다. 또한 감사일기는 긍정문으로 쓰고, \'때문에\'가 아니라 \'덕분에\'로 기록하면 좋을 것 같다.
앞서 1주일 동안 감사일기를 기록하고 나 자신을 관찰해 본 결과 감사의 기쁨이 생기지는 않았다고 했다. 그럼에도 1주일 동안의 감사일기로 얻은 것이 있다. 이전과 비교해 불평, 불만은 줄었다는 점에서는 감사일기의 효과는 있었다. 또한 불행하다는 생각이 일어날 때마다 감사할 일들이 분명 하나는 있을 것이라는 생각에 그 불행감이 삶의 의욕을 제거할 수준에 이르지는 않았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1주 동안의 연습으로는 일상의 소소한 일들에 대해 감사하는 마음을 생기게 하는 데는 실패했다. 그렇다고 성급하게 중단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했다. 세상에 가치 있는 것은 쉽게 얻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감사하는 습관도 이와 다르지 않을 것이다. 감사의 마음이 생기는 데 소요되는 시간은 개인차가 분명히 있을 것이다. 어떤 사람은 빠르고 또 어떤 사람은 상대적으로 느릴 수 있다. 그러나 각자 자시만의 시간이 있을 것이므로 그 시간을 기다리면 된다.
덧붙이면 감사하기는 의무감에서 하는 것이 아니다. 실제로 감사하기 때문에 감사하는 것이다. 그런데 왜 감사하는 마음을 못 느끼는가? 현재의 것은 늘 당연히 내게 주어지는 것이라는 생각 때문이다. 또한 그것은 현재의 가진 것에 불만이 있기 때문이다. 그 불만은 미래의 바람에 비해 작은 것이다. 그래서 현재의 것이 의미 없고, 가치 없는 것으로 느껴진다. 그래서 손에 쥔 것들을 놓아 버리거나 방치해서 현재의 그것마저 잃어버리게 되는 것이다. 물론 나중에야 그것을 아쉬워한다. 현재의 것은 과거에 내가 바랐던 것들이고 미래에 내가 간절히 바라게 될 것들이므로, 늘 이 사실을 잊지 않으려고 한다.
그리고 매일 하루를 정리하기 전에 감사 노트에 오늘 감사할 일 5가지를 적음으로써 하루하루를 만끽하며 온전히 즐겨볼 것이다.
4. 참고문헌
하혜숙·황매향·여태철·강지현(2018). 청소년 인성교육. KNOUPRESS.
민진홍(2016), 땡큐 파워, 라온북.
  • 가격2,4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23.04.26
  • 저작시기2023.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047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