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받은 양극성장애 케이스 스터디입니다. 진단3개 과정3개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A+받은 양극성장애 케이스 스터디입니다. 진단3개 과정3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제번호
진단명(원인요소 진술 - 관련된 - 간호진단)
1
# 1. Nsg Dx : 우울한 기분과 관련된 수면박탈
2
# 2. Nsg Dx : 약물 복용과 관련된 지식부족
3
# 3. Nsg Dx : 자신에 현재와 관련된 상황적 자긍심 저하
2. 간호과정 기록지
# 1. Nsg Dx : 우울한 기분과 관련된 수면박탈
사정
주관적 자료
\"잠을 하루에 4~5시간 밖에 못자. 매번 밤11시에 잠들었다가 중간에 몇 번씩 깨는데 그럴 때 이런저런 생각이 들어서 잠이 안 오니까 눈을 뜬 채로 계속 있지“
“낮에 잠을 자버리면 밤에 아예 못 잘 것 같아서 움직이고는 있는데 피곤해.”
“잠을 자도 개운하지 않으니까 못 죽어서 사는 기분이지.”
“(종종) 예전에 사고가 있었을 때 일어나지 말고 죽었어야했다.”
객관적 자료
- 낮에는 복도를 걸어다니기만 하시고 별다른 활동은 하지 않으심
- 의학적으로 현존하는 경증 또는 중증의 우울장애를 갖고 계심
- 수면이 어려워 약의 도움을 받고 계심(라제팜정, Flunitrazepam)
단기목표
수면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을 3가지 정도 말할 수 있다.
장기목표
대상자가 약물의 도움 없이도 밤에 깨어나지 않고 하루 8시간을 잘 수 있다.
간호중재
간호계획
근거
간호수행
- 잠들기 전 따뜻한 물을 한 잔 씩 마시도록 한다.
- 잠들기 전 스트레칭을 10분정도 실시하도록 한다.
- 사고 중단 기법에 대해 알려준다.
- 수면에 방해되는 요인을 제거한다.
- 따뜻한 물은 심신의 이완을 도와 수면을 유도한다.
- 근육을 이완시킴으로써 수면을 유도한다.
- 잠들기 전 많은 생각은 수면에 악 영향을 준다.
- 적절한 환경을 수면을 돕는다.
- 대상자에게 2일 간 따뜻한 물을 마시도록 권장하였다.
- 대상자에게 2일동안 10분씩 침대에서 할 수 있는 간단한 스트레칭 자세 3가지를 교육했다.
- 이런 저런 생각이 들 때는 눈을 감고 호흡에만 집중하게끔 하였다.
평 가
- 이브닝 근무를 한다지만 9시 반 정도에는 다른 대상자들이 깨어있으셔서 환경을 조절하는데 어려움이 많았다.
- 대상자가 따뜻한 물과 스트레칭이 잠이 드는데는 도움이 되는 것 같지만, 아직까지는 중간에 계속 깨어난다고 하셨다.
- 사고 중단 기법은 머리로는 알지만 이게 잘 안된다고 하셨다.
# 2. Nsg Dx : 약물 복용과 관련된 지식부족
사 정
주관적 자료
\"이 약은 무슨 약이에요?“
“이건 어떤 효과에요?”
“퇴원했을 때 며칠은 잘 있다가 입맛이랑 의욕이 없어서 약도 안 먹고 술을 자꾸 먹어서 다시 입원했지”
객관적 자료
- 현재 9가지의 약물을 복용 중이심
- 투약시간에 약을 받으면 약을 보다가 종종 간호사 선생님께 약에 대한 질문을 하심
- 퇴원 기간 동안 약물을 계속적으로 복용하지 않았던 적이 있음
단기 목표
각 각의 약물에 대한 정보를 안다.(형태, 복용 방법/시간, 주의점)
장기 목표
환자가 퇴원 후에도 지속적으로 약을 먹어야한다는 것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간호중재
간호계획
근거
간호수행
- 대상자에게 적절한 약물에 대한 교육을 실시한다.(대상자의 교육 수준에 맞게끔)
- 약물 복용 지속의 중요성을 사례를 통해 알려준다.
- 술에 대한 생각을 떨쳐내도록 한다.
- 교육을 통해 약물에 대한 정보를 습득할 수 있다.
- 사례를 통해 지속적인 복용의 중요성을 느끼게끔 한다.
- 술은 중추신경을 억제하므로 항정신병약물의 효과를 감소시킨다.
- 대상자가 기억력에 약간의 문제가 있어 간단하게 교육해 주었다.
ex) 몇 시에 먹는 약은 어떤 색깔이고 어떻게 생겼으며, 이 약을 먹으면 잠 잘오게 하는 것이다.
- 약물을 규칙적으로 먹지않아 다시 입원하게 된 사례를 말해주었다.
평 가
대상자는 약물에 대한 이해를 통해 이전보다 의문점이 줄었다고 말하였으며, 자신의 병이 빨리 나아지기 위해 퇴원 후에도 술은 안 마시도록 노력하고 계속 약물을 복용할 것이라고 의지를 나타내었다.
# 3. Nsg Dx : 자신에 현재와 관련된 상황적 자긍심 저하
사 정
주관적 자료
“지금 이렇게 살아있어도 의미가 없는 것 같다.”
“죽지 못해서 그냥 살아있다.”
“어렸을 적 병으로 머리가 나빠져서 공부도 제대로 못했는데, 이제 몸도 말을 잘 안 들으니 더 이상 먹고 살 방법이 없다.”
객관적 자료
- 어렸을 적에는 장티푸스, 뇌경색(1988), 타박상(2014) 등으로 입원 or 수술의 과거력이 있음
- 오른쪽 귀는 잘 안들려서 보청기를 착용하고 계심(6급 청각장애)
- 종종 오른쪽 몸을 떨고 있는 것이 관찰됨
단기 목표
현재 상황에서 자신이 할 수 있는 것들은 찾고 실행함으로써 자긍심을 향상시킨다.
장기 목표
삶의 의미, 목적을 발견한다.
간호중재
간호계획
근거
간호수행
- 대상자가 가지고 있는 자신의 역할, 인지 상태를 말하게 한다..(적어도 1달 뒤 재 진술을 하게끔 실시)
- 다양한 활동에 참여를 유도하고, 대상자를 적극적으로 지지를 한다.
- 대상자가 현재 할 수 있는 것들을 나열한다.
- 하루에 한 번 이상 타인을 도와준다.
- 대상자의 현재 인식을 파악하고 추후 결과와 비교한다.
- 지지를 통하여 활동 참여를 증진시킨다.
- 대상자의 현재 역할능력을 파악하여, 기준점으로 삼는다.
- 남을 도움으로써 자신의 능력에 대한 자신감을 가질 수 있다.
- 지금 모든 것에 의욕이 없는 상태 (10/18일 진술)
- 20일에 옆 호실과 볼링게임을 하기로 하였음
- 대상자가 현재 혼자서 활동할 수 있는 것들을 말해보도록 함 → 산책, 밥 먹기, 옷 입기, 약 먹기 등
- 같은 방에 문OO님이 옷을 갈아 입을 때 함께 도와주었다.(10/17)
평 가
“나는 이제 머리도 나쁘고 몸도 가끔씩 떨려서 걷는 거 이외에 다른 활동을 하는 거는 어렵다.(10/18일)” 라고 말씀하신 것으로 보아서 아직까진 대상자가 우울한 자기 인식에서 벗어나지 못하신 것 같다.
<참고문헌>
- 정신건강 간호학 실습지침서(2022) - 최 진 / 수문사
- 최신 정신건강간호학 개론(2021) - 도복늠 외 / 정담미디어
-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2022) - 차영남 외 / 현문사
-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키워드

22간호,   실습,   학점,   case,   정신과,   양극성 장애,   폐쇄,   조증
  • 가격2,5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23.05.03
  • 저작시기202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053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