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미국 OTT 산업의 현황
2. 코로나19 펜더믹 시기 미국 OTT 산업의 변화
3. 코로나19 이후 미국 OTT 산업의 성장 현황과 전망
4. 미국 OTT 업계별 현황과 전망
1) 유튜브
2) 넷플릭스
3) 아마존 비디오
4) Hulu
5) Disney+
6) HBO Max
7) Peacock
8) ESPN+
9) Apple TV+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미국 OTT 산업의 현황
2. 코로나19 펜더믹 시기 미국 OTT 산업의 변화
3. 코로나19 이후 미국 OTT 산업의 성장 현황과 전망
4. 미국 OTT 업계별 현황과 전망
1) 유튜브
2) 넷플릭스
3) 아마존 비디오
4) Hulu
5) Disney+
6) HBO Max
7) Peacock
8) ESPN+
9) Apple TV+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약속했다. 흥미진진한 현장을 진행하면서 Peacock은 2022년 시청률을 25% 증가시키고 2022년 말까지 6430만 명의 시청자에게 도달하고 모든 OTT 비디오 스트리머의 26.7%로부터 시선을 끌 것을 목표로 했다.
8) ESPN+
ESPN+은 2022년에 시청자 4,370만 명으로 전년 대비 31.5% 성장했다. ESPN+는 OTT 서비스 중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서비스이다. 또한 2022년 말까지 ESPN+는 모든 디지털 라이브 스포츠 시청자의 44.6%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모회사인 Disney는 ESPN+를 Disney+ 및 Hulu을 통합 서비스로 제공하여 다양한 콘텐츠로서 시청자를 끌어들이고 있다. 스포츠 스트리밍은 현재 뜨거운 시장이며 Disney도 ESPN의 제안을 강화하기 위해 NFL 선데이 티켓 입찰에 참여하고 있다.
9) Apple TV+
Apple TV+은 2022년 시청자 3,870만 명으로 YoY 9.5% 성장했다. 2026년까지 모든 구독 OTT 비디오 시청자의 1/5이 Apple TV+를 선택한 서비스로 포함할 것이다. Apple은 또한 여러 MLB 게임을 TV+ 플랫폼에 독점적으로 제공하기로 했다. 스트리밍 스포츠에 대한 시청자의 욕구증가와 함께 이것은 Apple TV+를 앞으로 몇 년 동안 코드커터족(기존의 TV가 아닌 인터넷으로 동영상을 이용하는 사람)에게 더욱 매력적일 것이다 Insider Intelligence 홈페이지
.
Ⅲ. 결론
미디어 콘텐츠 영역도 코로나19 이후에 많은 영향을 받았고 탈바꿈의 과정에 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도 선호하는 콘텐츠의 내용, 콘텐츠를 선택하는 방식, 콘텐츠를 더욱 즐겁게 향유하는 방법, 콘텐츠에 연결되고 재이용하는 방식까지. 콘텐츠 이용의 전 과정에 큰 변화가 일어났다. 코로나19로 사람들이 서로 대면할 수 없는 사회가 도래함에 따라 언택트 코드에 맞는 콘텐츠 이용성향이 나타나고 콘텐츠 서비스 제공자는 그에 맞춰 수많은 전략들을 수립하고 새로운 서비스들을 론칭할 것이다. 결국 코로나19가 바꾼 것은 콘텐츠가 아닌 콘텐츠 이용자들의 콘텐츠 이용 행태와 방식인 셈이다.
현재의 코로나 시대를 지나며 향후 그 여파로 발생하는 콘텐츠 혁명은 끝을 알 수 없는 무기한 진행형으로 지속될 것이다. 코로나19가 장기화되고 세상의 많은 것을 바꾸어 놓으면서 이제 코로나19 이전과 이후로 시대가 구분되고는 있으나, 코로나19를 기점으로 그 변화의 양상을 나누는 일도 점차 무의미해질 것으로 보인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콘텐츠는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이용자들은 계속해서 적응해나갈 것이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이제 코로나19는 점차 특수한 상황이 아닌 일상으로 정착 되었고, 현시점에서 코로나19 이전으로 돌아갈 수 없게 되었으니 현재 시점은 무기한 진행형의 콘텐츠 혁명을 경험하는 시작점에 서있는 시기라고 보는 편이 맞겠다 김영훈, 한류 글로벌화 촉진을 위한 국내 OTT 정책 방안 연구,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논문, 2022.
.
참고문헌
김영훈, 한류 글로벌화 촉진을 위한 국내 OTT 정책 방안 연구,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논문, 2022.
김익현, 포스트 넷플릭스, 글로벌OTT시장 현황과 전망, 방송문화, 2019.
브라이트코브 홈페이지
오수연, 글로벌 ott 미국 유료방송 코드커팅 심화, 2025년 수익 29% 하락, 아주경제, 2021.
Harriet Phelps, The Consumption & Future of Streaming Post COVID-19, MBN, 2021.
Insider Intelligence 홈페이지
RGB broadcasting 홈페이지
8) ESPN+
ESPN+은 2022년에 시청자 4,370만 명으로 전년 대비 31.5% 성장했다. ESPN+는 OTT 서비스 중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서비스이다. 또한 2022년 말까지 ESPN+는 모든 디지털 라이브 스포츠 시청자의 44.6%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모회사인 Disney는 ESPN+를 Disney+ 및 Hulu을 통합 서비스로 제공하여 다양한 콘텐츠로서 시청자를 끌어들이고 있다. 스포츠 스트리밍은 현재 뜨거운 시장이며 Disney도 ESPN의 제안을 강화하기 위해 NFL 선데이 티켓 입찰에 참여하고 있다.
9) Apple TV+
Apple TV+은 2022년 시청자 3,870만 명으로 YoY 9.5% 성장했다. 2026년까지 모든 구독 OTT 비디오 시청자의 1/5이 Apple TV+를 선택한 서비스로 포함할 것이다. Apple은 또한 여러 MLB 게임을 TV+ 플랫폼에 독점적으로 제공하기로 했다. 스트리밍 스포츠에 대한 시청자의 욕구증가와 함께 이것은 Apple TV+를 앞으로 몇 년 동안 코드커터족(기존의 TV가 아닌 인터넷으로 동영상을 이용하는 사람)에게 더욱 매력적일 것이다 Insider Intelligence 홈페이지
.
Ⅲ. 결론
미디어 콘텐츠 영역도 코로나19 이후에 많은 영향을 받았고 탈바꿈의 과정에 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도 선호하는 콘텐츠의 내용, 콘텐츠를 선택하는 방식, 콘텐츠를 더욱 즐겁게 향유하는 방법, 콘텐츠에 연결되고 재이용하는 방식까지. 콘텐츠 이용의 전 과정에 큰 변화가 일어났다. 코로나19로 사람들이 서로 대면할 수 없는 사회가 도래함에 따라 언택트 코드에 맞는 콘텐츠 이용성향이 나타나고 콘텐츠 서비스 제공자는 그에 맞춰 수많은 전략들을 수립하고 새로운 서비스들을 론칭할 것이다. 결국 코로나19가 바꾼 것은 콘텐츠가 아닌 콘텐츠 이용자들의 콘텐츠 이용 행태와 방식인 셈이다.
현재의 코로나 시대를 지나며 향후 그 여파로 발생하는 콘텐츠 혁명은 끝을 알 수 없는 무기한 진행형으로 지속될 것이다. 코로나19가 장기화되고 세상의 많은 것을 바꾸어 놓으면서 이제 코로나19 이전과 이후로 시대가 구분되고는 있으나, 코로나19를 기점으로 그 변화의 양상을 나누는 일도 점차 무의미해질 것으로 보인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콘텐츠는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이용자들은 계속해서 적응해나갈 것이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이제 코로나19는 점차 특수한 상황이 아닌 일상으로 정착 되었고, 현시점에서 코로나19 이전으로 돌아갈 수 없게 되었으니 현재 시점은 무기한 진행형의 콘텐츠 혁명을 경험하는 시작점에 서있는 시기라고 보는 편이 맞겠다 김영훈, 한류 글로벌화 촉진을 위한 국내 OTT 정책 방안 연구,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논문, 2022.
.
참고문헌
김영훈, 한류 글로벌화 촉진을 위한 국내 OTT 정책 방안 연구,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논문, 2022.
김익현, 포스트 넷플릭스, 글로벌OTT시장 현황과 전망, 방송문화, 2019.
브라이트코브 홈페이지
오수연, 글로벌 ott 미국 유료방송 코드커팅 심화, 2025년 수익 29% 하락, 아주경제, 2021.
Harriet Phelps, The Consumption & Future of Streaming Post COVID-19, MBN, 2021.
Insider Intelligence 홈페이지
RGB broadcasting 홈페이지
키워드
추천자료
[사업계획서] 신 서비스 개발전략
세계의역사 2023년) 세계의 역사 교과서를 정독한 후, 이 교과목의 성격과 바람직한 학습 방...
(국제경영학 4학년) 한국 이외의 지역에 본사 또는 핵심 거점을 가지는 글로벌 기업을 하나 ...
세계의역사 2023년 중간과제물) 세계의 역사 교과서를 정독한 후, 이 교과목의 성격과 바람직...
2023년 1학기 방송통신대 국제경영학 기말시험과제물)한국 이외의 국가를 하나 선정하여, 해...
(국제경영학 3학년) 한국 이외의 국가를 하나 선정하여, 해당 국가에서 코비드19 시기에 성장...
[방통대][국제경영학]2023학년도 1학기 기말시험_한국 이외의 국가를 하나 선정하여, 해당 국...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