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특수교육 방법의 이론적 관점
1. 의학적 관점
2. 행동주의적 관점
3. 인지주의적 관점
4. 정신분석적 관점
* 참고문헌
1. 의학적 관점
2. 행동주의적 관점
3. 인지주의적 관점
4. 정신분석적 관점
*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 아니라 보이지 않는 본질에 대한 치료를 실시해야만 해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정신분석적인 관점에서는 농담이나 꿈, 낙서 등에서도 매우 중요한 본질을 찾아낼 수 있다고 믿는다.
정신분석적 관점을 교육으로 끌어들인다면, 현재 학생이 보이고 있는 통제의 원만은 보이는 자극에 의한 것이 아니라 그 이면에 다른 무엇인가가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학급에서 말썽을 부리는 학생은 교사에게 미움을 받기 위해서가 아니라 오히려 인정을 받고 싶어서 그러한 행동을 한다는 해석은 정신분석적인 관점에서 문제행동을 바라보는 것이다. 이는 행동주의자들이 눈에 보이는 현실적인 자극에 관심을 기울이는 것과는 대조적인 관점이다.
따라서 정신분석적 관점에서는 진실로 학생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욕구를 잘 파악하는 것이 교육적으로 필요할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다른 모든 교육적 접근법에서도 마찬가지지만, 가르치는 교사와 학생 간의 신뢰 형성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만일 교사와 학생 간에 신뢰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면 학생은 자신의 본심을 드러내려고 하지 않을 것이다.
이상에서 제시된 관점들은 비록 그 모형을 구성하는 이론적 가정에서 차이가 있다고 할지라도 구체적인 교육 활동 과정에서는 각각의 모형의 차이를 명백하게 구별하기가 곤란하다.
따라서 이러한 모형은 단순히 교육 활동 방법의 구별로 인식하는 것보다는 아동을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으로 해석하고, 아동을 하나의 고정관념으로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방법으로 바라보고 해석함으로써 보다 적절한 교육 방법을 탐색하는 것으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참고문헌
이상행동의 심리학 / 이현수, 이인혜 외 3명 저 / 대왕사 / 2012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장애인복지의 이해 - 강영실 저, 신정/2016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정신장애 사례연구 / 김청송 저 / 학지사 / 2002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이를 위해서 정신분석적인 관점에서는 농담이나 꿈, 낙서 등에서도 매우 중요한 본질을 찾아낼 수 있다고 믿는다.
정신분석적 관점을 교육으로 끌어들인다면, 현재 학생이 보이고 있는 통제의 원만은 보이는 자극에 의한 것이 아니라 그 이면에 다른 무엇인가가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학급에서 말썽을 부리는 학생은 교사에게 미움을 받기 위해서가 아니라 오히려 인정을 받고 싶어서 그러한 행동을 한다는 해석은 정신분석적인 관점에서 문제행동을 바라보는 것이다. 이는 행동주의자들이 눈에 보이는 현실적인 자극에 관심을 기울이는 것과는 대조적인 관점이다.
따라서 정신분석적 관점에서는 진실로 학생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욕구를 잘 파악하는 것이 교육적으로 필요할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다른 모든 교육적 접근법에서도 마찬가지지만, 가르치는 교사와 학생 간의 신뢰 형성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만일 교사와 학생 간에 신뢰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면 학생은 자신의 본심을 드러내려고 하지 않을 것이다.
이상에서 제시된 관점들은 비록 그 모형을 구성하는 이론적 가정에서 차이가 있다고 할지라도 구체적인 교육 활동 과정에서는 각각의 모형의 차이를 명백하게 구별하기가 곤란하다.
따라서 이러한 모형은 단순히 교육 활동 방법의 구별로 인식하는 것보다는 아동을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으로 해석하고, 아동을 하나의 고정관념으로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방법으로 바라보고 해석함으로써 보다 적절한 교육 방법을 탐색하는 것으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참고문헌
이상행동의 심리학 / 이현수, 이인혜 외 3명 저 / 대왕사 / 2012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장애인복지의 이해 - 강영실 저, 신정/2016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정신장애 사례연구 / 김청송 저 / 학지사 / 2002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