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안전_주거공간 전기화재의 발생원인, 예방대책, 화재발생 시 행동요령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전기안전_주거공간 전기화재의 발생원인, 예방대책, 화재발생 시 행동요령에 대하여 설명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원인

2) 예방대책

3) 화재 발생 시 행동 요령
3.
결론

본문내용

. 따라서 아래와 같은 예방대책이 필요하다. 첫째, 사용하지 않는 전열 기구의 코드는 뽑고, 콘센트와 멀티탭 주변은 청결하게 관리를 한다. 주변의 머리카락과 먼지는 누전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둘째, 외출 시 가스레인지의 중간밸브가 잠긴 것을 확인하고, 사용 중에는 되도록 자리를 비우지 않으면서 불을 자주 살펴야 한다. 셋째, 전열난방 기구 주변에는 탈 수 있는 가연성 물질이 닿지 않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평소에 나지 않는 소리 또는 타는 냄새가 나는지 집안을 점검한다. 주기적으로 먼지를 청소하며, 콘센트의 탄화흔적을 살펴보면서 과열여부를 살펴보는 습관을 들이면 가정, 직장 등에서 전기화재를 방지할 수 있다.
3) 화재발생시 행동요령
(1) 화재 발생을 알리고, 비상벨을 누른다.
불을 발견하면, ‘불이야’라고 큰소리로 외쳐 다른 사람에게 알리고, 화재경보 비상벨을 누른다.
(2) 낮은 자세로 계단을 이용하여 대피한다.
엘리베이터는 절대 이용을 하지 않으며, 계단을 이용하여 대피를 한다. 아래층으로 대피가 불가능하면, 옥상으로 대피를 해야 한다. 낮은 자세로 안내원의 안내를 따르고, 불길 속을 통과할 때 물에 적신 담요, 수건 등으로 몸과 얼굴을 감싸며, 문을 열기 전 손잡이에 손을 댔을 때 뜨겁지 않으면, 문을 조심스럽게 열고 밖으로 나가며, 손잡이가 뜨거우면 문을 열지 말고 다른 길을 찾아야 한다.
(3) 어린이의 위치를 항상 확인한다.
어린이는 화재 등 사고가 발생할 때 공포에 질려 옷장, 침대 밑에 피신을 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안전한 대피를 위해서 자녀의 위치를 항상 확인해야 한다.
(4) 바람이 불어오는 쪽으로 대피한다.
대피를 한 경우 바람이 불어오는 쪽에서 구조를 기다린다. 밖으로 나온 뒤 절대 안으로 들어가서는 안 되며, 다른 출구가 없다면 구조대원이 구해줄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연기가 방 안에 들어오지 못하게 젖은 옷, 이불로 문틈을 막으면 좋다.
3. 결론
본론에서는 전기화재의 발생원인, 예방대책, 화재발생 시 행동요령에 대해서 논했다. 화재 발생 전 이와 같은 이론을 숙지해도 상황에서는 위험이 닥쳐 아무것도 못하는 초기 대응법에 문제를 드러낼 수밖에 없다. 따라서 아파트 또한 일반 상가와 동일하게 소방훈련을 실시해야 한다고 본다.
[참고문헌]
전기화재공학, 최충석, 지우북스, 2019.02
최신 전기화재 감식공학, 김만건, 김진표, 성안당, 2015.09

키워드

레포트,   과제,   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3.05.12
  • 저작시기2023.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067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