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Title
2. Object
3. Principle & Theory
4. Apparatus & Reagents, Procedure
5. Result
6. Discussion & Feeling
7. Reference
2. Object
3. Principle & Theory
4. Apparatus & Reagents, Procedure
5. Result
6. Discussion & Feeling
7. Reference
본문내용
형성한다. 균근균은 식물로부터 광합성산물을 공급받고 토양중의 양분을 식물에 전달한다. 균근균에는 내생균근균과 외생균근균이 있다. 균근균은 척박한 토양에 자라고 있는 식물의 인산 및 기타 양분의 흡수율을 높인다. 대부분의 식물을 균근을 형성하지만 배추, 겨자, 카놀라, 브로커리, 사탕무, 근대 및 시금치는 형성하지 않는다.
ⅵ. streaking & spreading
-streaking: 세균의 순수배양을 하기 위한 분리방법의 하나로 고체배지상에서 세균이 일정시간 후 육안으로 독립된 콜로니를 관찰할 수 있는 배양방법이다. 평판배지의 표면에 균 또는 균을 함유한 시료를 도말하여 콜로니를 형성하게 하는 방법을 말한다.
-spreading: 세균의 순수배양을 하기 위한 분리방법의 하나로 고체배지상에서 세균이 일정시간 후 육안으로 독립된 콜로니를 관찰할 수 있는 배양방법이다. 평판배지의 표면에 균 또는 균을 함유한 시료를 도말하여 콜로니를 형성하게 하는 방법을 말한다.
streaking
spreading
4. Apparatus & Reagents, Procedure
ⅰ. Apparatus & Reagents
1. 3차 증류수
: 1차로 증류한 물속의 불순물이 100% 제거되기 힘듦으로 2차 3차 증류를 해 만든 증류수 이다.
2. petri dish(Schale): 유리로 만든 납작한 원통형 용기. 주로 세균을 배양하는 데 쓰인다.
3. micro pipette: 액체의 일정량을 가하거나 꺼낼 수 있는 기구. 액체의 부패를 정확히 잴 수 있다.
4. 백금이: 끝이 loop구조로 생겼다.
5. alcohol lamp, 토양샘플
6. clean bench: 내부공간에 UV광선을 이용해 멸균상태로 만드는 기계.
7. Nutrient agar 배지: beef extract 3g, peptone 5g, agar 15g (g/L)
8. Czapek-Dox agar 배지: NaNO3 3g, K2HPO4 1g, MgSO4·7H2O 0.5g, KCl 0.5g, FeSO4·7H2O 0.1g, Glucose 30g, agar 15g (g/L)
ⅱ. Procedure
① 유기물이 풍부한 토양을 채취한다. (Cornical Tube 50ml에 약 10ml 정도)
② Cornical Tube에 3차증류수를 약 30ml 넣고 잘 흔들어준다.
③ 감압플라스크로 필터를 해준다.
④ 필터된 물층을 샘플로 보관한다.
⑤ 토양샘플을 이용하여 1/10, 1/100 (1㎖)로 희석하여 Nutrient agar배지와
Czapek-Dox agar 배지에 도말한다. (streaking & spreading)
(백금이를 알코올 램프에 멸균 한 뒤 토양샘플에 백금이를 묻힌다. 그런 다음 각각의
균을 배지에 Streaking을 할 것.)
⑥ Nutrient agar배지는 37℃, Czapek-Dox agar 배지는 25℃ Incubator에 배양한다.
5. Result
실험한 주 수요일(12.3.21) 확인 한 사진이다.
Nutrient agar배지의 경우
Czapek-Dox agar배지의 경우
Nutrient agar배지 1/10 희석액 spreading이외에는 육안으로 균을 관찰할 수 없었다.
이틀 후 실험 한 주 금요일(12.3.23)에 확인을 하러 갔을 때에는 수요일(12.3.21)에 확인 한 것과 마찬가지로, Nutrient agar배지 1/10 희석액 spreading 이외에는 육안으로 균을 관찰할 수 없었다.
6. Discussion & Feeling
1조와 2조의 배지를 본 결과 많이 자란 방면에 3조와 우리조의 경우에는 1/10 희석한 용액을 spreading한 Nutrient agar배지 이외에는 균의 성장을 관찰 할 수 없었다. 실험 당일날 1조와 2조 그리고 3조와 우리조는 각각 다른 실험실에서 실험을 했다. 그래서 1,2조 배지와 3조와 우리조 배지가 차이가 나는 이유가 왠지 각각 다른 토양균 거름액을 사용해서 그런 것 같다. 그게 아니라면 실험 과정에서 아무래도 실험에 미숙한 우리가 streaking이나 spreading을 하기위해 백금이나 도말봉을 이용할 때 제대로 식혀주지 않아 균이 사멸한 경우를 생각해 보기도 하였다. 아니면 1/100으로 희석한 용액을 이용한 배지에서 공통적으로 군집을 보지 못한 걸로 봐서는 1/100용액을 희석할 때 증류수를 원액으로 착각을 하고 넣은 경우도 있을 것 같다. Czapek-Dox agar 배지는 선택배지라서 진균류가 자랄 것으로 기대를 하고 있었지만 아무것도 자라지 않는 것을 보니 진균류나 효모종류의 균이 토양속에 포함이 되지 않았거나 극 소량 있을 것이라 추측을 해본다. 아니면 위의 경우와 같이 백금이랑 도말봉을 충분히 식혀주지 않아 그런 것 같다. 조장인 내가 micro pipette으로 micro tube에다가 희석을 제대로 했던게 기억이 난다. 조원들에게 혹시 내가 실수를 했냐고 물어봤는데도 실수를 했다는 말이 없는 것을 봐서는 micro tube의 조성에는 문제가 없는 것같다. streaking이랑 spreading을 할 때 가열된 기구에대한 조작 미숙 으로 균이 죽어 버린게 맞는 것 같다. 그렇지 않고는 1/10 N.A배지 streaking 은 균이 성장을 안하는데 1/10 N.A배지 spreading은 균이 성장을 하는 것에 대해서 설명을 하기 어렵다.
7. Reference
1. 서적
Madigan 외3명, 「Brock의 미생물학 12판」, PEARSON, 2009, p.111
배지, 무균기법
2. 인터넷
- http://cms.daegu.ac.kr/sgpark/microbiology/영양배지.htm, 2012년 3월 16일 참고
영양배지 및 무균법에 대하여
- http://phy357.egloos.com/203647 2012년 3월 16일 참고
접종법 및 배지의 종류에 대하여
- http://blog.daum.net/darkmoons/11806299 2012년 3월 18일 참고
접종법 및 각 배지별 발육상에 관하여
- http://100.naver.com/ 2012년 3월 16일~18일 참고
용어이해 및 단어선택을 위한 검색실시
ⅵ. streaking & spreading
-streaking: 세균의 순수배양을 하기 위한 분리방법의 하나로 고체배지상에서 세균이 일정시간 후 육안으로 독립된 콜로니를 관찰할 수 있는 배양방법이다. 평판배지의 표면에 균 또는 균을 함유한 시료를 도말하여 콜로니를 형성하게 하는 방법을 말한다.
-spreading: 세균의 순수배양을 하기 위한 분리방법의 하나로 고체배지상에서 세균이 일정시간 후 육안으로 독립된 콜로니를 관찰할 수 있는 배양방법이다. 평판배지의 표면에 균 또는 균을 함유한 시료를 도말하여 콜로니를 형성하게 하는 방법을 말한다.
streaking
spreading
4. Apparatus & Reagents, Procedure
ⅰ. Apparatus & Reagents
1. 3차 증류수
: 1차로 증류한 물속의 불순물이 100% 제거되기 힘듦으로 2차 3차 증류를 해 만든 증류수 이다.
2. petri dish(Schale): 유리로 만든 납작한 원통형 용기. 주로 세균을 배양하는 데 쓰인다.
3. micro pipette: 액체의 일정량을 가하거나 꺼낼 수 있는 기구. 액체의 부패를 정확히 잴 수 있다.
4. 백금이: 끝이 loop구조로 생겼다.
5. alcohol lamp, 토양샘플
6. clean bench: 내부공간에 UV광선을 이용해 멸균상태로 만드는 기계.
7. Nutrient agar 배지: beef extract 3g, peptone 5g, agar 15g (g/L)
8. Czapek-Dox agar 배지: NaNO3 3g, K2HPO4 1g, MgSO4·7H2O 0.5g, KCl 0.5g, FeSO4·7H2O 0.1g, Glucose 30g, agar 15g (g/L)
ⅱ. Procedure
① 유기물이 풍부한 토양을 채취한다. (Cornical Tube 50ml에 약 10ml 정도)
② Cornical Tube에 3차증류수를 약 30ml 넣고 잘 흔들어준다.
③ 감압플라스크로 필터를 해준다.
④ 필터된 물층을 샘플로 보관한다.
⑤ 토양샘플을 이용하여 1/10, 1/100 (1㎖)로 희석하여 Nutrient agar배지와
Czapek-Dox agar 배지에 도말한다. (streaking & spreading)
(백금이를 알코올 램프에 멸균 한 뒤 토양샘플에 백금이를 묻힌다. 그런 다음 각각의
균을 배지에 Streaking을 할 것.)
⑥ Nutrient agar배지는 37℃, Czapek-Dox agar 배지는 25℃ Incubator에 배양한다.
5. Result
실험한 주 수요일(12.3.21) 확인 한 사진이다.
Nutrient agar배지의 경우
Czapek-Dox agar배지의 경우
Nutrient agar배지 1/10 희석액 spreading이외에는 육안으로 균을 관찰할 수 없었다.
이틀 후 실험 한 주 금요일(12.3.23)에 확인을 하러 갔을 때에는 수요일(12.3.21)에 확인 한 것과 마찬가지로, Nutrient agar배지 1/10 희석액 spreading 이외에는 육안으로 균을 관찰할 수 없었다.
6. Discussion & Feeling
1조와 2조의 배지를 본 결과 많이 자란 방면에 3조와 우리조의 경우에는 1/10 희석한 용액을 spreading한 Nutrient agar배지 이외에는 균의 성장을 관찰 할 수 없었다. 실험 당일날 1조와 2조 그리고 3조와 우리조는 각각 다른 실험실에서 실험을 했다. 그래서 1,2조 배지와 3조와 우리조 배지가 차이가 나는 이유가 왠지 각각 다른 토양균 거름액을 사용해서 그런 것 같다. 그게 아니라면 실험 과정에서 아무래도 실험에 미숙한 우리가 streaking이나 spreading을 하기위해 백금이나 도말봉을 이용할 때 제대로 식혀주지 않아 균이 사멸한 경우를 생각해 보기도 하였다. 아니면 1/100으로 희석한 용액을 이용한 배지에서 공통적으로 군집을 보지 못한 걸로 봐서는 1/100용액을 희석할 때 증류수를 원액으로 착각을 하고 넣은 경우도 있을 것 같다. Czapek-Dox agar 배지는 선택배지라서 진균류가 자랄 것으로 기대를 하고 있었지만 아무것도 자라지 않는 것을 보니 진균류나 효모종류의 균이 토양속에 포함이 되지 않았거나 극 소량 있을 것이라 추측을 해본다. 아니면 위의 경우와 같이 백금이랑 도말봉을 충분히 식혀주지 않아 그런 것 같다. 조장인 내가 micro pipette으로 micro tube에다가 희석을 제대로 했던게 기억이 난다. 조원들에게 혹시 내가 실수를 했냐고 물어봤는데도 실수를 했다는 말이 없는 것을 봐서는 micro tube의 조성에는 문제가 없는 것같다. streaking이랑 spreading을 할 때 가열된 기구에대한 조작 미숙 으로 균이 죽어 버린게 맞는 것 같다. 그렇지 않고는 1/10 N.A배지 streaking 은 균이 성장을 안하는데 1/10 N.A배지 spreading은 균이 성장을 하는 것에 대해서 설명을 하기 어렵다.
7. Reference
1. 서적
Madigan 외3명, 「Brock의 미생물학 12판」, PEARSON, 2009, p.111
배지, 무균기법
2. 인터넷
- http://cms.daegu.ac.kr/sgpark/microbiology/영양배지.htm, 2012년 3월 16일 참고
영양배지 및 무균법에 대하여
- http://phy357.egloos.com/203647 2012년 3월 16일 참고
접종법 및 배지의 종류에 대하여
- http://blog.daum.net/darkmoons/11806299 2012년 3월 18일 참고
접종법 및 각 배지별 발육상에 관하여
- http://100.naver.com/ 2012년 3월 16일~18일 참고
용어이해 및 단어선택을 위한 검색실시
추천자료
[병원 미생물학 실험] (결과) 토양균 스트리킹(streaking)
병원미생물학실험_report_1_(토양균 스트리킹)
[미생물 의약품 실험] 토양 속 미생물 채취 및 배양, Streaking을 이용한 부차배양 (Subculture)
(예비) 토양균 streaking : 토양에 존재하는 미생물을 추출하여 배양하여 그 과정을 숙지하고...
토양균streaking (도말) : 채취한 토양균의 sample을 알맞은 배지에 스며들게 접종하여 배양...
1.토양균 streaking 토양균의 형태와 배열
2.순수배양 미생물의 기본형태
1 토양균 streaking(예비)
토양균 스트레킹(streaking) 및 스프레딩(spreading) 결과(예비내용 포함) 레포트 입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