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간호학_영화 마이키이야기1에 나온 영아기 발달이론 특징을 분석해보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간호학_영화 마이키이야기1에 나온 영아기 발달이론 특징을 분석해보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1) 영화 ‘마이키 이야기’ 소개
2.
본론

1) 영화에서의 마이키의 발달과정

2) 영아기 발달이론 특징

(1) 보울리의 애착이론

(2) 프로이드의 이론

(3) 에릭슨 심리 사회적 이론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볼 수 있고, 이것을 리비도라고 부른다.태어나고 생후 1년 반까지의 시기로 인간의 리비도는 구강기에 머무른다. 이것으로 인하여 씹고, 핥고, 빨고, 무는 행위를 통한 쾌락을 추구한다. 영아기의 아이는 물고 빨고 사물을 탐색하는 것에 포함되는데 이 욕구가 충족 못되면 구강기 고착적인 성격으로 손가락 빨기, 흡연, 욕설, 손톱 깨물기, 수다, 과식, 과음의 모습을 보인다. 이러한 시기의 아이는 모든 사물을 입으로 가져간다. 눈에 보이는 물건들은 모두 입에 가져가 물고 빨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시기에 물고 빠는 것을 강력하게 제한하면 아이는 자신의 발달 과업을 충족하게 수행할 수 없게 된다.
(3) 에릭슨 심리 사회적 이론
사회문화적인 환경이 성격발달에 영향을 끼친다고 본 자아심리이론으로 인간의 발달은 전 인생에 걸쳐 이뤄지고, 인간은 변화가능성 있는 창조적 존재로 본다. 인간의 건강한 측면으로 문화적 또는 역사적 요인과 성격구조의 관계나 자아정체감의 확립을 중요시 한다. 또, 개인의 심리적인 발달은 선천적 요소 또는 부모의 양육방식, 또래관계, 학교생활, 사회적 관계에 의하여 결정된다. 신뢰감 또는 불신감 프로이드의 구강기에 상응하는 단계로서 출생부터 2세까지의 시기다. 프로이드와 다르게 에릭슨의 시기는 아이가 평안히 지내고, 충분한 영양섭취와 좋은 배설을 강조한다. 이러한 시기의 영아는 양육적인 보호자와의 상호작용하려는 강력한 욕구가 있어 할머니, 어머니, 보육교사와 같은 어른으로 부터 받는 양육에 대한 질에 의한 신뢰감을 형성한다. 양육자는 친근하고 따뜻한 태도와 일관적 태도로 반응한다면 양육자에 대한 신뢰감을 만들고 더 나아가 세상에 대한 신뢰감을 형성 할 수 있다. 반대로 양육자의 태도에 일관성은 없고 거부적이고 보살핌이 적으면 영아는 불신감을 갖게 된다.
프로이드와 다르게 에릭슨은 영아의 심리발달을 양육자의 관계에 중점을 둔다. 양육자의 안정감과 일관적인 양육의 태도가 아이에게 미치는 영향이 얼마나 큰지 알 수 있다. 일하시는 부모님이 많은 시기에 부모가 양육을 못하더라고 아이가 안정을 느낄 수 있는 어른과 상호작용이 완만히 이뤄지면 아이는 세상을 믿을만한 곳이라고 느끼고 후에 대인관계 형성에도 좋은 영향을 미친다.
<참고문헌>
김경희, “아동심리학”, 박영사, 2005
정옥분, “아동발달의 이해”, 학지사, 2012
천혜경, “영아 수학적 탐색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남대, 2009

키워드

레포트,   과제,   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3.05.16
  • 저작시기2023.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071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