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서장애에 관한 조사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정서장애의 개념
1. 정서장애 학생의 학습특성

Ⅲ. 조증
1. 대표적 증상
2. 조증 증후군
3. 조울증의 조증 시기의 진단
4. 조증의 치료법
5. 조증의 예방법

Ⅳ. 조울증
1. 조울증의 정의
2. 조울증의 부수적 특징 및 동반되는 정신장애
3. 조울증의 진단
4. 조울증의 원인
5. 조울증의 치료법

Ⅴ. 우울증
1. 우울증의 정의
2. 우울증의 원인
3. 우울증 증상
4. 우울증의 단계별 특징
5. 우울증의 이론들
6. 우울증의 치료법
7. 우울증의 예방법

Ⅵ. 정서장애의 사례연구

Ⅶ. 정서장애에 관련된 영화
1. David and Lisa
2. The Caretakers
3. Baxter

<참고문헌>

본문내용

10. 나는 별 이유 없이 몸이 나른하고 피곤하다.
11. 내 정신은 그전처럼 맑다.
12. 나는 어떤 일이든지 전(前)처럼 쉽게 처리한다.
13. 나는 안절부절해서 가만히 있을 수가 없다.
14. 나의 장래는 희망적이라고 느낀다.
15. 나는 평소보다 짜증이 많아졌다.
16. 나는 매사에 결단력이 있다고 생각한다.
17. 나는 유익하고 필요한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18. 나는 내 삶이 충만하고 의의가 있다고 느낀다.
19. 내가 죽어야 남들이 편할 것 같다.
20. 나는 전과 같이 즐겁게 일한다.
=> 우울증 점수 계산 지침
① 각 항목의 줄 끝에 있는 빈 칸에 응답된 내용의 점수를 기입하시오.
② 1에 표시된 점수를 모두 합산하여 아래쪽 끝의 원점수 칸에 기입하시오.
③ 아래의 원점수 환산표와 자가 측정 우울 척도 지수(SDS INDEX)를 참고하여 원점수에 해당하는 자가 측정 우울 척도 지수를 계산하고 해당 칸에 기입하시오.
④ 치료가 필요한 지를 결정할 의사에게 Zung 우울증 자가 측정표 점수와 이 점수 계산 지침서를 전달해 주시오.
환산표 [ 원점수(RAW SCORE) ---> 자가 측정 우울 척도 지수 (SDS INDEX)]
( 자가 측정 우울 척도 지수 = )
<재미있는 OX퀴즈>
1. 성격이 소심하거나 정신적으로 약한 사람이 우울증에 잘 걸린다(X)
-> 우울증은 당뇨나 관절염과 같은 의학적 병적 상태이다. 성격이 소심한 사람이 당뇨에 잘 걸린다는 말이 없듯이 우울증은 당신이 어떤 약점을 가지고 있거나 정신적으로 나약한 상태를 뜻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우울증에 걸리면 소심해 보이고 무기력해지고, 나약해지는 증상을 나타낼 수 있다.
2.의사로 우울증이라는 진단을 받은 상태라도 저절로 없어진다.(X)
->일시적인 우울한 기분은 저절로 없어질 수 있으나 만약 당신이 의사로부터 우울증이라고 진단 받은 상태라면, 저절로 없어지지 않는다. 치료하지 않고 놔두면, 수개월 혹은 수년간 지속될 것이며 당신의 생활은 황폐해질 것이다. 또한 황폐하고 우울한 기분을 달래기 위해 알코올 중독이나 약물중독이 함께 생길 수 도 있다. 또한 자신의 삶 뿐 아니라, 친구나 가족의 삶에도 괴로움을 주게 된다.
3. 항우울제는 습관성이 없다.(O)
->항우울제는 습관성이 없으며 정해진 기간의 치료를 마치고 항우울제를 끊었을 때 모든 사람에게서 우울증이 다시 발현되지는 않는다.
우울증의 치료 후 재발하는 경우도 있지만 이는 약의 습관성 때문이 아니라 질병의 악화이므로 항우울제를 다시 투여하여야 한다.
Ⅵ. 정서장애의 사례연구
정서장애 어린이 5년새 28% 급증
《장모(41·여·서울 양천구 목동)씨는 최근 초등학교 2학년인 아들의 학교생활 통지표를 받아 보고 충격을 받았다. 담임교사가 “수업시간에 돌아다닐 정도로 산만하니 전문의의 진단을 받아 보라”고 조언했기 때문이다. 전체적인 특수교육 대상자는 소폭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장 씨 아들의 경우처럼 정서장애나 정신지체 아동은 5년 전보다 28%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인적자원부는 최근 5년간 정규 교육기관의 특수교육 대상자를 조사한 결과 대상자가 2001년 5만3896명에서 올해 5만8362명으로 4466명이 증가했다고 2일 밝혔다.
장애 유형별로 보면 시각 청각 등 눈에 띄는 장애아동 수는 큰 변화가 없지만 최근 들어 정서장애와 정신지체 학생이 크게 늘고 있다.
지능지수(IQ) 75 이하인 정신지체 아동은 2만8895명에서 3만3618명으로 5년 전보다 16%, 대인관계에서 심각한 문제를 보이는 정서장애는 4598명에서 5870명으로 28% 늘었다.
서울 신화초등학교에서 특수학급을 담당하는 남금난(南[暖) 교사는 “15년 전엔 특수학급 학생 중 정서장애, 정신지체 학생은 10%도 안 됐지만 현재는 50% 이상”이라고 말했다.
천안대 박현옥(朴賢玉·유아특수교육) 교수는 “대가족 사회에서는 아동이 정서적 장애가 있더라도 가족들과 섞여 살면서 극복할 수 있었다”며 “그러나 핵가족이 일반화되고 맞벌이 부부가 늘면서 부모와의 애착 형성에 문제가 있거나 장애를 발견하고도 제때 치료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고 진단했다.
그러나 연세대 소아청소년정신과 신의진(申宜眞) 교수는 “발생 자체가 늘었다기보다는 진단 기술의 발달로 신체상의 장애뿐 아니라 정서, 정신지체의 ‘발견’이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신 교수는 “정신장애는 만 4, 5세 이전에 치료를 받으면 상당히 호전될 수 있는데 치료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며 “국가 차원의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서울대 소아정신과 김붕년(金朋年) 교수도 “장애인 수업료 면제 등의 혜택과 부모의 인식 변화로 그동안 제대로 파악되지 않던 장애아들이 양지로 노출됐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교육부 이유훈(李裕勳) 특수교육정책과장은 “전국 182개 지역교육청에 장애를 상담할 수 있는 특수교육지원센터를 마련하고 22곳에 전문 인력을 배치했다”며 “점차 전문인력을 늘려 무상으로 장애를 진단받을 수 있도록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Ⅶ. 정서장애에 관련된 영화
1. David and Lisa
정서장애를 지닌 두 10대들의 생활과 치료교육 과정을 그린 영화.
2. The Caretakers
1960년대를 배경으로 정서와 행동장애를 지닌 주인공이 치료교육을 받아 가는 과정을 그린 영화.
3. Baxter
언어치료사가 정서장애를 지닌 아동의 언어를 치료 교육하는 과정을 그린 이야기.
<참고문헌>
최승희. 김수욱 인간관계른 위한 심리학.
고홍화. 현대심리학.
이현주. 이상행도의 심리학
황은숙. 현대인과 정신건강
김광일. 한국인 우울증 증상의 양상
민성길, 김경희. 우울증에서 보는 신체 증상에 관한 연구
김홍규. 인간행동의 이해.
이현수. 치료심리학
정방자. 정신역동적 상담
송영혜. 정서장애 진단 사례집
김경택. 정서장애아의 실태조사와 치료적 지도에 관한 연구
http://user.chollian.net/~jazzy67/Depression.htm
http://www.pfizer.co.kr/health/disease/melancholia.asp
  • 가격2,9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08.09.28
  • 저작시기2008.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15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