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바보온달 줄거리
2) 감상문
3.
결론
4.
참고문헌
서론
2.
본론
1) 바보온달 줄거리
2) 감상문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 자연을 사랑하고, 왜 그 토끼를 죽이려고 두 고개를 보면서 이상하게 보였던 사실을 알았다. 자연에 살면서 자연과 더불어 지내는 바보 온달의 진 모습은 평강공주만 알게 되었다. 어린영혼이 별을 계속 따려고 하는 아픈 아이에게 가보라고 한 것은 그를 어여쁘게 보았기 때문이다. 순수한 마음을 가진 바보온달은 장수로서도 잘 자라고 해냈다. 하지만 자신과 어린 시절을 보냈던 바우를 떠나보내는 마음을 알 것 같았다. 전장에 가서 자신과 시간을 보냈던 바우인 줄 알고 찾아 해매는 순수한 마음은 여전히 남아 있던 것이다. 여기서 온달을 바보라고 보았던 것은 순수한 마음인 것 같다. 자연을 사랑하고, 자연에서 제일 빛나던 사람이다. 그리고 평강 공주도 그의 남편인 온달을 이해하였다. 장수로서의 모습도 멋진 면모를 가졌지만, 미안하다고 남긴 그 말을 죽음 앞에서 이해가 되었다. 이 동화를 다 읽고 눈물이 핑 돌았다. 이 눈물이 무엇이지 하고 생각이 들 때 알았다. 평강 공주가 온달을 생각하고 미안했던 그 마음과 죽을 때 돼서야 평강공주의 마음을 알게 된 온달의 마음이었다. 입으로만 들었던 바보온달의 책이 다시 마음속에 들어왔다. 그리고 늠름한 장군의 온달보다 자연에서 노닐던 온달이 생각난다.
3. 결론
바보온달은 정말 바보가 아니다. 늠름한 장수의 모습으로 전장에서도 멋지다. 그저 자신만 집중하여 다른 사람에게 보이는 부분을 중시 여기지 않은 사람이다. 직위로 보는 것이 아닌, 마음으로 보았던 평강공주의 마음도 알 수 있었던 시간이다.
[참고문헌]
1. 바보 온달 김호민 그림 | 우리교육 | 2003년 12월 15일
3. 결론
바보온달은 정말 바보가 아니다. 늠름한 장수의 모습으로 전장에서도 멋지다. 그저 자신만 집중하여 다른 사람에게 보이는 부분을 중시 여기지 않은 사람이다. 직위로 보는 것이 아닌, 마음으로 보았던 평강공주의 마음도 알 수 있었던 시간이다.
[참고문헌]
1. 바보 온달 김호민 그림 | 우리교육 | 2003년 12월 15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