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도덕발달 6단계
1) 도덕적 수준1 -관습 이전
(1) 제1단계 복종과 처벌지향
(2) 제2단계 이기주의 지향
2) 도덕적 수준 2 - 관습
(1) 제3단계 서로 간의 조화와 순응
(2) 제4단계 권위와 사회 질서의 유지 지향
3) 도덕적 수준 3 - 관습 후기
(1) 사회계약 지향
(2) 보편적 윤리 원칙
2. 측정
3. 한계점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도덕발달 6단계
1) 도덕적 수준1 -관습 이전
(1) 제1단계 복종과 처벌지향
(2) 제2단계 이기주의 지향
2) 도덕적 수준 2 - 관습
(1) 제3단계 서로 간의 조화와 순응
(2) 제4단계 권위와 사회 질서의 유지 지향
3) 도덕적 수준 3 - 관습 후기
(1) 사회계약 지향
(2) 보편적 윤리 원칙
2. 측정
3. 한계점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않았다고 주장한 것이다. 다른 학자인 Harkness et al은 도덕발달 단계는 문화적으로는 보편적이지 않다고 주장하기도 하였다.
Ⅲ. 결론
콜버그의 도덕발달이론은 기본적으로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에 근거하였다. 여기서 콜버그는 피아제가 도덕성을 타율적 도덕성과 자율적 도덕성으로 양분한 것은 도덕성 발달을 지나치게 단순하게 본것이라고 생각했다. 또한 피아제가 주로 어린이를 연구의 대상으로 한 것에서 성인까지 확대하여 도덕성 발달을 확대하여 제시하였다. 그러나 도덕발달이론은 많은 한계점을 나타냈다. 먼저 측정방법에 있어서는 응답자가 솔직하고 일관된 인식을 하고 있다는 것을 증명하지 못하였고 도덕발달을 측정하기에는 부족함을 보이기도 하였다. 그럼에도 콜버그의 도덕발달이론은 오늘날에 도덕발달에 대해서 가장 영향력이 큰 이론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각 나라에서도 환경에 맞게 조금씩 변화하면서 계속해서 응용되고 기초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이론이라고 생각해본다.
Ⅳ. 참고문헌
김진,「콜버그의 도덕발달」, 2013.02.15.
서강식,「피아제와 콜버그의 도덕교육이론」, 인간사랑, 2007.03.31.
존 마틴 리처,「도덕 발달 이론」, 백의, 1999.01.15.
Ⅲ. 결론
콜버그의 도덕발달이론은 기본적으로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에 근거하였다. 여기서 콜버그는 피아제가 도덕성을 타율적 도덕성과 자율적 도덕성으로 양분한 것은 도덕성 발달을 지나치게 단순하게 본것이라고 생각했다. 또한 피아제가 주로 어린이를 연구의 대상으로 한 것에서 성인까지 확대하여 도덕성 발달을 확대하여 제시하였다. 그러나 도덕발달이론은 많은 한계점을 나타냈다. 먼저 측정방법에 있어서는 응답자가 솔직하고 일관된 인식을 하고 있다는 것을 증명하지 못하였고 도덕발달을 측정하기에는 부족함을 보이기도 하였다. 그럼에도 콜버그의 도덕발달이론은 오늘날에 도덕발달에 대해서 가장 영향력이 큰 이론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각 나라에서도 환경에 맞게 조금씩 변화하면서 계속해서 응용되고 기초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이론이라고 생각해본다.
Ⅳ. 참고문헌
김진,「콜버그의 도덕발달」, 2013.02.15.
서강식,「피아제와 콜버그의 도덕교육이론」, 인간사랑, 2007.03.31.
존 마틴 리처,「도덕 발달 이론」, 백의, 1999.01.15.
추천자료
도덕성발달이론의 비교 정리 및 유아기의 도덕성 발달을 위한 지도원리와 도덕성 발달활동에 ...
[교육심리학] 1.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 2. 계속...
(인간과교육 공통) 1. 후기 현대철학적 인간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 있는 인간관의 특징을 ...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발달 이론과 초등교육에서의 적용
콜버그 도덕성 발달 수준이론 - 이론경험사례초등교육 적용 방안
콜버그의 도덕성 이론
학습한 발달이론 중 자신이 가장 선호하는 발달이론 하나를 선택하여, 그 이론의 주요 내용에...
콜버그의 도덕발달이론에 대해 설명하고 한계점은 무엇인지 논의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