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각종 경기 지표
3.
결론
서론
2.
각종 경기 지표
3.
결론
본문내용
는 여러 지표들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하지만 지표는 현실을 단순화한 것이고 측정 가능해야 하는 항목들로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복잡한 현실을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그 예로 교역조건을 들 수 있다. 교역조건이란 수출품과 수입품을 교환하는 비율로 1단위 수출하면 몇 단위를 수입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다. 교역조건은 가격과 수량 변화를 동시에 반영하는 소득교역조건지수와 가격 비율만 반영하는 순상품교역조건지수로 대별할 수 있다. 먼저,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수출물가지수를 수입물가지수로 나눈 지표다. 순상품교역조건이지수가 전년에 비해 상승했다면 수출물가의 상대적 상승이 더 커져 1단위 수출로 더 많은 양을 수입할 수 있다는 의미이고, 반대로 순상품교역조건이지수가 하락했다면 수출물가의 상대적 상승이 더 작으므로 1단위 수출로 더 적은 양을 수입할 수 있다는 의미다. 하지만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가격만을 반영하므로 전체 교역조건이 어떤지를 알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이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지표가 소득교역조건지수다. 소득교역조건지수는 가격 변화만을 반영하는 순상품교역조건지수에 수출물량지수를 곱하여 산출한다. 소득교역조건지수가 상승하면 현 시점에서 수출총액으로 수입 가능한 양이 증가했음을 의미하며, 반대로 소득교역조건지수가 하락하면 현 시점에서 수출총액으로 수입 가능한 양이 감소했음을 의미한다. 이렇듯 지표로부터 정확하게 의미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이용에 앞서 지표가 어떻게 작성되고 구성되는지 그 함의를 알고 있어야 한다.
[참고문헌]
1. 한국은행, 『알기 쉬운 경제지표 해설』, 2019
[참고문헌]
1. 한국은행, 『알기 쉬운 경제지표 해설』, 2019
추천자료
아담 스미스 <국부론 상권>
[정치경제학][자본][정치경제학 비판][전형문제][정치경제학 모델]정치경제학 정의, 정치경제...
(숲과삶 A형) 대기오염에 의해 숲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설명하고, 숲의 생물다양...
[분석] 핑크플로이드의 더 월
[경제학개론]정부나 연구소들이 경제 혹은 산업을 파악하기 위한 체계
경제학개론 ) 정부나 연구소들이 경제 혹은 산업을 파악하기 위한 체계에 대해 설명하시오
2021년 경제학개론-정부나 연구소들이 경제 혹은 산업을 파악하기 위한 체계에 대해 설명하시오
A+리포트 정부나 연구소들이 경제 혹은 산업을 파악하기 위한 체계에 대해 설명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