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Ⅳ.
참고문헌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부모를 무시할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인은 기다릴 것이다. 잘못한 것을 덮어주지는 않겠지만 아이의 진실 된 용서와 후회를 끝까지 기다릴 준비가 되어있다. 아이들은 ‘들어주는 사람’이 필요하다. 자신에게 관심을 보이고 사랑을 나누어줄 사람이 필요하다. 스스로 자신이 잘못한 점을 깨닫고,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며 살아가야 할지에 대한 계획을 짤 수 있도록 묵묵히 기다려 줄 것이다.
Ⅲ. 결론
인간은 타고나는 것도 있지만 대부분은 어린 시절 경험한 것들로 삶에 대한 자세를 만들어 나간다. 특히 문제가 되는 부분에 있어서는 부모나 가정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가족에게 무관심하거나 폭력적인 관계 속에서도 별 다른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아이들도 많지만 비행 청소년들은 어른의 요인이 작용하는 경우도 많다. 어른들이 잘못한 것에 대해서는 우리들이 도와야 할 필요가 있다. 특히 그들을 가르치는 교사의 경우 더 큰 희생을 요구하는 것이다. 미즈타니 오사무가 주장한 것처럼 아이들은 잘 가꿔주어야 좋은 꽃을 피운다. 꽃이 피어나는 것을 보는 것이 바로 교사가 느끼는 가장 큰 성취감일 것이다. 따라서 어른들, 특히 교사들은 학생들에게 무조건적인 처벌보다는 어느 정도의 믿음과 사랑을 주고 기다릴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Ⅳ. 참고문헌
김영광(2012), “청소년이 지각한 부자유친성정과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김민정(2014), “비공식낙인이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 부모, 교사, 친구애착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Ⅲ. 결론
인간은 타고나는 것도 있지만 대부분은 어린 시절 경험한 것들로 삶에 대한 자세를 만들어 나간다. 특히 문제가 되는 부분에 있어서는 부모나 가정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가족에게 무관심하거나 폭력적인 관계 속에서도 별 다른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아이들도 많지만 비행 청소년들은 어른의 요인이 작용하는 경우도 많다. 어른들이 잘못한 것에 대해서는 우리들이 도와야 할 필요가 있다. 특히 그들을 가르치는 교사의 경우 더 큰 희생을 요구하는 것이다. 미즈타니 오사무가 주장한 것처럼 아이들은 잘 가꿔주어야 좋은 꽃을 피운다. 꽃이 피어나는 것을 보는 것이 바로 교사가 느끼는 가장 큰 성취감일 것이다. 따라서 어른들, 특히 교사들은 학생들에게 무조건적인 처벌보다는 어느 정도의 믿음과 사랑을 주고 기다릴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Ⅳ. 참고문헌
김영광(2012), “청소년이 지각한 부자유친성정과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김민정(2014), “비공식낙인이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 부모, 교사, 친구애착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