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언은 지엽적으로 오차를 보일 수는 있지만 대세적으로 당대 역사를 제대로 반영하는 것이다. 특히, 그것이 소수가 아니라 다수의 일치된 의견이라면 그것이 가지는 힘은 활자로 써진 사료보다 확실히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일제 치하에서 피해를 봤다고 증언하는 사람의 주장을 반박할만한 증거는 찾기 힘들다. 활자 기록물 역시 누군가의 주장이고 기억에 지나지 않기 때문이다.
이 땅에서 더 이상 일제 치하의 고통을 폄하하거나 비하하는 증언이 들리지 않기를 바란다. 특히, 문헌에 근거를 둔 역사 왜곡과 부정에 대해서는 독일의 \'아우슈비츠 거짓말법\'처럼 법적으로 처벌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되기를 바란다. 역사 부정은 당사자에 대한 피해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속한 집단, 국가의 법익을 훼손하는 일이기 때문이다.
이 땅에서 더 이상 일제 치하의 고통을 폄하하거나 비하하는 증언이 들리지 않기를 바란다. 특히, 문헌에 근거를 둔 역사 왜곡과 부정에 대해서는 독일의 \'아우슈비츠 거짓말법\'처럼 법적으로 처벌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되기를 바란다. 역사 부정은 당사자에 대한 피해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속한 집단, 국가의 법익을 훼손하는 일이기 때문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