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복지론_살기 좋은 지역사회를 위한 지역사회복지실천계획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역사회복지론_살기 좋은 지역사회를 위한 지역사회복지실천계획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 경기도의 문제점
2.
본론 : 살기 좋은 경기도를 위한 실천계획과 전략
3.
결론 : 좋은 지역사회를 위한 노력이 미치는 영향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될 수 있도록 현황을 파악하고 적절히 지원해야 한다. 각 분과별로 단체의 수나 활동내역을 조사하고 분과별 민간단체의 수가 많거나 부족한 지역을 파악하고 그 원인을 분석하여 문제점이 있으면 찾아내야 한다. 그리고 그러한 문제의 진단이나 해결에 있어 반드시 지역 내 민간단체와 역할을 분담하여 각 단체의 자생력이 훼손되지 않으면서도 도내 복지에 기여할 수 있는 기회를 배분해야 할 것이다. 특히 문화단체의 경우 단체가 속한 지역의 테두리를 벗어나는 활동에 쉽게 참여할 수 없지만 그러한 기회를 원하는 경우가 많다. 도 차원에서 여러 가지 문화행사와 대회, 공연 등의 주최와 협조를 통해 경기도 문화단체들의 육성과 활동 확장을 돕고 도민들의 문화 욕구 충족과 소외 지역의 문화적 격차 해소에 앞장서야 할 것이다.
민간단체들 역시 지방정부나 의회의 정책에 의존하기보다는 스스로 인근 단체들과의 연계를 통해 각각의 단체가 목적하는 바에 대한 지역적 공감을 넓히고 더 많은 사람들이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나가야 할 것이다. 지금은 행정 업무를 처리하는 용도로만 사용하다시피 하는 주민 센터나 근린공원을 적극 활용하여 지역사회 공동체의 정치, 행사, 문화적 공간으로 만들어나가야 할 것이다.
3. 결론 : 좋은 지역사회를 위한 노력이 미치는 영향
내가 살고 있는 지역을 동 단위로 보든지 도 단위로 보든지,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 지역의 발전을 책임지고 있는 것은 어딘가에 있는 다른 사람들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좋은 지역사회를 만들기 위한 노력은 바로 그 안에 살고 있는 사람들에 의해 이루어져야 한다. 더 나은 이미지를 구축하고, 지역 안의 공생과 협력의 연결을 단단히 맺으며, 내가 살고 있는 지역을 자랑스럽게 여기고 그 안에 있는 민관의 업무에 관심을 가지고 스스로 참여해 나가야 한다. 경기도를 더 살기 좋게 만들 수 있는 것은 도지사가 아니라 경기도민이어야 한다. 그래야 정권이 바뀌고 정책이 바뀌어도 내가 살고 있는 이 지역만큼은 확고한 하나의 문화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그것이 위정자를 압도해야 실제 여기에 살고 있는 사람들을 위한 정책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4. 참고문헌
제주의소리, 송민재, 2020.7.31. 코로나 19로 더 어려워진 취약계층 따뜻한 관심 가져주세요
한겨레, 김양진, 2020.9.1. 코로나 19로 가장 어려운 점? 취약계층 일자리 43.5%, 조합원 건강 20.7%
엄태영, 지역사회복지론, 신정

키워드

레포트,   과제,   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3.05.19
  • 저작시기2023.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089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