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Ⅳ.
참고문헌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부모님 이해하기
부모가 된 자신에게 편지쓰기
8
회기
너는 멋진 사람이야
자신과 가족이 현재 처한 상황과는 상관없이 자신이 얼마나 사랑받는 존재인지 알아가게 함.
시청각 교육 후 느낀 점 작성하기
9
회기
나도 멋진 사람이야
자신의 장점 및 상대방의 장점을 수용함으로써 각자 얼마나 소중한 존재인지 인지시켜줌.
친구의 장점을 카드에 적어서 전달하기
자신의 카드를 보면서 이야기 나누기
10
회기
문제가 무엇일까?
부모의 이혼으로 인하여 자신에게 생길 수 있는 각종 문제를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함.
부모 이혼 후 내가 가장 힘들고 걱정되는 점공유하기
11
회기
나에게는 꿈이 있어요
이혼의 지속성을 인식시키고, 가족구조의 변화와 자신을 새롭게 정립할 수 있도록 함.
다양한 가족형태 알기
가족의 변화에 대한 가능성 생각해보기
12
회기
작별인사
집단활동에 대한 감정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며, 종료 후에도 지원받을 수 있는 자원을 탐색하여 연계해줌.
소감발표하기
다과나누기
롤링페이퍼
Ⅲ. 결론
이상 과제에서는 이혼가정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하는 정서지원 프로그램에 대하여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이혼가정 청소년 대상 정서지원 프로그램은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으나, 그 중에서도 집단활동을 적합한 활동으로 생각하는 이유는 나와 비슷한 환경에서 생활하는 상대방에 대한 문제를 경청함으로써 자기만이 겪는 문제가 아리나는 것을 인식하여 심리적 고립감과 죄책감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다른사람으로부터 공감적 이해와 따뜻함,지지, 수용을 통하여 자아존중감을 증대시키고, 집단상황을 통하여 자연스러운 감정 표출과 피드백을 통한 감정 교환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집단활동이 적합하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이혼가정 청소년에게 집단활동은 부모에 대한 감정 해소 및 새로운 환경 대처 방법과 부모의 이혼을 이해하고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Ⅳ. 참고문헌
전명희(2002). 이혼가정 자녀의 적응력 향상을 위한 개입방안 연구. 한국연구재단.
이영숙(2019). 이혼가정 청소년의 참만남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연구. 성산효대학원대학교.
권기숙(2005). 품성계발 프로그램이 이혼가정 청소년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성지희(2006). 이혼가정 청소년들의 부모이혼 후 심리, 사회적 적응을 위한 집단사회사업 적용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부모가 된 자신에게 편지쓰기
8
회기
너는 멋진 사람이야
자신과 가족이 현재 처한 상황과는 상관없이 자신이 얼마나 사랑받는 존재인지 알아가게 함.
시청각 교육 후 느낀 점 작성하기
9
회기
나도 멋진 사람이야
자신의 장점 및 상대방의 장점을 수용함으로써 각자 얼마나 소중한 존재인지 인지시켜줌.
친구의 장점을 카드에 적어서 전달하기
자신의 카드를 보면서 이야기 나누기
10
회기
문제가 무엇일까?
부모의 이혼으로 인하여 자신에게 생길 수 있는 각종 문제를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함.
부모 이혼 후 내가 가장 힘들고 걱정되는 점공유하기
11
회기
나에게는 꿈이 있어요
이혼의 지속성을 인식시키고, 가족구조의 변화와 자신을 새롭게 정립할 수 있도록 함.
다양한 가족형태 알기
가족의 변화에 대한 가능성 생각해보기
12
회기
작별인사
집단활동에 대한 감정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며, 종료 후에도 지원받을 수 있는 자원을 탐색하여 연계해줌.
소감발표하기
다과나누기
롤링페이퍼
Ⅲ. 결론
이상 과제에서는 이혼가정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하는 정서지원 프로그램에 대하여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이혼가정 청소년 대상 정서지원 프로그램은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으나, 그 중에서도 집단활동을 적합한 활동으로 생각하는 이유는 나와 비슷한 환경에서 생활하는 상대방에 대한 문제를 경청함으로써 자기만이 겪는 문제가 아리나는 것을 인식하여 심리적 고립감과 죄책감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다른사람으로부터 공감적 이해와 따뜻함,지지, 수용을 통하여 자아존중감을 증대시키고, 집단상황을 통하여 자연스러운 감정 표출과 피드백을 통한 감정 교환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집단활동이 적합하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이혼가정 청소년에게 집단활동은 부모에 대한 감정 해소 및 새로운 환경 대처 방법과 부모의 이혼을 이해하고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Ⅳ. 참고문헌
전명희(2002). 이혼가정 자녀의 적응력 향상을 위한 개입방안 연구. 한국연구재단.
이영숙(2019). 이혼가정 청소년의 참만남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연구. 성산효대학원대학교.
권기숙(2005). 품성계발 프로그램이 이혼가정 청소년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성지희(2006). 이혼가정 청소년들의 부모이혼 후 심리, 사회적 적응을 위한 집단사회사업 적용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