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중국에 나타난 90년대 출생 소비자들의 특성, 샤오미와 알리바바를 중심으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현대 중국에 나타난 90년대 출생 소비자들의 특성, 샤오미와 알리바바를 중심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Ⅱ.주링허우
1. 90년대 이후 소비자, 주링허우의 특성
2. 주링허우 가치관 변화의 원인
Ⅲ.결론

본문내용

이다. 얼굴이 잘생기지도 않았고, 집안이 부자였던 것도 아니고, 특별히 명문대를 나오지 않은데다가 연줄도 없던 그였지만 혁신적인 정신을 강조하며 세계적인 기업의 자리에 우뚝 섰다.
개천에서 용 난 격인 마윈의 성공신화는 주링허우의 자아실현 욕구에 불을 붙였다. 꿈을 이루지 못하고 남의 아래에서 일하며 돈을 버는 것보다는, 내가 하고 싶은 일을 하면서 돈을 덜 버는 게 행복한 일이다. 마윈은 본인이 행복한 일을 열심히 했고 결국은 성공했으니 나도 저렇게 될 수 있을 것이다. 개척하는 삶의 가치를 알게 된 이상 남의 밑에서 남의 돈을 받아가며 살아가는 삶이 불안정해 보일 수밖에. 지금 이 순간에도 알리바바는 꾸준히 성장하고 있고, 마윈이 말한 삼 일째에 볼 태양을 상상하며 수많은 주링허우는 오늘도 꿈을 이루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Ⅲ. 결론
지금까지 1990년대 이후 소비자, 주링허우의 특징과 가치관 변화의 원인을 알아보았다. 신세대가 기성세대에 비해 자유분방한 사고를 하고 개방적인 가치관을 가지는 일은 허다하지만 주링허우에게 이목이 집중되는 까닭은 중국이 무시할 수 없는 강대국의 반열에서 내려오지 않으리라는 증거이다. 그들이 다른 국가의 청년들과 다르게 미래를 기다릴 수 있는 원동력은 모든 수고를 긍정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호방함과 남의 성공을 나의 성공으로 만들 수 있다는 자신감, 어려운 상황에서 현재를 일구어낸 중국이라는 나라의 자부심일 수도 있다. 한 마디로 주링허우는 어디에서 뚝 떨어진 존재가 아니라 기성세대의 타산지석이며 온고지신의 결정체라는 것이다.
폐쇄적이었던 기성세대를 대신해서, 물밀 듯 들어오는 세계화에 발맞추어 나가는 젊은 주링허우는 중국의 시선을 더 넓게 만들 수 있다. 아마 지금보다는 개방적인 나라를 만들 수 있으리라고 기대해본다. 풍부한 인적 자원과 지원으로 중국이 어디까지 갈 수 있을 것인지 궁금하기도 하다.
다만 여전히 우려스러운 점은 존재한다. 중국이 공산주의의 탈을 쓴 자본주의 체제를 끝까지 고수했을 때 주변국들과 어긋날 사상부터 시작해서, 세계 경제가 코로나와 각종 재해로 침체되는 중에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성공의 반열에 오를 것이며, 오르지 못한 사람들은 어떻게 되는 것인가. 누군가의 성공 신화가 아름답게 포장되어 청년들의 인생을 고단하게 만드는 것은 아닐까? 정말로 어려운 시절을 겪어보지 못한 젊은 세대가 그저 아름다운 꿈만 꾸고 있는 것은 아닌지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키워드

레포트,   과제,   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3.05.19
  • 저작시기2023.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089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