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스컴과대중문화-아시아 국가에서 나타난 한류 상황 (아시아 국가에서 나타나고 있는 전반적인 상황이나 수강생이 선택한 특정 국가의 상황 집중 조사, 연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매스컴과대중문화-아시아 국가에서 나타난 한류 상황 (아시아 국가에서 나타나고 있는 전반적인 상황이나 수강생이 선택한 특정 국가의 상황 집중 조사,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아시아국가에 나타난 전반적 한류 상황

(2) 인도네시아의 경제와 한국과의 교류관계

(3) 인도네시아에 나타난 한류
3.
결론

본문내용

터 지금까지 게임 시장을 성장하고 있으며 모바일 게임을 중심으로 이어가고 있다. ‘크레온’, ‘게임링크’, ‘제페토’ 등의 게임회사가 인도네시아에 상품을 출시하고 있으며 온라인 PC 게임은 ‘포인트 블랭크’가 2009년 이후 70% 시장 점유율을 나타내고 있으며 모바일 게임은 ‘라그나로크 M’과 ‘검은사막’, ‘모두의 마블’과 ‘7개의 대죄’ 등이 상위권을 기록하고 있다.
현재 새로운 게임 프로그램의 출시는 이전의 게임과 세대교체를 해가면서 인도네시아에 게임문화를 장악하고 있다.
⑥ 기타
한국 방송사와 주요 방송 콘텐츠가 인도네시아에서 인도네시아어 자막과 콘텐츠를 제공하면서 유튜브가 인기를 얻고 있으며, 한국계 유튜버들의 인도네시아어 방송을 통해 많은 구독자를 확보하고 있다. 한국인 유튜버인 장한솔과 하리지선, 써니다혜, 황우중, 한유라 등이 유튜브 채널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한편 라인 웹튠이 2015년 이후 한국만화의 현지화를 통해 인도네시아 현지 작가를 발굴하면서 호응을 얻고 있으며, 인도네시아의 만화산업의 유통경로를 쉽게 하여 만화 산업 생태계에 변화를 주고 있으며, 한류 웹튠의 전파를 달성하고 있다. 이러한 웹튠의 인기는 극장 영화로 제작되어 영상화되고 있으며, ‘에그노이드’, ‘뜨랄루땀빤’등은 극장 개봉후 흥행하였으며 앞으로 지속적 영화할 계획이다.
또한, 학습만화를 중심으로 한류 출판 도서도 인기를 얻고 있는데, 2009년 ‘Why’학습 만화 시리즈는 2019년 누적 200만부가 넘게 판매되고 있으며,‘82년생 김지영’과 ‘죽고 싶지만 떡볶이는 먹고 싶어’, ‘엄마를 부탁해’의 책이 월간 베스트셀러에 올랐다. 그리고, 스마트폰 보급의 확산으로 제페토, 아자르 등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높은 매출을 기록하고 있다.
3. 결론
지금까지 아시아 국가의 전반적인 한류의 상황을 정리하고, 인도네시아와 한류의 관계, 그리고 인도네시아의 한류상황을 조사하였다. 아시아권 한류의 인식은 K-Pop과 한식으로 떠올리고, 과도한 상업성과 선정성, 한국과의 정치와 외교, 역사적 문제와 북한문제한류콘텐츠의 부정인식으로 작용하며, 생소한 한국어, 맞지않는 한국식 웃음코드는 호감 저해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아시아권의 한류상황을 알아보는 것은 앞으로 한국콘텐츠의 발전방안을 고려하는데 도움이 된다. 인도네시아는 다른 국가에 비해 한국에 대한 호감도가 높고, 문화 수용성이 높으며, 한국과의 교류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방송, 게임, 음악, 음악 및 기타 분야에서 한국 콘텐츠가 자연스럽게 자리잡고 있었다. 라면은 일본의 100배 수출하고, 음악은 방탄소년단이 장악하는 등의 활약을 보이고 있다. 한류는 중국을 시작으로 시작되었지만 현재는 세계 여러 곳에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고, 특히 인도네시아와 같은 동남아시아에서 열풍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이때, 우리는 앞서 살펴보았던 한류에 대한 호감요인과 호감저해요인 등을 꼼꼼히 점검하여 긍정적인 한류의 전파에 힘써야 할 것이다. 이번 과제를 통해 한류는 여가활동의 변화와 같은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요소이며, 국가의 긍정적 이미지 제고와 부가적 수익창출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다시한번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한류에 대한 이해는 한국의 문화 창출과 연관되는 안목을 높이는 데 도움될 것으로 기대한다.
[참고문헌]
1. 장옥수(2013). 한류의 영향에 관한 연구: 아시아지역 문화콘텐츠에 대한 영향을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 김영준(2020). 『인도네시아 콘텐츠산업동향』.한국콘텐츠진흥원.
3. 김용락(2020). 『2020 글로벌 한류 트렌드』.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4. 정길화(2021). 『2021 글로벌 한류 트렌트』.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5. Lembaga Ilmu Pengetahuan Indonesia(www.lipi.go.id)
6. 고찬유 기자. 《“7배나 비싼데”… 한국 라면 인기 비결》. 2021. 04. 29. 한국일보.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1042711000000331
7. 앤드루 정 기자.《인도네시아 화장품 시장, ‘K-뷰티’ 성공요인은?》. 2021. 09. 10.
화장품 뷰티 뉴스. https://www.cosinkorea.com/mobile/article.html?no=40533
8. 성혜미 기자. 《동남아 ‘K-뷰티’인기…자카르타에 한국 화장품 전용 스토어》.
2021. 10. 15. 연합뉴스.

키워드

레포트,   과제,   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3.05.22
  • 저작시기2023.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093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