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보육인력의 현 상황, 정책과 문제점
1) 과도한 근무 시간, 업무량
2) 노동 대비 낮은 임금
3) 높은 이직과 퇴직률
4) 개인상담 및 연수 지원 부족
Ⅲ.
결론
Ⅳ.
참고문헌
서론
Ⅱ.
본론
1. 보육인력의 현 상황, 정책과 문제점
1) 과도한 근무 시간, 업무량
2) 노동 대비 낮은 임금
3) 높은 이직과 퇴직률
4) 개인상담 및 연수 지원 부족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져서 보육 인력 확보에 도움이 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정책적으로 교사의 교육을 보장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교사가 연수를 간 경우 대체인력을 투입해주거나 기관으로 방문하는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교육, 연수로 인해 부재중인 것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거두는 프로젝트로 함께 진행하면 좋을 것 같다.
Ⅲ. 결론
사회적 변화에 따라서 보육환경에 관한 관심이 크게 향상되었고 빠르게 변화하게 되었다. 덩달아 보육 환경과 교사에 대한 정책도 변화하고 있다. 이는 많은 보육현장 종사자가 긍정적이고 바라오던 부분인 것 같다. 그만큼 감춰져 있던 현실과 요구사항이 쏟아져 나오고 있는 것 같다. 필자는 개인적으로 현장에 대한 보육정책은 걸음마와 같고 확장이 시작되는 단계라고 생각한다. 초반에 결과에 치중해서 겉만 멋진 정책보다는 현장에서 진짜로 필요한 부분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계획해 나아가야 훗날 영유아 보육과 교육의 품격이 결정될 것이다. 지금 시행되고 있는 부분들이 잘 유지되면서 꾸준한 개정을 통해서 유익하고 알맞은 정책으로 발전해나가기를 희망한다.
[참고자료]
- 김경은. (2017).고경력 보육교사가 직무에 대해 느끼는 어려움과 요구(석사). 배재대학교
- 김현주. (2012).업무환경과 정소노동이 보육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석사). 서울시립대학교
- 배선숙. (2014).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석사). 경남과학기술대학교
- “9시간 36분 일하고 18분 휴식...보육교사 현실 아시나요?”,한겨례,2018년08월15일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854176.html
- “보육교사 10명 중 7명”원장이 갑질“...정부 조사와 결과 다른 이유”,한겨례,2020년01월08일,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923647.html
- “어린이집 보조, 연장보육교사 확대...4대보험 30% 정부지원”,뉴시스,2020년01월23일,https://newsis.com/view/?id=NISX20200123_0000898177&cID=10201&pID=10200
- “복지부 어린이집 교사 페이백...엄정 조치”,이데일리,2020년04월09일,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2699446625734480&mediaCodeNo=257&OutLnkChk=Y
- “포용 사회 도약을 위한 사회서비스 혁신!”,보건복지부,2019년09월19일,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350917
- “아동의 기본권과 복지 증진에 대한 국가 책임을 강화합니다!”,보건복지부,2019년09월24일,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350969
Ⅲ. 결론
사회적 변화에 따라서 보육환경에 관한 관심이 크게 향상되었고 빠르게 변화하게 되었다. 덩달아 보육 환경과 교사에 대한 정책도 변화하고 있다. 이는 많은 보육현장 종사자가 긍정적이고 바라오던 부분인 것 같다. 그만큼 감춰져 있던 현실과 요구사항이 쏟아져 나오고 있는 것 같다. 필자는 개인적으로 현장에 대한 보육정책은 걸음마와 같고 확장이 시작되는 단계라고 생각한다. 초반에 결과에 치중해서 겉만 멋진 정책보다는 현장에서 진짜로 필요한 부분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계획해 나아가야 훗날 영유아 보육과 교육의 품격이 결정될 것이다. 지금 시행되고 있는 부분들이 잘 유지되면서 꾸준한 개정을 통해서 유익하고 알맞은 정책으로 발전해나가기를 희망한다.
[참고자료]
- 김경은. (2017).고경력 보육교사가 직무에 대해 느끼는 어려움과 요구(석사). 배재대학교
- 김현주. (2012).업무환경과 정소노동이 보육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석사). 서울시립대학교
- 배선숙. (2014).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석사). 경남과학기술대학교
- “9시간 36분 일하고 18분 휴식...보육교사 현실 아시나요?”,한겨례,2018년08월15일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854176.html
- “보육교사 10명 중 7명”원장이 갑질“...정부 조사와 결과 다른 이유”,한겨례,2020년01월08일,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923647.html
- “어린이집 보조, 연장보육교사 확대...4대보험 30% 정부지원”,뉴시스,2020년01월23일,https://newsis.com/view/?id=NISX20200123_0000898177&cID=10201&pID=10200
- “복지부 어린이집 교사 페이백...엄정 조치”,이데일리,2020년04월09일,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2699446625734480&mediaCodeNo=257&OutLnkChk=Y
- “포용 사회 도약을 위한 사회서비스 혁신!”,보건복지부,2019년09월19일,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350917
- “아동의 기본권과 복지 증진에 대한 국가 책임을 강화합니다!”,보건복지부,2019년09월24일,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350969
추천자료
[유아교육기관운영 A+] 영유아 보육 및 교육기관의 지도자의 자질 및 특성에 대한 고찰
[보육학개론]창의성과 보육교사의 자질과 역할
[영유아발달] 발달심리의 연구목적(기술, 설명, 적용, 예측) 및 연구절차(문제 제기, 문헌 탐...
영유아보육기관과 지역사회의 중요성에 대하여 설명하고 지역사회의 인적, 물적 자원을 보육...
어린이집에서 남성교사들이 많이 근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라는 주제에 대해 당신의 생각은? ...
<<영유아보육학>> 2004년 전면 개정된 [영유아보육법]의 주요 특성에 대해 설명, 이러한 특성...
보육의 필요성을 사회적 측면, 영유아의 발달적 측면, 교육적 측면에서 설명하시오
최근 선진국(OECD)을 중심으로 DeSeCo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다. OECD DeSeCo 프로젝트에서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