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사건 ····························································· 2p
2. 메르스 사건 ····························································································· 2p
3. 가습기 살균제 사건 ············································································· 3p
Ⅱ. 본론
4. 세 사건의 공통 반응
4.1. 공포 ·················································································································· 4p
4.2. 분노 ·················································································································· 5p
4.3. 공감 ·················································································································· 5p
Ⅲ. 결론
5. 사람들의 반응이 조성하는 더 나은 환경 ·································· 6p
<참고문헌> ······································································································ 6p
1.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사건 ····························································· 2p
2. 메르스 사건 ····························································································· 2p
3. 가습기 살균제 사건 ············································································· 3p
Ⅱ. 본론
4. 세 사건의 공통 반응
4.1. 공포 ·················································································································· 4p
4.2. 분노 ·················································································································· 5p
4.3. 공감 ·················································································································· 5p
Ⅲ. 결론
5. 사람들의 반응이 조성하는 더 나은 환경 ·································· 6p
<참고문헌> ······································································································ 6p
본문내용
코로나19로 인해 긴장감이 감도는 전남대병원 국가지정음압격리병동에 30개의 과일 컵을 선물로 보낸 이야기가 나온다. 양설아 간호사는 메르스 사건 당시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나 아니면 누가 하겠어요’라고 답해 화제가 됐던 인물로, 이번 선물을 준비한 이유로 “코로나19가 장기화하면서 격리병동에서 고생하고 있을 동료들이 생각나 응원 차 보내게 됐다”면서 “5년 전 나에게도 큰 힘이 됐던 선배들의 격려를 받은 대로 전해주고 싶었다”고 말했다. 이처럼 자신이 먼저 겪었던 힘겨웠던 경험을 통해 현장에 뛰고 있는 동료들을 이해하고 공감한다는 이야기들이 언론을 통해 전해지고 있다.
가습기 살균제 사건의 경우 역시 피해자들의 아픔에 공감하는 대중들이 있었기에 문제가 수면 위로 드러날 수 있었으며, 관련 기관에서 그로 인해 더 적극적인 대처를 진행했다. 텔레비전 프로그램 ‘영재발굴단’에 등장한 가습기살균제 피해자 14살 준석이의 이야기는 많은 사람이 다시 그 사건에 주목하게 했고, 대중들은 그 피해사례 말고도 수많은 피해자의 이야기에 공감하고 그것들을 널리 퍼뜨리는 데 일조했다. 타인의 공감이 아니었다면 이러한 불공정한 일은 개인보다 큰 권력에 의해 묻혀 해결되지 못했을 것이다. 사람들은 이타적으로 타인의 불행에 측은지심을 가지며, 제 일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제 일처럼 공감한다. 그리고 이 공감은 사건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필수적이며, 이처럼 아주 큰 역할을 한다.
Ⅲ. 결론
5. 사람들의 반응이 조성하는 더 나은 환경
특정 사건에 대해 사람들이 반응하는 것은 단순히 반응으로 끝나지 않는다. 그들은 자신들의 그러한 표현을 통해 세상이 바뀌어야 한다고 이야기한다. 우리는 그럼으로써 더 안전한 환경 속에서 살게 된다.
인간의 특징은 환경에 지배되지 않고 환경을 지배한다는 점이다. 물론 자연재해와 같은 것들은 완벽히 지배할 순 없지만, 인간은 자신이 사는 곳을 더 살기 좋게 만들고자 하는 의지가 있으며 그것을 실천한다. 후대에 자신이 겪은 삶보다 더 나은 삶의 환경을 제공해주고자 하기 때문이다. 인간은 위와 같은 재해에 대해 항상 공포, 분노, 공감한다. 그 큰 세 가지 감정은 다른 세부적인 반응을 유발하고, 그 개개인의 반응이 모여서 커지면 그러한 의견은 힘을 갖게 된다. 그 힘으로 해결되지 않을 것 같던 문제가 해결되고, 공정하지 못했던 일이 바로잡힌다.
따라서 사람들이 사건에 대해 적절히 반응하는 것과 그 반응을 자세히 살피는 것은 중요하다. 그것이 바로 문제 해결의 핵심 열쇠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위의 큰 세 가지 사건을 통해 우리는 앞으로 다가올 일들을 예상하고 대처하는 데 도움이 될 만한 사항을 미리 배울 수 있었다. 우리는 한 번 겪어보고 반응했기 때문에, 이후에 비슷한 일이 일어난다면 지금보다는 더 잘 대처할 것이며, 앞으로는 점점 더 잘 대처할 것이다. 하지만 반응하지 않고, 반응을 살피지 않는다면 그러한 진전은 없다. 그러므로 타인의 일에 무뎌져선 안 된다. 그 일을 내 일처럼 생각하고, 그들이 하고자 하는 일에 동참한다면 우리는 후대에 더 나은 삶의 환경을 제공할 것이다.
<참고문헌>
[1] 시사상식사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pmg 지식엔진연구소, 2020
[2] 시사상식사전,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pmg 지식엔진연구소, 2018
[3] 시사상식사전, 「가습기살균제 사건」, pmg 지식엔진연구소, 2019
[3] ‘메르스 전사’가 ‘코로나 전사’에 보낸 감동의 격려, 중앙일보헬스미디어, 2020년 3월 13일(https://jhealthmedia.joins.com/article/article_view.asp?pno=21538)
가습기 살균제 사건의 경우 역시 피해자들의 아픔에 공감하는 대중들이 있었기에 문제가 수면 위로 드러날 수 있었으며, 관련 기관에서 그로 인해 더 적극적인 대처를 진행했다. 텔레비전 프로그램 ‘영재발굴단’에 등장한 가습기살균제 피해자 14살 준석이의 이야기는 많은 사람이 다시 그 사건에 주목하게 했고, 대중들은 그 피해사례 말고도 수많은 피해자의 이야기에 공감하고 그것들을 널리 퍼뜨리는 데 일조했다. 타인의 공감이 아니었다면 이러한 불공정한 일은 개인보다 큰 권력에 의해 묻혀 해결되지 못했을 것이다. 사람들은 이타적으로 타인의 불행에 측은지심을 가지며, 제 일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제 일처럼 공감한다. 그리고 이 공감은 사건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필수적이며, 이처럼 아주 큰 역할을 한다.
Ⅲ. 결론
5. 사람들의 반응이 조성하는 더 나은 환경
특정 사건에 대해 사람들이 반응하는 것은 단순히 반응으로 끝나지 않는다. 그들은 자신들의 그러한 표현을 통해 세상이 바뀌어야 한다고 이야기한다. 우리는 그럼으로써 더 안전한 환경 속에서 살게 된다.
인간의 특징은 환경에 지배되지 않고 환경을 지배한다는 점이다. 물론 자연재해와 같은 것들은 완벽히 지배할 순 없지만, 인간은 자신이 사는 곳을 더 살기 좋게 만들고자 하는 의지가 있으며 그것을 실천한다. 후대에 자신이 겪은 삶보다 더 나은 삶의 환경을 제공해주고자 하기 때문이다. 인간은 위와 같은 재해에 대해 항상 공포, 분노, 공감한다. 그 큰 세 가지 감정은 다른 세부적인 반응을 유발하고, 그 개개인의 반응이 모여서 커지면 그러한 의견은 힘을 갖게 된다. 그 힘으로 해결되지 않을 것 같던 문제가 해결되고, 공정하지 못했던 일이 바로잡힌다.
따라서 사람들이 사건에 대해 적절히 반응하는 것과 그 반응을 자세히 살피는 것은 중요하다. 그것이 바로 문제 해결의 핵심 열쇠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위의 큰 세 가지 사건을 통해 우리는 앞으로 다가올 일들을 예상하고 대처하는 데 도움이 될 만한 사항을 미리 배울 수 있었다. 우리는 한 번 겪어보고 반응했기 때문에, 이후에 비슷한 일이 일어난다면 지금보다는 더 잘 대처할 것이며, 앞으로는 점점 더 잘 대처할 것이다. 하지만 반응하지 않고, 반응을 살피지 않는다면 그러한 진전은 없다. 그러므로 타인의 일에 무뎌져선 안 된다. 그 일을 내 일처럼 생각하고, 그들이 하고자 하는 일에 동참한다면 우리는 후대에 더 나은 삶의 환경을 제공할 것이다.
<참고문헌>
[1] 시사상식사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pmg 지식엔진연구소, 2020
[2] 시사상식사전,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pmg 지식엔진연구소, 2018
[3] 시사상식사전, 「가습기살균제 사건」, pmg 지식엔진연구소, 2019
[3] ‘메르스 전사’가 ‘코로나 전사’에 보낸 감동의 격려, 중앙일보헬스미디어, 2020년 3월 13일(https://jhealthmedia.joins.com/article/article_view.asp?pno=21538)
추천자료
[생명과환경] 한국인의 코로나 19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반응과 메르스에 대한 반응...
[생명과환경] 한국인의 코로나 19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반응과 메르스에 대한 반응...
[생명과환경 공통] 한국인의 코로나 19(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반응과 메르스에 대한 ...
생명과환경2공통)한국인의 코로나 19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반응과 메르스에 대한 ...
한국인의 코로나 19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반응과 메르스에 대한 반응 (및 또는 가...
생명과환경] 한국인의 코로나 19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반응과 메르스에 대한 반응 ...
[생명과환경] 한국인의 코로나 19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반응과 메르스에 대한 반응...
[생명과환경] 한국인의 코로나 19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반응과 메르스에 대한 반응...
생명과환경 ) 한국인의 코로나 19(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반응과 메르스에 대한 반응(...
생명 ) 한국인 코로나 19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반응과 메르스에 대한 반응 (및 또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