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 교육에서 프로젝트 접근법과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아 교육에서 프로젝트 접근법과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 1


Ⅱ. 본론 ------------------------------ 1


1. 프로젝트 접근법

2. 에밀리아 접근법

3. 두 프로그램의 차이점


Ⅲ. 결론 ------------------------------ 4

본문내용

지역사회 간의 협력이 중요하다. 파트너이자 연구자인 교사 교사는 유아의 학습활동을 지원하는 파트너이다. 또한 교사는 유아의 흥미에 의해 시작된 프로젝트 활동이 실현 가능한 방향으로 진행되도록 유아에게 인적 자원, 안내자의 역할을 한다.
프로젝트 접근법에 비해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의 교사가 독특하게 가지고 있는 역할은 바로 기록이다.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은 기록이 발현적 교육과정만큼 중요하다고 말했다. 기록은 교육과정을 지원하며 상호 학습 과정이다. 유아가 가진 것을 하나하나 기록하여 유아들이 학습하는 방식에 대해 정보를 나눌 수 있으며 교사의 직업적 성장을 도모할 수 있기 때문에 교사의 기록 작업을 대단히 중시한다.
Ⅲ. 결론
결국 두 프로그램은 문화맥락주의의 틀 안에서 유아가 세상과 상호작용하며 얻을 수 있는 전인적 발달을 중시한다. 프로젝트 접근법이 단체 안에서 개인의 사고 능력 발달에 초점을 두었다면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은 단체 안의 개인이 더 선한 단체를 만들 가능성에 초점을 두었다.
레포트를 쓰며 생각을 정리할 수 있었는데, 필자는 레지오 에밀리아의 접근법의 다상징 표상능력이 새삼스럽게 재미있는 단어라고 생각했다. 특히 그 능력이 예술 활동을 통해 발달한다는 점이 매력적이었다. 이탈리아는 예로부터 예술의 도시였기 때문에 다상징 표상능력이라는 단어가 나왔다는 것인데, 문화맥락주의 프로그램이 문화맥락주의의 영향을 받았다는 점이 흥미롭다. 한 사회가 공유하는 표상적인 상징이 교육과 학습을 통해 이어지는 일은 참으로 매력적이지 않은가. 가령 이탈리아의 성화를 볼 때 머리 뒤에 헤일로가 있으면 날개를 달고 있지 않아도 성인으로 추앙받는 사람이라는 걸 우리가 알 수 있듯이.
영 다른 얘기일 수도 있지만 한창 사회를 뜨겁게 달구었던 노키즈존 이슈가 생각나기도 했다. 빗발치는 노키즈존 사태에 누군가 했던 말을 기억한다. 어린아이들의 미숙함을 어른들은 참을 수 있어야 한다. 우리는 모두 어린아이였으므로. 우리의 어린 시절 역시 미숙했을 테고, 비합리적인 행동을 했겠지만, 그 행위를 너그러이 받아들여 준 사회가 있었기 때문에 지금까지 성장할 수 있었다. 우리 사회가 문화맥락주의의 이론을 알고, 결국 아이의 성장이란 아이 개인의 일이 아니라는 것을 깨닫기를 바란다. 아이들과 원활하게 소통하고 상호작용할 수 있는, 미숙함을 발전의 가능성으로 보고 예쁘게 볼 수 있는 사회가 되기를 바라며 레포트를 마무리하고 싶다.

키워드

레포트,   과제,   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3.05.23
  • 저작시기2023.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097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