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과학적 태도
2. 과학과정 기술
Ⅱ. 본론
3. 놀이 사례
Ⅲ. 결론
4. 놀이에 함양된 과학적 태도와 과학과정 기술
<참고문헌>
1. 과학적 태도
2. 과학과정 기술
Ⅱ. 본론
3. 놀이 사례
Ⅲ. 결론
4. 놀이에 함양된 과학적 태도와 과학과정 기술
<참고문헌>
본문내용
앞에서 무거운 장난감(A) 하나, 가벼운 장난감(B)을 하나 가져와서 두 장난감을 차례로 들어 보이고, “어떤 것이 더 무거울까요?”라고 질문한다.
③ 그 두 장난감을 양팔 저울에 얹고, 무거운 쪽으로 저울이 기우는 것을 보여주며 “저울이 이쪽으로 기울었어요, 이 장난감이 더 가볍고(B), 이 장난감(A)이 더 무겁군요.”라고 알려준다.
④ 다음은 선생님이 가벼운 장난감보다 더 가벼운 장난감(C)을 가져와(크기는 비슷한) 아까 전의 가벼운 장난감(B)과 양팔 저울로 무게를 비교한다. 그리고 “저울이 이쪽으로 기울었어요, 이 장난감(C)이 더 가볍고, 이 장난감(B)이 더 무겁군요.”라고 알려준다.
⑤ 모든 장난감을 저울에서 내려놓고, 선생님이 아이들에게 “그럼 이 장난감(제일 가벼운 장난감 C)과 이 장난감(제일 무거운 장난감 A) 중에서는 무엇이 더 가볍고, 무엇이 더 무거울까요?”라고 질문한다. 대답하는 아이들에게 왜 그렇게 생각했는지 묻는다.
⑥ 양팔 저울로 그 두 장난감의 무게를 재는 것을 보여주고, 선생님이 아이들에게 묻는다. “그러면 여기서 제일 무거운 장난감은 무엇이죠?” 그리고 장난감 A, B, C를 무게 순으로 나열하여 보여준다.
⑦ 아이들에게 선생님이 한 것처럼 3개의 장난감 중에 제일 무거운 장난감이 무엇인지 저울을 통해 알아보라고 지도한다.
Ⅲ. 결론
4. 놀이에 함양된 과학적 태도와 과학과정 기술
활동 내용
함양 능력
과학적 태도
과학과정 기술
① 모두 자신이 좋아하는 장난감(크기를 한 손으로 들 수 있는 것으로 제한하기)을 하나씩 가져와 3명씩 모여 앉는다.
호기심
관찰하기
② 선생님은 아이들 앞에서 무거운 장난감(A) 하나, 가벼운 장난감(B)을 하나 가져와서 두 장난감을 차례로 들어 보이고, “어떤 것이 더 무거울까요?”라고 질문한다.
호기심
솔직성
관찰하기
예측하기
③ 그 두 장난감을 양팔 저울에 얹고, 무거운 쪽으로 저울이 기우는 것을 보여주며 “저울이 이쪽으로 기울었어요, 이 장난감이 더 가볍고(B), 이 장난감(A)이 더 무겁군요.”라고 알려준다.
객관성
관찰하기
측정하기
④ 다음은 선생님이 가벼운 장난감보다 더 가벼운 장난감(C)을 가져와(크기는 비슷한) 아까 전의 가벼운 장난감(B)과 무게를 양팔 저울로 잰다. 그리고 “저울이 이쪽으로 기울었어요, 이 장난감(C)이 더 가볍고, 이 장난감(B)이 더 무겁군요.”라고 알려준다.
객관성
관찰하기
측정하기
⑤ 모든 장난감을 저울에서 내려놓고, 선생님이 아이들에게 “그럼 이 장난감(제일 가벼운 장난감 C)과 이 장난감(제일 무거운 장난감 A) 중에서는 무엇이 더 가볍고, 무엇이 더 무거울까요?”라고 질문한다. 대답하는 아이들에게 왜 그렇게 생각했는지 묻는다.
적극성과 자진성
솔직성
비판성
관찰하기
분류하기
측정하기
예측하기
추론하기
의사소통
⑥ 양팔 저울로 그 두 장난감의 무게를 재는 것을 보여주고, 선생님이 아이들에게 묻는다. “그러면 여기서 제일 무거운 장난감은 무엇이죠?” 그리고 장난감 A, B, C를 무게 순으로 나열하여 보여준다.
객관성
적극성과 자진성
솔직성
개방성
판단유보
관찰하기
분류하기
측정하기
예측하기
추론하기
의사소통
⑦ 아이들에게 선생님이 한 것처럼 3개의 장난감 중에 제일 무거운 장난감이 무엇인지 저울을 통해 알아보라고 지도한다.
호기심
적극성과 자진성
객관성
개방성
판단유보
협동성
끈기성
관찰하기
분류하기
측정하기
예측하기
추론하기
의사소통
실험하기
<참고문헌>
[1] 유은영, 『유아과학교육』, 한국방송통신대학, 2018
[2] 조형숙, 『유아과학교육』, 학지사, 2010
③ 그 두 장난감을 양팔 저울에 얹고, 무거운 쪽으로 저울이 기우는 것을 보여주며 “저울이 이쪽으로 기울었어요, 이 장난감이 더 가볍고(B), 이 장난감(A)이 더 무겁군요.”라고 알려준다.
④ 다음은 선생님이 가벼운 장난감보다 더 가벼운 장난감(C)을 가져와(크기는 비슷한) 아까 전의 가벼운 장난감(B)과 양팔 저울로 무게를 비교한다. 그리고 “저울이 이쪽으로 기울었어요, 이 장난감(C)이 더 가볍고, 이 장난감(B)이 더 무겁군요.”라고 알려준다.
⑤ 모든 장난감을 저울에서 내려놓고, 선생님이 아이들에게 “그럼 이 장난감(제일 가벼운 장난감 C)과 이 장난감(제일 무거운 장난감 A) 중에서는 무엇이 더 가볍고, 무엇이 더 무거울까요?”라고 질문한다. 대답하는 아이들에게 왜 그렇게 생각했는지 묻는다.
⑥ 양팔 저울로 그 두 장난감의 무게를 재는 것을 보여주고, 선생님이 아이들에게 묻는다. “그러면 여기서 제일 무거운 장난감은 무엇이죠?” 그리고 장난감 A, B, C를 무게 순으로 나열하여 보여준다.
⑦ 아이들에게 선생님이 한 것처럼 3개의 장난감 중에 제일 무거운 장난감이 무엇인지 저울을 통해 알아보라고 지도한다.
Ⅲ. 결론
4. 놀이에 함양된 과학적 태도와 과학과정 기술
활동 내용
함양 능력
과학적 태도
과학과정 기술
① 모두 자신이 좋아하는 장난감(크기를 한 손으로 들 수 있는 것으로 제한하기)을 하나씩 가져와 3명씩 모여 앉는다.
호기심
관찰하기
② 선생님은 아이들 앞에서 무거운 장난감(A) 하나, 가벼운 장난감(B)을 하나 가져와서 두 장난감을 차례로 들어 보이고, “어떤 것이 더 무거울까요?”라고 질문한다.
호기심
솔직성
관찰하기
예측하기
③ 그 두 장난감을 양팔 저울에 얹고, 무거운 쪽으로 저울이 기우는 것을 보여주며 “저울이 이쪽으로 기울었어요, 이 장난감이 더 가볍고(B), 이 장난감(A)이 더 무겁군요.”라고 알려준다.
객관성
관찰하기
측정하기
④ 다음은 선생님이 가벼운 장난감보다 더 가벼운 장난감(C)을 가져와(크기는 비슷한) 아까 전의 가벼운 장난감(B)과 무게를 양팔 저울로 잰다. 그리고 “저울이 이쪽으로 기울었어요, 이 장난감(C)이 더 가볍고, 이 장난감(B)이 더 무겁군요.”라고 알려준다.
객관성
관찰하기
측정하기
⑤ 모든 장난감을 저울에서 내려놓고, 선생님이 아이들에게 “그럼 이 장난감(제일 가벼운 장난감 C)과 이 장난감(제일 무거운 장난감 A) 중에서는 무엇이 더 가볍고, 무엇이 더 무거울까요?”라고 질문한다. 대답하는 아이들에게 왜 그렇게 생각했는지 묻는다.
적극성과 자진성
솔직성
비판성
관찰하기
분류하기
측정하기
예측하기
추론하기
의사소통
⑥ 양팔 저울로 그 두 장난감의 무게를 재는 것을 보여주고, 선생님이 아이들에게 묻는다. “그러면 여기서 제일 무거운 장난감은 무엇이죠?” 그리고 장난감 A, B, C를 무게 순으로 나열하여 보여준다.
객관성
적극성과 자진성
솔직성
개방성
판단유보
관찰하기
분류하기
측정하기
예측하기
추론하기
의사소통
⑦ 아이들에게 선생님이 한 것처럼 3개의 장난감 중에 제일 무거운 장난감이 무엇인지 저울을 통해 알아보라고 지도한다.
호기심
적극성과 자진성
객관성
개방성
판단유보
협동성
끈기성
관찰하기
분류하기
측정하기
예측하기
추론하기
의사소통
실험하기
<참고문헌>
[1] 유은영, 『유아과학교육』, 한국방송통신대학, 2018
[2] 조형숙, 『유아과학교육』, 학지사, 2010
추천자료
[유아교육][유아과학교육]유아교육과 유아과학교육 심층 분석(사례 중심)(유아과학교육의 중...
유아 과학교육의 성격, 유아 과학교육의 중요성, 유아 과학교육의 환경, 유아 과학교육의 놀...
유아 과학교육의 목적, 유아 과학교육의 동향, 유아 과학교육의 내용, 유아 과학교육의 부모 ...
[2020 유아과학교육 3공통][출처표기] 유아과학교육의 내용 중 과학적 태도와 과학과정 기술...
[2020 유아과학교육][출처표기] 유아과학교육의 내용 중 과학적 태도와 과학과정 기술에 대해...
유아과학교육의 내용 중 과학적 태도와 과학과정 기술에 대해 설명하고, 놀이를 중심으로 어...
2021년 1학기 유아과학교육 출석수업대체시험 과제물(유아과학교육, 과학관련놀이사례)
[유아과학교육] 2021년 기말결시자 추가과제물, 1. 유아과학교육의 내용을 과학적 태도, 과학...
유아과학교육 2021대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