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02해업)2105 기초미시경제론 기업의 이윤극대화 조건을 도출하시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2302해업)2105 기초미시경제론 기업의 이윤극대화 조건을 도출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기업의 이윤극대화 조건을 도출하시오.

2. 무차별곡선과 예산제약선의 개념을 설명하고 소득이 증가할 때 수요량이 어떻게 변하는지 설명하시오.

3. 완전경쟁시장의 단기균형에 대해 설명하시오.

4. 독점기업의 생산량과 가격이 어떻게 결정되는지 설명하시오.

5. 노동공급곡선을 도출하시오.

참고문헌

본문내용

크기 때문에 손실이 발생한다. 그러나 총수입이 가변비용을 초과하기 때문에 고정비용의 일부를 보전할 수 있으므로 조업을 계속하는 것이 유리하다. 가격이 평균가변비용과 일치하면 총수입보다 총가변비용이 더 크므로 손실이 발생한다. 가격이 평균가변비용보다 작으면 고정비용뿐 아니라 총가변비용과 총수입의 차액만큼 추가 손실이 발생하므로 조업을 중단하는 것이 합리적인 선택이 된다.
따라서 완전경쟁시장에서 개별기업의 단기공급공선은 평균가변비용(AVC)의 최저점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한계비용곡선이 된다. 그리고 시장의 단기공급곡선은 개별기업의 단기공급곡선을 수평으로 합해서 도출된다.
5. 노동공급곡선을 도출하시오.
먼저 생산요소시장에서의 노동수요곡선부터 간략히 살펴본다. 기업의 노동수요량과 임금은 음의 관계에 있으므로 노동수요곡선은 우하향한다. 임금이 주어지면 노동에 대한 수요량은 (노동 1단위 추가 투입할 때 증가하는 기업의 총수입인) 한계수입생산(MRP)과 일치하는 지점에서 결정된다. 한계수입생산이 임금보다 크면 노동 1단위 고용할 때 초과이윤이 발생하므로 기업은 한계수입생산과 임금이 일치할 때까지 노동을 투입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계수입생산곡선은 노동수요곡선과 일치한다. 임금이 변동되면 노동에 대한 수요량은 한계수입생산곡선을 따라 이동하고, 노동에 대한 시장수요는 개별기업 노동수요의 수평합으로 도출된다.
생산요소시장에서 노동의 공급자는 가계이다. 가계의 노동공급량과 임금은 양의 관계에 있으므로 노동공급곡선은 우상향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개별노동자의 노동공급곡선은 임금과 이에 대응하는 노동량을 연결한 것이다. 따라서 임금상승에 따른 노동공급의 증가여부는 대체효과와 소득효과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즉, 임금이 상승한 경우 대체효과가 소득효과보다 크면 여가를 노동으로 대체함으로써 노동공급은 증가하고, 반대로 소득효과가 대체효과보다 크면 여가가 증가하면서 노동공급은 감소한다. 대체효과는 항상 노동공급을 증가시키지만, 소득효과는 여가가 정상재와 열등재 여부에 따라 달라진다. 즉, 여가가 정상재라면 여가의 증가로 노동공급이 감소하지만, 열등재라면 소득 증가에 따라 여가소비는 감소하고 노동공급은 증가하게 된다.
노동의 가격 즉, 임금이 주어질 때 가계의 노동공급량은 결정되는데, 이때 가계의 임금은 개별기업 입장에서는 노동 1단위당 비용, 즉 평균요소비용(AFC)에 해당한다. 따라서 개별기업이 직면하는 노동공급곡선은 평균요소비용곡선과 일치한다.
그런데 노동의 공급은 임금수준이 매우 높아지면, 임금상승의 소득효과가 대체효과보다 더 클 수 있으므로 우상향에서 후방으로 굴절하는 모양이 나타날 수도 있다. 즉, 임금이 상승할 때 여가를 더 선호하기 때문에 노동시간이 줄여들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이러한 경우는 드물기 때문에 시장 전체로 보면 노동공급곡선은 우상향하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에 제시한 그림은 임금률과 노동시간을 두 축으로 이루어지는 노동 공급곡선이다. 해당 곡선은 처음에는 우상향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지만 어느 지점에 이르러서는 다시 왼쪽으로 휘어지는 모습이 확인된다.
이는 다시 말해 임금률이 일정 수준을 기준으로 그보다 높게 오르면 임금률 상승이 노동 공급량의 증가를 유도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줄이는 결과는 가져온다는 뜻이다. 이와 같은 모양이 나타나는 공급곡선을 후굴공급곡선이라고 부른다.
임금률이 올라갈 때는 대체효과와 소득효과가 상호 어긋나는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노동시간이 더 연장될지 줄어들게 될지는 불분명하다.
임금률 상승할 때의 대체효과를 살펴보면 상대적으로 더욱 비싸진 여가의 소비를 줄이도록 하는데 이로 인해 노동시간의 증가와 노동공급량의 증가가 동반한다.
임금률이 오를 때의 소득효과로는 실질소득 증가를 통해서 좀 더 많은 여가를 소비할 수 있게 만드는데 노동시간의 감소와 노동공급량 감소가 동반한다.
소득효과가 대체효과보다 커질 때면 임금률이 오르는 순간 노동공급은 오히려 감소하는데 이를 후방굴절이라고 한다.
소비자는 임금률이 오를 때, 여가의 소비를 늘리며 노동 공급량을 줄이는 반응을 보인다.
그런데 임금률이 일정 수준 이상까지 오르면 임금률 상승이 노동 공급량의 증가를 유발하지 않고 오히려 감소시키는 결과를 만들기도 하는데 이와 같은 모양의 공급곡선을 두고 \'후굴공급곡선\'이라고 부른다.
참고문헌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기초미시경제론 방송강의 및 교재
https://www.hankyung.com/news/article/2016090222861

키워드

레포트,   과제,   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3.05.24
  • 저작시기2021.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102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