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의사결정의 관점
2. 합리적 모형
3. 만족 모형
4. 점증모형
5. 혼합모형
6. 쓰레기통 모형
7. 최적모형
8. 호이와 타터의 의사결정 모형
9. 스완슨의 의사결정 참여모형
2. 합리적 모형
3. 만족 모형
4. 점증모형
5. 혼합모형
6. 쓰레기통 모형
7. 최적모형
8. 호이와 타터의 의사결정 모형
9. 스완슨의 의사결정 참여모형
본문내용
직관적 판단, 통찰, 상상력 등과 같은 초합리적인 판단과 함께 이루어짐
- 최적의 선택이란 모든 것을 고려하되, 가장 합리적인 것이 아니라 주어진 목표에 도움이 되는 가장 바람직한 상태를 의미
- 의사결정 시 합리적 요소뿐만 아니라 직관적 판단이나 상상력과 같은 비합리적 요소 또한 활용하여 모든 가능성을 검토하게 됨
ㆍ최적모형의 의의:그동안 비합리적인 요소로 배제됐던 요인들도 연구와 노력 여하에 따라서는 최적의 정책 결정을 위한 핵심 요소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해 줌으로써,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정책 결정을 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마련
ㆍ최적모형의 비판 : 달성 방법도 명확지 않고 개념도 불분명한 초합리성이라는 용어에 의존하고 있어 다소 비현실적인 모형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음
8. 호이와 타터의 의사결정 모형
ㆍ참여 수준의 결정 기준
- 적절성 : 구성원이 의사결정 결과에 대해 개인적으로 이해관계를 가졌는지 아닌지, 즉 의사결정 결과에 관해 관심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
- 전문성 : 구성원들이 문제 해결에 이바지할 수 있는 전문성(능력)을 가졌는지를 검토
- 신뢰도 : 구성원들의 개인적 목표가 조직의 목표와 갈등을 일으키는지 아닌지를 검토
ㆍ수용영역(무관심영역)과 참여 수준
- 수용영역 : 구성원이 의사결정 결과에 대해 아무런 관심이 없어 상급자가 어떤 결정을 내리든지 아무런 의심 없이 그 결정을 받아들이는 영역을 말함
- 참여 수준 : 행정가는 의사결정의 사안이 수용영역 내에 있는 사항에 대해서는 교사들을 의사결정에 참여시키지 않고, 수용영역 밖에 있는 사항에 대해서 참여시키는 것이 효과적
ㆍ상황에 따른 참여 방식
- I 상황
→ 구성원들이 개인적 이해관계와 전문적 지식을 모두 가지고 있는 경우
→ 구성원들이 신뢰도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
→ 신뢰도가 없는 경우, 즉 개인의 목표와 조직의 목표가 갈등을 일으킬 때에는 제한적으로 참여를 시킴
- II 상황
→ 구성원들이 전문성은 가지고 있으나 이해관계가 없는 경우
→ 구성원들은 의사결정에 때때로는 참여하지만, 참여 정도는 제한됨
- III 상황
→ 구성원들이 의사결정 사항에 대해 개인적인 이해관계를 가지고 있으나 전문성이 거의 없는 경우
→ 구성원들의 참여가 제한되는 이유는 참여자들이 결정이 이바지할 수 있는 전문성을 가지지 못할 때 조직의 의사결정은 전문가가 내리게 되므로 참여자들이 좌절감을 느끼기 때문
- IV 상황
→ 구성원들이 이해관계나 전문성을 가지고 있지 못한 경우
→ 수용영역 내에 있으므로 참여시킬 필요가 없음
9. 스완슨의 의사결정 참여모형
ㆍ민주적 - 집권적 방법(democratic-centralist)
- 의사결정은 지도자가 하지만 구성원들의 참여를 반영
- 최종적인 결정에 있어서 구성원들의 의견을 반영
ㆍ의회주의적 방법(parliamentarian) : 지도자를 포함한 전 회원이 동등한 투표권을 가지고 다수결에 의해 의사결정을 함
ㆍ참여적 결정방법(participant-determining) : 구성원 모두의 만장일치를 요구하는 방법
- 최적의 선택이란 모든 것을 고려하되, 가장 합리적인 것이 아니라 주어진 목표에 도움이 되는 가장 바람직한 상태를 의미
- 의사결정 시 합리적 요소뿐만 아니라 직관적 판단이나 상상력과 같은 비합리적 요소 또한 활용하여 모든 가능성을 검토하게 됨
ㆍ최적모형의 의의:그동안 비합리적인 요소로 배제됐던 요인들도 연구와 노력 여하에 따라서는 최적의 정책 결정을 위한 핵심 요소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해 줌으로써,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정책 결정을 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마련
ㆍ최적모형의 비판 : 달성 방법도 명확지 않고 개념도 불분명한 초합리성이라는 용어에 의존하고 있어 다소 비현실적인 모형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음
8. 호이와 타터의 의사결정 모형
ㆍ참여 수준의 결정 기준
- 적절성 : 구성원이 의사결정 결과에 대해 개인적으로 이해관계를 가졌는지 아닌지, 즉 의사결정 결과에 관해 관심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
- 전문성 : 구성원들이 문제 해결에 이바지할 수 있는 전문성(능력)을 가졌는지를 검토
- 신뢰도 : 구성원들의 개인적 목표가 조직의 목표와 갈등을 일으키는지 아닌지를 검토
ㆍ수용영역(무관심영역)과 참여 수준
- 수용영역 : 구성원이 의사결정 결과에 대해 아무런 관심이 없어 상급자가 어떤 결정을 내리든지 아무런 의심 없이 그 결정을 받아들이는 영역을 말함
- 참여 수준 : 행정가는 의사결정의 사안이 수용영역 내에 있는 사항에 대해서는 교사들을 의사결정에 참여시키지 않고, 수용영역 밖에 있는 사항에 대해서 참여시키는 것이 효과적
ㆍ상황에 따른 참여 방식
- I 상황
→ 구성원들이 개인적 이해관계와 전문적 지식을 모두 가지고 있는 경우
→ 구성원들이 신뢰도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
→ 신뢰도가 없는 경우, 즉 개인의 목표와 조직의 목표가 갈등을 일으킬 때에는 제한적으로 참여를 시킴
- II 상황
→ 구성원들이 전문성은 가지고 있으나 이해관계가 없는 경우
→ 구성원들은 의사결정에 때때로는 참여하지만, 참여 정도는 제한됨
- III 상황
→ 구성원들이 의사결정 사항에 대해 개인적인 이해관계를 가지고 있으나 전문성이 거의 없는 경우
→ 구성원들의 참여가 제한되는 이유는 참여자들이 결정이 이바지할 수 있는 전문성을 가지지 못할 때 조직의 의사결정은 전문가가 내리게 되므로 참여자들이 좌절감을 느끼기 때문
- IV 상황
→ 구성원들이 이해관계나 전문성을 가지고 있지 못한 경우
→ 수용영역 내에 있으므로 참여시킬 필요가 없음
9. 스완슨의 의사결정 참여모형
ㆍ민주적 - 집권적 방법(democratic-centralist)
- 의사결정은 지도자가 하지만 구성원들의 참여를 반영
- 최종적인 결정에 있어서 구성원들의 의견을 반영
ㆍ의회주의적 방법(parliamentarian) : 지도자를 포함한 전 회원이 동등한 투표권을 가지고 다수결에 의해 의사결정을 함
ㆍ참여적 결정방법(participant-determining) : 구성원 모두의 만장일치를 요구하는 방법
키워드
추천자료
의사결정모형에 관한 조사
의사결정모형
[예산제도] PPBS 기획예산제도
의사결정수업(의사결정학습모형) 개념과 이론, 의사결정수업(의사결정학습모형) 과정, 의사결...
대학입학(대입, 대학진학)의 실태와 전형제도, 대학입학(대입, 대학진학)의 특별전형제도, 대...
사회과 정보통신기술(ICT)활용교육의 의의, 사회과 정보통신기술(ICT)활용교육의 필요성, 사...
평가모형 [의사결정 모형]
역할놀이 수업모형에 대해서
도덕과 수업모형 팀티칭 발표자료 - 가치 명료화 수업모형 합리적 의사결정 수업모형
교육과정A형 2021 교육과정A형 잠재적 교육과정의 개념과 의미 등을 설명하고 이를 유아교육...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