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2해업)2109 용수및하폐수처리_D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202302해업)2109 용수및하폐수처리_D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 론

II. 본 론
1. 정수 시설

2. 하(폐)수처리 시설

3. 막모듈의 종류 및 특성

III.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된다. 위 구조물을 2겹 혹은 3겹을 겹쳐서 집수관에 접착한 것이다. 막과 막 사이에는 spacer가 삽입 되어 있어 원수의 유로는 0.7mm정도 되며, 상당히 좁다. 미세입자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탁질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해수담수화는 물론, 보일러 급수의 전처리, 전자공업용 초순수에 사용된다.
(4) 중공사형
중공사는 지름방향으로 관통하는 미세한 빈 구몽이 있는 중공의 섬유이며, 영어로는 hollow fiber라고 한다. 이러한 다발이 내압용기에 부착된 모듈이 바로 중공사형 막 모듈이다. 외경은 40~250um, 내경 20~125um로 구성된다. 관경이 가늘수록 관상막의 내압력은 증가하게 되며, 분리막 자체가 내압성을 가지고 있기에 막지지체가 별도로 필요하지는 않다. 1967년 Du pont 회사에서 B-5라는 역삼투막 모듈이 발표, 1973년 B-10파미에타가 판매되기 시작되면서 해수 담수화용으로 도입되었다. 따로 막지지체가 필요 없다는 것이 특징이며, 이로 인해 충전할 수 있는 막면적이 많아져, 집약적으로 만들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편류로 인하여 모듈 내부가 오염되기 쉽다. 이를 보완하려는 노력이 계속 시도되고 있다. 해수담수화, 초순수 제작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III. 결 론
살펴본 것과 같이 정수장과 하수처리장은 각각의 계통도를 통해 우리가 쓴 물을 처리하고 다시 이를 정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인간의 생존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 하수처리장과 정수장의 경우 혐오시설로 생각되어 이를 증축하거나 새로 설치하는 데 있어 어려움을 겪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영등포 아리수정수센터의 예와 같이 정수장은 갈수록 기술이 발전하여 보다 친환경적이고 효율적인 정수가 가능하다는 점 등을 고려하면 과거와 같은 정수장과 하수처리장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바람직하지 않을 것이라 생각한다. 특히 서울과 같이 인구밀집도가 높은 지역의 경우 지속적인 R&D와 노력을 통해 하수처리 및 정수 효율을 높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편집부, 폐수처리공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20.
김동민 외, 폐수처리공학, 동화기술, 2013, p.75.
한국환경산업기술원, 경기도 화성시 봉담 하수처리장 운영현황, 2019.
http://kwater.ecatalog.kr/webzine/view.php?wcd=595&wno=12
화성정수장, 수돗물 품질보고서, 2019.

키워드

레포트,   과제,   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3.06.14
  • 저작시기2021.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120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