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직무분석의 의의
1) 정의
2) 직무분석 목적
2. 직무분석의 절차
1) 예비작업
2) 직무분석의 지침
3) 직무분석표 작성
4) 직무정보의 수집
5) 직무기술서/직무명세서 기술
3. 직무분석의 새로운 추세
1) 전략적 직무분석
2) 전략적 직무분석 과정
3) 직무분석의 동향
1) 정의
2) 직무분석 목적
2. 직무분석의 절차
1) 예비작업
2) 직무분석의 지침
3) 직무분석표 작성
4) 직무정보의 수집
5) 직무기술서/직무명세서 기술
3. 직무분석의 새로운 추세
1) 전략적 직무분석
2) 전략적 직무분석 과정
3) 직무분석의 동향
본문내용
기업
2) 전략적 직무분석 과정
: 전략적 직무분석 과정은 ‘환경분석 현재 직무의 분석 장래직무를 위한 결정/준비 유효성 평가/타당성 확립’의 단계로 진행 된다
-환경분석
: 미래의 직무변화를 예측하기 위해 조직의 환경 분석부터 시작하는 단계
-현재 직무의 분석
: 일과 관련된 정보들을 다양한 방법을 통해 수집하고, 효과적 직무성과를 위한 지식/능력/스킬을 확정하는 단계, 이때 팀에 기초한 일을 보다 많이 반영한다.
-장래직무를 위한 결정/준비
: 내용전문가, 직무분석가 등 관련 인사들이 현재 상황과 미래 상황을 비교 분석하는 단계
-유효성 평가/타당성 확립
: 직무분석을 장기간 평가하고, 선발/인사고과 같은 활동을 정기적 평가함 으로써 도출된 인적요건이 정확한지 평가하고, 예측/기준 관련 타당성을 검토하는 단계
3) 직무분석의 동향
: 최근의 기업환경은 기술적 변화가 빠르게 일어남에 따라 직무분석 자체가 전 형적인 방법으로는 불가능한 상황이다. 이로 인해 직무분석의 쇠퇴, 나의 직 무에서 나의 역할로, 팀워크, 미래지향적 직무분석과 역량모델링, 고객을 위 한 직무분석, 직무분석과 직무재설계에 대한 인간공학적 접근법 등의 특징이 나타나고 있다.
2) 전략적 직무분석 과정
: 전략적 직무분석 과정은 ‘환경분석 현재 직무의 분석 장래직무를 위한 결정/준비 유효성 평가/타당성 확립’의 단계로 진행 된다
-환경분석
: 미래의 직무변화를 예측하기 위해 조직의 환경 분석부터 시작하는 단계
-현재 직무의 분석
: 일과 관련된 정보들을 다양한 방법을 통해 수집하고, 효과적 직무성과를 위한 지식/능력/스킬을 확정하는 단계, 이때 팀에 기초한 일을 보다 많이 반영한다.
-장래직무를 위한 결정/준비
: 내용전문가, 직무분석가 등 관련 인사들이 현재 상황과 미래 상황을 비교 분석하는 단계
-유효성 평가/타당성 확립
: 직무분석을 장기간 평가하고, 선발/인사고과 같은 활동을 정기적 평가함 으로써 도출된 인적요건이 정확한지 평가하고, 예측/기준 관련 타당성을 검토하는 단계
3) 직무분석의 동향
: 최근의 기업환경은 기술적 변화가 빠르게 일어남에 따라 직무분석 자체가 전 형적인 방법으로는 불가능한 상황이다. 이로 인해 직무분석의 쇠퇴, 나의 직 무에서 나의 역할로, 팀워크, 미래지향적 직무분석과 역량모델링, 고객을 위 한 직무분석, 직무분석과 직무재설계에 대한 인간공학적 접근법 등의 특징이 나타나고 있다.
추천자료
인사행정론 최종 정리 파일입니다.
다양한 기업의 모집 선발
자원봉사 관리과정
[업무분석][직무분석]업무분석(직무분석)의 정의, 효과, 업무분석(직무분석)의 기본절차, 세...
[인사관리] 인사관리의 개념(정의), 성격, 기능(인적자원)
[인사행정人事行政] 공무원의 채용 - 공무원의 모집, 공무원시험제도, 임용절차
[각국의 경찰채용과정과 우리나라와의 비교고찰]
[인적자원관리 A+]직무분석은 인적자원관리의 모든 활동(모집과 선발, 평가와 보상)에 밀접하...
직무분석은 인적자원관리의 모든활동(모집과 선발, 평가와보상)에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