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게실염케이스 스터디 (간호과정)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장게실염케이스 스터디 (간호과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장게실염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및 병태생리
3. 임상증상 및 특징
4. 진단검사
5. 치료
6. 예후 및 합병증
7. 예방
8. 간호중재
Ⅱ. 사례
1. 일반정보
2. 신체검진 및 임상관찰 결과
3. 진단적 검사
4. 약물요법
Ⅲ. 간호과정
Ⅳ. 참고문헌 및 출처

본문내용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는지 사정하였다.
4. 통증의 민감함을 줄여 주는 환경을 줄이기 위해
625호에서 628호 2인실로 대상자를 옮겨주었다.
5. 대상자의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질병에 대해 정확히 알리고
통증을 완화시킬 진통제를 투여함을 말했다.
침상안정을 도모했으며 보호자에게 혼자 두어서는 안됨을 교육했다.
간호평가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시 까지 질병과 관련된 통증을 호소하지 않을 것이다
( 퇴원시 재평가예정임)
단기목표
- 대상자는 1일 이내에 NRS점수가 5점 이내로 감소하였다.
날짜
간호진단 #2 : 불충분한 영양섭취와 관련된 저칼륨혈증 위험성
11/3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none
객관적 자료
- Diverticular disease of intestine NOS with peritonitis
11/2 K 2.7 ( 정상치 3.5~5.1[mEq/L] )
- 11/3 K 2.8
NPO state ( NaCIK40+ TPN 60cc/hr 유지중이나 저칼륨혈증 위험성 변화없음
간호목표
장기
목표
대상자는 퇴원시까지 K 수치가 정상으로 돌아온다.
단기
목표
대상자는 3일이내 저칼륨혈증의 증상을 보이지 않는다.
간호계획
계획
이론적 근거
대상자의 V/S을 4시간 마다 측정한다.
대상자의 Plasma 검사결과가 나올 때 마다 주치의에게 즉시 보고한다
NPO의 목적을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설명한다
처방에 따른 약물을 투여한다.
부종의 양상이 보이는지 주입속도 조절시마다 확인한다.
저칼륨혈증 발생시 BP가 저하하는 양상을 보일수 있다.
검사결과를 즉시 보고함으로써 경과를 관찰하기 위함이다.
치료적 목적임을 설명하여 대상자와 보호자의 적극적인 협조를 유도하기 위함이다.
처방에 따른 약물을 투여함으로써 저칼륨혈증의 위험성을 줄이기 위함이다.
대상자는 현재 게실염으로 인한 치료를 위해 NPO중이기 때문에 TPN을 실시해 불충분한 영양을 공급하기 위함이다
저칼륨혈증의 부작용으로 부종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간호
수행
11/3
BP
HR
RR
BT
09시
109/71
83
20
36.4
13시
146/80
72
20
36.8
대상자의 V/S을 4시간마다 측정하였다.
정규 lab k 2.8 임을 주치의에게 보고하였다.
NPO의 목적을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설명하였다. “ 염증치료 목적으로 장을 쉬게 하기 해서 금식 하시는 중이라서 정맥으로 영양분을 투여하고 있어요”
처방에 따른 약물을 투여하였다. NaCIK40+ TPN 60cc/hr iv infusion 투여함
6시간마다 주입속도 조절시 주사부위의 부종의 양상에 대해서 사정하였다 iv line patency & clear
간호평가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시까지 K수치가 정상범위내로 돌아온다 ( 퇴원시 확인예정 )
단기목표 대상자는 3일이내 저칼륨혈증의 증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날짜
간호진단 #3 : 인지기능 저하와 관련된 낙상위험성
11/3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 환자 “ 화장실에 가게 해줘”
보호자 “ 제가 겪어봐서 아는데 소변줄 안빼주고 두면 거품물어요 ”
객관적 자료
- dementia 진단
낙상 고위험군
11/2 20:50 낙상예방 교육했으나
23:50 환자 화장실 간다고 보호자가 side rail 내리고
휠체어에 수액 옮겨다는 사이에 환자 쿵 소리내며 낙상함
간호목표
장기
목표
대상자는 퇴원시까지 낙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단기
목표
보호자는 1일이내 낙상예방방법에 대해 2가지 이상 말할 수 있다.
간호계획
계획
이론적 근거
대상자의 안위변화와 의식상태를 사정한다.
안전한 환경을 제공한다.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낙상의 위험성에
대해서 설명하고 예방법에 대해 교육
한다.
4. 가능한 기저귀에 소변 , 대변을 보도록
설득한다.
5. 처방된 약물중 어지러움증을 유발할 만한 약물이 있는지 확인한다.
안위변화와 의식상태를 사정함으로써
의사소통이 가능함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2. 안전한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낙상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3.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낙상 고위험군임을 알리고 치료계획에 적극적인 협조를 위함이다
4. 기저귀에 소변 , 대변을 봄으로써
가능한 침상안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5. 처방된 약물중 어지럼증을 유발할 만한 약물이 있는지 확인함으로써
낙상의 위험성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간호
수행
대상자의 안위변화와 의식상태를 사정하였다.
11/3 05시 의식상태 alert
09시 의식상태 alert
14시 의식상태 alert
2. 안전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서 both side rail올림 , 낙상주의 표시 부착함 ,
적절한 조명을 제공 , 미끄러질 수 있는 요인을 제거하였다.
3. 환자와 보호자에게 낙상 고위험 대상자임을 알렸으며 가능한 실내화를 착용하도록
안내하고 낙상예방 안내문을 제공하였으며
일상 생활용품은 가까이 두도록 설명하였다.
4. 되도록 자기 전 소변 , 대변을 보도록 교육하고 침상이 고정되어있는지 확인하는 법과 side rail올리는 법 , call bell 사용법을 보호자에게 교육하고
대상자를 혼자 두어야 할땐 간호사나 직원에게 말하고 자리를 비울 것을 교육하였다.
5. 부작용이 발생할수 있는 약물을 확인하고 주입시 의식상태를 사정하였으며
보호자에게 약물의 부작용에 대해서 알리고 주입후 주의할 것을 알렸다.
(Potassium chlorid, Pethidine HCI 주입시)
간호평가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시까지 낙상으로 인한 손상이 발생하지 않았다
( 퇴원시 확인 )
단기목표
보호자는 1일이내 낙상예방의 방법에 대해 2가지 이상 설명하였다.
참고문헌 및 출처
박순옥 외,「간호실무 적용을 위한 간호과정」, 퍼시픽북스(2021)
김정애 외,「간호사를 위한 진단검사」, 수문사(2017)
황옥남 외,「성인간호학7상권」, 현문사(2017)
약학정보원,
서울대학교 의학정보,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7099&cid=51007&categoryId=51007
서울아산병원,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0503

키워드

  • 가격2,5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23.06.17
  • 저작시기202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125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