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연구의 필요성
2. 문헌고찰
● 정의
● 병태생리
● 원인
● 대표적 증상
● 진단
● 치료 및 간호
3. 건강사정
● 대상자의 전반적인 건강상태
● 신체사정
● 진단검사 결과 기록지
● 약물
● 초점사정
4. 간호과정
● 간호진단 (우선순위)
● 간호과정
5. 실습소감
6. 참고문헌
2. 문헌고찰
● 정의
● 병태생리
● 원인
● 대표적 증상
● 진단
● 치료 및 간호
3. 건강사정
● 대상자의 전반적인 건강상태
● 신체사정
● 진단검사 결과 기록지
● 약물
● 초점사정
4. 간호과정
● 간호진단 (우선순위)
● 간호과정
5. 실습소감
6. 참고문헌
본문내용
0
36.4
01:05
124/81
81
20
36.6
02:05
131/70
75
20
36.6
1. 수술 후 활력징후를 측정하였다.
2. 통증의 부위, 빈도, 지속시간 등을 사정하였다.
8/11
8/12
8/13
18:00
07:00
15:00
21:00
07:00
15:00
강도
X
8
3
1
1
1
위치
-
우측 눈
우측 눈
우측 눈
우측 눈
우측 눈
양상
-
묵직함
묵직함
묵직함
묵직함
묵직함
빈도
-
간헐적
간헐적
간헐적
간헐적
간헐적
기간
-
10분
8시간
8시간
8시간
8시간
중재
-
관찰
약물
약물
약물
약물
3. 정서적 지지를 해주었다.
대상자가 통증을 말로 표현하도록 격려하였고, 통증이 심할 시 진통제를 투여할 수 있음을 설명하고, 편안한 환경을 만들어 주었다.
4. 필요시 진통제를 투여하였다.
cerzen 7590mg 1tab을 PO로 tid로 투여함
간호평가
대상자는 간호중재 후 통증이 3점을 넘지 않았고, 퇴원 시 통증을 호소하지 않고 퇴원하였다.
2) 질병과 관련된 자기돌봄 향상을 위한 준비간호진단
질병과 관련된 자기돌봄 향상을 위한 준비
간호 사정
주관적
자료
“안약은 어떻게 넣어요....?”
“밥도 어떻게 먹어야 할지모르겠는데 언제 이거 뗄 수 있어요?”
객관적
자료
- 안약은 혼자서는 넣기가 불가능하다고 말함.
- 화장실 가기를 불편해함. 벽을 더듬거리며 감.
- 오른쪽 눈 시야 제한
간호
목표
단기목표
대상자는 2일 이내 안약을 혼자 점적할 수 있다.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 보호자가 없어도 불편함이 없다고 말한다.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1. 눈의 상태와 체위에 대한 설명을 하고 잘 따를 수 있도록 설명한다.
교육을 통해 대상자의 지식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2. 스스로 옷 입기, 식사, 기동 등이 가능하도록 격려한다.
자가 간호를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3. 사용하는 물품들은 손이 닿을 수 있는 곳에 두어 스스로 물품을 집고, 사용하도록 한다.
2차적 피해를 줄이기 위함이다.
4. 보호자가 옆에 상주하도록 교육한다.
대상자에게 도움을 주기 위함이다.
5. 안약을 점적하는 법을 교육한다.
교육을 통해 대상자의 지식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간호중재
1. 눈의 상태와 체위에 대한 설명을 하고 잘 따를 수 있도록 설명하였다.
대상자에게 prone position을 취하도록 하고, 우안에 냉찜질을 하도록 교육하였다.
2. 스스로 옷 입기, 식사, 기동 등이 가능하도록 격려하였다.
오른쪽 시야가 제한된 상태에서도 스스로 활동할 수 있도록 격려하였고, 도움이 필요하면 간호사 호출벨을 누르도록 교육하였다.
3. 사용하는 물품들은 손이 닿을 수 있는 곳에 두어 스스로 물품을 집고, 사용하도록 하였다.
오른쪽 시야가 제한되어있기 때문에 사용하는 물품들은 손이 닿을 수 있는 곳에 두어 스스로 물품을 집고, 사용하도록 하였다.
4. 보호자가 옆에 상주하도록 교육하였다.
보호자에게도 적절한 교육을 하여 대상자의 옆에서 도움을 주도록 하였다.
5. 안약을 점적하는 법을 교육하였다.
정해진 횟수, 정해진 시간을 교육하고 안약은 점적기를 눈 가까이 가져가되 눈꺼풀 이나 속눈썹에 닿지 않도록 교육하였다.
간호평가
대상자는 눈의 상태와 체위, 안약 점적 방법에 대한 교육을 들은 후 혼자서 안약을 점적하는 모습을 보였고, 퇴원 시 보호자가 없을 때에도 스스로 짐을 싸며 불편함 없이 행동하는 것을 보았다.
3)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위험성간호진단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간호 사정
주관적
자료
“이거 주사바늘 언제쯤 빼요..?”
객관적
자료
- 항생제 사용 중
- IV line 유지 중
- 8/11 OP환자
간호
목표
단기목표
대상자는 하루이내 감염의 징후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감염의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1.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대상자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2. 매 rounding마다 피부상태를 사정한다.
대상자의 피부상태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3. 정맥염이 있는지 사정한다.
대상자의 감염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4. 대상자에게 감염의 징후에 대해 설명하고, 감염의 징후가 있을 시 즉시 알리도록 교육하였다.
빠른 대처를 하기 위함이다.
5. 간호행위 전, 후 손 씻기를 시행한다.
감염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간호중재
Date
08/12
08/13
08/14
08/15
Time
D
E
N
D
E
N
D
E
N
D
E
N
BP
150/
100
113/
66
121/
59
144/
94
127/
87
118/
59
137/
86
130/
77
101/
56
122/
63
124/
81
130/
74
PR
86
87
89
75
70
82
70
81
71
66
72
79
RR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BT
36.5
36.2
36.3
36.3
36.2
36.6
36.5
36.5
36.5
36.2
36.5
36.2
1. 활력징후를 측정하였다.
2. 매 rounding마다 피부상태를 사정하였다.
매 시간 라운딩을 하면서 수액속도를 확인하고, 대상자의 피부상태를 확인하였다.
3. 정맥염이 있는지 사정한다.
매 시간 라운딩을 하면서 정맥염 사정도구인 VIPS를 사용하여 정맥염이 있는지 확인하였다.
4. 대상자에게 감염의 징후에 대해 설명하고, 감염의 징후가 있을 시 즉시 알리도록 교육하였다.
대상자가 주사부위가 부어있는 것 같다 하여 IV site change를 하였다.
5. 간호행위 전, 후 손 씻기를 시행한다.
손으로 인한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간호행위 전, 후로 물과 비누로 손 위생을 실시 하였고, 손소독제를 사용하여 손 위생을 하였다.
간호평가
대상자는 교육 후 감염의 징후가 무엇인지 알게 되었다고 말 하였고, 퇴원 시까지 감염의 징후가 나타나지 않았다.
5. 실습소감
6. 참고문헌
김금순. 『성인간호학Ⅱ』. 수문사(2016)
은영 외 16명 공역. 『생애주기별 건강사정』. 수문사(2014)
성미혜 외 3명 공저. 『간호과정의 적용』. 수문사(2015)
윤재순 외 공저. 『임상약리학』. 현문사(2014)
36.4
01:05
124/81
81
20
36.6
02:05
131/70
75
20
36.6
1. 수술 후 활력징후를 측정하였다.
2. 통증의 부위, 빈도, 지속시간 등을 사정하였다.
8/11
8/12
8/13
18:00
07:00
15:00
21:00
07:00
15:00
강도
X
8
3
1
1
1
위치
-
우측 눈
우측 눈
우측 눈
우측 눈
우측 눈
양상
-
묵직함
묵직함
묵직함
묵직함
묵직함
빈도
-
간헐적
간헐적
간헐적
간헐적
간헐적
기간
-
10분
8시간
8시간
8시간
8시간
중재
-
관찰
약물
약물
약물
약물
3. 정서적 지지를 해주었다.
대상자가 통증을 말로 표현하도록 격려하였고, 통증이 심할 시 진통제를 투여할 수 있음을 설명하고, 편안한 환경을 만들어 주었다.
4. 필요시 진통제를 투여하였다.
cerzen 7590mg 1tab을 PO로 tid로 투여함
간호평가
대상자는 간호중재 후 통증이 3점을 넘지 않았고, 퇴원 시 통증을 호소하지 않고 퇴원하였다.
2) 질병과 관련된 자기돌봄 향상을 위한 준비간호진단
질병과 관련된 자기돌봄 향상을 위한 준비
간호 사정
주관적
자료
“안약은 어떻게 넣어요....?”
“밥도 어떻게 먹어야 할지모르겠는데 언제 이거 뗄 수 있어요?”
객관적
자료
- 안약은 혼자서는 넣기가 불가능하다고 말함.
- 화장실 가기를 불편해함. 벽을 더듬거리며 감.
- 오른쪽 눈 시야 제한
간호
목표
단기목표
대상자는 2일 이내 안약을 혼자 점적할 수 있다.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 보호자가 없어도 불편함이 없다고 말한다.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1. 눈의 상태와 체위에 대한 설명을 하고 잘 따를 수 있도록 설명한다.
교육을 통해 대상자의 지식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2. 스스로 옷 입기, 식사, 기동 등이 가능하도록 격려한다.
자가 간호를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3. 사용하는 물품들은 손이 닿을 수 있는 곳에 두어 스스로 물품을 집고, 사용하도록 한다.
2차적 피해를 줄이기 위함이다.
4. 보호자가 옆에 상주하도록 교육한다.
대상자에게 도움을 주기 위함이다.
5. 안약을 점적하는 법을 교육한다.
교육을 통해 대상자의 지식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간호중재
1. 눈의 상태와 체위에 대한 설명을 하고 잘 따를 수 있도록 설명하였다.
대상자에게 prone position을 취하도록 하고, 우안에 냉찜질을 하도록 교육하였다.
2. 스스로 옷 입기, 식사, 기동 등이 가능하도록 격려하였다.
오른쪽 시야가 제한된 상태에서도 스스로 활동할 수 있도록 격려하였고, 도움이 필요하면 간호사 호출벨을 누르도록 교육하였다.
3. 사용하는 물품들은 손이 닿을 수 있는 곳에 두어 스스로 물품을 집고, 사용하도록 하였다.
오른쪽 시야가 제한되어있기 때문에 사용하는 물품들은 손이 닿을 수 있는 곳에 두어 스스로 물품을 집고, 사용하도록 하였다.
4. 보호자가 옆에 상주하도록 교육하였다.
보호자에게도 적절한 교육을 하여 대상자의 옆에서 도움을 주도록 하였다.
5. 안약을 점적하는 법을 교육하였다.
정해진 횟수, 정해진 시간을 교육하고 안약은 점적기를 눈 가까이 가져가되 눈꺼풀 이나 속눈썹에 닿지 않도록 교육하였다.
간호평가
대상자는 눈의 상태와 체위, 안약 점적 방법에 대한 교육을 들은 후 혼자서 안약을 점적하는 모습을 보였고, 퇴원 시 보호자가 없을 때에도 스스로 짐을 싸며 불편함 없이 행동하는 것을 보았다.
3)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위험성간호진단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간호 사정
주관적
자료
“이거 주사바늘 언제쯤 빼요..?”
객관적
자료
- 항생제 사용 중
- IV line 유지 중
- 8/11 OP환자
간호
목표
단기목표
대상자는 하루이내 감염의 징후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감염의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1.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대상자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2. 매 rounding마다 피부상태를 사정한다.
대상자의 피부상태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3. 정맥염이 있는지 사정한다.
대상자의 감염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4. 대상자에게 감염의 징후에 대해 설명하고, 감염의 징후가 있을 시 즉시 알리도록 교육하였다.
빠른 대처를 하기 위함이다.
5. 간호행위 전, 후 손 씻기를 시행한다.
감염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간호중재
Date
08/12
08/13
08/14
08/15
Time
D
E
N
D
E
N
D
E
N
D
E
N
BP
150/
100
113/
66
121/
59
144/
94
127/
87
118/
59
137/
86
130/
77
101/
56
122/
63
124/
81
130/
74
PR
86
87
89
75
70
82
70
81
71
66
72
79
RR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BT
36.5
36.2
36.3
36.3
36.2
36.6
36.5
36.5
36.5
36.2
36.5
36.2
1. 활력징후를 측정하였다.
2. 매 rounding마다 피부상태를 사정하였다.
매 시간 라운딩을 하면서 수액속도를 확인하고, 대상자의 피부상태를 확인하였다.
3. 정맥염이 있는지 사정한다.
매 시간 라운딩을 하면서 정맥염 사정도구인 VIPS를 사용하여 정맥염이 있는지 확인하였다.
4. 대상자에게 감염의 징후에 대해 설명하고, 감염의 징후가 있을 시 즉시 알리도록 교육하였다.
대상자가 주사부위가 부어있는 것 같다 하여 IV site change를 하였다.
5. 간호행위 전, 후 손 씻기를 시행한다.
손으로 인한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간호행위 전, 후로 물과 비누로 손 위생을 실시 하였고, 손소독제를 사용하여 손 위생을 하였다.
간호평가
대상자는 교육 후 감염의 징후가 무엇인지 알게 되었다고 말 하였고, 퇴원 시까지 감염의 징후가 나타나지 않았다.
5. 실습소감
6. 참고문헌
김금순. 『성인간호학Ⅱ』. 수문사(2016)
은영 외 16명 공역. 『생애주기별 건강사정』. 수문사(2014)
성미혜 외 3명 공저. 『간호과정의 적용』. 수문사(2015)
윤재순 외 공저. 『임상약리학』. 현문사(2014)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