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문헌 고찰
과빌리루빈 혈증 ( Hyperbilirubinemia)
2.CASE STUDY
Neonatal hyperbilirubinemia
Ⅰ.간호사정(Nursing Assessment)
A.자료 수집
1. 간호정보 조사
1)일반 정보
2)건강과 관련된 정보
2. 신 체 검 진
3.진단적 검사
4. 처방
5. Intake & Output
Ⅱ. 간호 진단 (Nursing Diagnosis)
Ⅲ. 간호목표(Nursing goals), 간호계획(Nursing plan),간호수행(Nursing intervention) , 평가(Evaluation)
Ⅳ. 결론
과빌리루빈 혈증 ( Hyperbilirubinemia)
2.CASE STUDY
Neonatal hyperbilirubinemia
Ⅰ.간호사정(Nursing Assessment)
A.자료 수집
1. 간호정보 조사
1)일반 정보
2)건강과 관련된 정보
2. 신 체 검 진
3.진단적 검사
4. 처방
5. Intake & Output
Ⅱ. 간호 진단 (Nursing Diagnosis)
Ⅲ. 간호목표(Nursing goals), 간호계획(Nursing plan),간호수행(Nursing intervention) , 평가(Evaluation)
Ⅳ. 결론
본문내용
120
56
176
2
2
~6A
분유 100
8cc/h
72
172
4
3
Total
592
9
1
4/6
~2P
분유 175
IVfluid D/C
16
191
6
0
~9P
분유 90
90
4
1
~6A
분유 180
180
5
2
Total
461
15
2
4/7
~2P
분유 160
160
6
0
~9P
분유 100
100
4
1
~8A
분유 300
300
3
3
Total
560
13
3
Ⅱ. 간호 진단 (Nursing Diagnosis)
#1. 광선요법과 관련된 체온의 변화 가능성
#2. 광선요법과 관련된 체액부족의 가능성
#3. 과빌리루빈 농도와 관련된 손상(핵황달)의 가능성
#4. 광선치료 동안의 분리와 관련된 부모역할장애 위험성
과학적근거
건강한 모아관계는 아기 출사직후 저절로 생기는 것이 아니고 엄마와 아기가 서로 반 응하는 순간 배우면서 형성된다. 아기가 어떤 주의를 요하는 행동을 시작했을 때 상호관 계를 위해 엄마는 그 뜻을 알아채어 상호교감할 수 있어야 한다. 엄마와 아기가 함께 애 착 과정에 적극적인 참여자이기 때문이다. 모성애는 자기가 감정의 결속에 의해 자기 삶 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고 느끼게 하는 정서적이 지지를 제공하는 여성의 성격특성 을 의미한다. 이 결속에는 아기를 향한 사랑, 헌신, 보호 그리고 아기의 안녕에 대한 염 려 및 계속적인 유대에 대한 행복한 감정이 포함된다. 모성애는 엄마와 아기가 밀접한 접촉을 함에 따라 발달하며 건강한 모아관계를 위한 높은 가능성을 보여준다
Ⅲ. 간호목표(Nursing goals), 간호계획(Nursing plan)·간호수행(Nursing intervention) , 평가(Evaluation)
간호계획 (간호목표) : 혈청 빌리루빈치 감소
치료에 따른 합병증 예방
간호수행
치료 목적 : 핵황달 예방
간호진단
#1. 광선요법과 관련된 체온의 변화 가능성
간호목표
▷고체온의 증상이나 증후가 없다
▷V/S이 정상범위에 있다
간호계획·수행
▷체온이 높은 경우
air temperature를 조정
▷V/S 측정
평가
▷체온 조절히 적절히 이루어 졌다
간호진단
#2. 광선요법과 관련된 체액부족의 가능성
간호목표
▷적절한 체액상태를 유지한다
▷검사결과가 정상이다
▷I/O상 문제가 없다
간호계획·수행
▷가습기를 제공한다.
▷영양을 충분히 제공하기 위해 시간을 맞추어 수유시킨다
▷air temperature를 적절히 유지시켜준다(27~32˚C유지시켜줬다)
▷I/O를 측정(배뇨와 배설을 카운트하고 섭취량을 체크했다)
(수분손실이 증가하므로 탈수증상을 관찰해야한다.)
▷BT를 관찰
(체온상승은 체액균형을 붕괴 시킬 수 있다, 발열은 대사율을 증가시킨다. 체온이 상승하는 것은 수분의 소실이 과다하기 때문이다)
▷Pulse를 관찰
(혈관의수분량이 감소되었을 때 맥박이 빠르고 약하다)
▷호흡을 관찰(호흡은 체액량의 변화, 전해질 불균형 그리고 산-염기 불균형에 영향을 받는다)
평가
▷I/O측정결과 이상이 없었다
▷V/S이 stable하다▷가습기 제공으로 적절한 실내 습도를 유지하였다.
간호진단
#3. 과빌리루빈 농도와 관련된 손상(핵황달)의 가능성
간호목표
▷Phototherapy로 빌리루빈의 반감기(half life)와 총량을 감소시킨다.
▷교환수혈(Exchange trans fusion)로 혈 중 빌리루빈 수준이 위험수위 이상 축적되는 것을 방지 한다.
간호계획·수행
▷Phototherapy가 잘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보호자를 교육 하고, 환자를 관찰
▷교환수혈의 부작용이 발생하지는 않는지 관찰
평가
▷position change를 확인하고, v/s을 측하여 Phototherapy가 잘 이루어 졌다.
▷교환 수혈의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았다
간호진단
#4.광선치료 동안의 분리와 관련된 부모역할장애 위험성
간호목표
▷부모역할이 충실히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돕는다.
간호계획·수행
▷부모에게 아기의 변화를 설명 해 준다
▷우유를 먹일 때 에는 직접 안고 먹이도록 해준다.
평가
▷아기는 할머니가 돌봐주고 계셨고, 부모의 방문은 드물었다.
▷우유를 먹일 때 는 안고 먹일 수 있도록 하였다.
Ⅳ. 결론
<간호 과정>
1.간호 사정 : Neonatal hyperbilirubinemia
2.간호 진단 : #1. 광선요법과 관련된 체온의 변화 가능성
#2. 광선요법과 관련된 체액부족의 가능성
#3. 과빌리루빈 농도와 관련된 손상(핵황달)의 가능성
#4. 광선치료 동안의 분리와 관련된 부모역할장애 위험성
3.간호 계획, 목표 : 혈청 빌리루빈치 감소
치료에 따른 합병증 예방치료 목적
핵황달 예방
간호 진단에 따른 계획, 목표
4. 간호수행
5. 평가 : 혈청 빌리루빈치 감소
치료에 따른 합병증 예방
간호 진단, 수행에 따른 평가
상기 김○○ 아들은 2003년 04월 03일 (출생 6일), 황달 증상으로 adm하였다.
4월 4일, 입원 둘째 날 까지는 fever와 diarrhea 있었으나 이 후로는 증상 없이 Urine, Stool모두 정상이었다.
처음에는 모유 반 분유 반 먹었는데, 의사는 모유를 먹어도 된다고 했으나, 간호사는 모유를 먹이지 말라고 하여 분유를 3시간마다 먹였고, 잘 먹었다.
밤에도 잘 자고, 하루 16-20시간정도 정상적으로 수면을 취하며, 혈액 채취를 할 때 도 잠깐 울고 말뿐 보채거나 하지 않았다.
교환 수혈과 Phototherapy를 받았다.
-기저귀만 착용하고 옷을 벗은 상태
-빛에 의한 망막 손상을 예방하기 위한 안대 착용
거즈 안에 먹지를 넣고 접어 만든 안대를 플라스타로 고정하여 눈을 가려준다.
첫 번째 날 에는 안대를 불편해 하며 보챘으나 두 번째 날 부터는 잘 적응하여 편안 해 보 였다.
-안대는 8시간마다 교체 해 주며 빛이 새어 들어가지 않도록 눈 밑, 눈썹 쪽에도 뜨는 공간 이 없이 밀착 되도록 플라스타로 고정하였다.
-광선요법과 관련된 체액부족의 가능성을 고려하여 가습기를 적용하였고, I/O
Check을 하였다.
-수유 시에는 안대를 벗기고 보호자(할머니)가 안고 수유하였다.
검사 상으로도 빌리루빈 수치가 떨어졌으며, icteric skin color도 조금씩 정상에 가까워졌다.
56
176
2
2
~6A
분유 100
8cc/h
72
172
4
3
Total
592
9
1
4/6
~2P
분유 175
IVfluid D/C
16
191
6
0
~9P
분유 90
90
4
1
~6A
분유 180
180
5
2
Total
461
15
2
4/7
~2P
분유 160
160
6
0
~9P
분유 100
100
4
1
~8A
분유 300
300
3
3
Total
560
13
3
Ⅱ. 간호 진단 (Nursing Diagnosis)
#1. 광선요법과 관련된 체온의 변화 가능성
#2. 광선요법과 관련된 체액부족의 가능성
#3. 과빌리루빈 농도와 관련된 손상(핵황달)의 가능성
#4. 광선치료 동안의 분리와 관련된 부모역할장애 위험성
과학적근거
건강한 모아관계는 아기 출사직후 저절로 생기는 것이 아니고 엄마와 아기가 서로 반 응하는 순간 배우면서 형성된다. 아기가 어떤 주의를 요하는 행동을 시작했을 때 상호관 계를 위해 엄마는 그 뜻을 알아채어 상호교감할 수 있어야 한다. 엄마와 아기가 함께 애 착 과정에 적극적인 참여자이기 때문이다. 모성애는 자기가 감정의 결속에 의해 자기 삶 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고 느끼게 하는 정서적이 지지를 제공하는 여성의 성격특성 을 의미한다. 이 결속에는 아기를 향한 사랑, 헌신, 보호 그리고 아기의 안녕에 대한 염 려 및 계속적인 유대에 대한 행복한 감정이 포함된다. 모성애는 엄마와 아기가 밀접한 접촉을 함에 따라 발달하며 건강한 모아관계를 위한 높은 가능성을 보여준다
Ⅲ. 간호목표(Nursing goals), 간호계획(Nursing plan)·간호수행(Nursing intervention) , 평가(Evaluation)
간호계획 (간호목표) : 혈청 빌리루빈치 감소
치료에 따른 합병증 예방
간호수행
치료 목적 : 핵황달 예방
간호진단
#1. 광선요법과 관련된 체온의 변화 가능성
간호목표
▷고체온의 증상이나 증후가 없다
▷V/S이 정상범위에 있다
간호계획·수행
▷체온이 높은 경우
air temperature를 조정
▷V/S 측정
평가
▷체온 조절히 적절히 이루어 졌다
간호진단
#2. 광선요법과 관련된 체액부족의 가능성
간호목표
▷적절한 체액상태를 유지한다
▷검사결과가 정상이다
▷I/O상 문제가 없다
간호계획·수행
▷가습기를 제공한다.
▷영양을 충분히 제공하기 위해 시간을 맞추어 수유시킨다
▷air temperature를 적절히 유지시켜준다(27~32˚C유지시켜줬다)
▷I/O를 측정(배뇨와 배설을 카운트하고 섭취량을 체크했다)
(수분손실이 증가하므로 탈수증상을 관찰해야한다.)
▷BT를 관찰
(체온상승은 체액균형을 붕괴 시킬 수 있다, 발열은 대사율을 증가시킨다. 체온이 상승하는 것은 수분의 소실이 과다하기 때문이다)
▷Pulse를 관찰
(혈관의수분량이 감소되었을 때 맥박이 빠르고 약하다)
▷호흡을 관찰(호흡은 체액량의 변화, 전해질 불균형 그리고 산-염기 불균형에 영향을 받는다)
평가
▷I/O측정결과 이상이 없었다
▷V/S이 stable하다▷가습기 제공으로 적절한 실내 습도를 유지하였다.
간호진단
#3. 과빌리루빈 농도와 관련된 손상(핵황달)의 가능성
간호목표
▷Phototherapy로 빌리루빈의 반감기(half life)와 총량을 감소시킨다.
▷교환수혈(Exchange trans fusion)로 혈 중 빌리루빈 수준이 위험수위 이상 축적되는 것을 방지 한다.
간호계획·수행
▷Phototherapy가 잘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보호자를 교육 하고, 환자를 관찰
▷교환수혈의 부작용이 발생하지는 않는지 관찰
평가
▷position change를 확인하고, v/s을 측하여 Phototherapy가 잘 이루어 졌다.
▷교환 수혈의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았다
간호진단
#4.광선치료 동안의 분리와 관련된 부모역할장애 위험성
간호목표
▷부모역할이 충실히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돕는다.
간호계획·수행
▷부모에게 아기의 변화를 설명 해 준다
▷우유를 먹일 때 에는 직접 안고 먹이도록 해준다.
평가
▷아기는 할머니가 돌봐주고 계셨고, 부모의 방문은 드물었다.
▷우유를 먹일 때 는 안고 먹일 수 있도록 하였다.
Ⅳ. 결론
<간호 과정>
1.간호 사정 : Neonatal hyperbilirubinemia
2.간호 진단 : #1. 광선요법과 관련된 체온의 변화 가능성
#2. 광선요법과 관련된 체액부족의 가능성
#3. 과빌리루빈 농도와 관련된 손상(핵황달)의 가능성
#4. 광선치료 동안의 분리와 관련된 부모역할장애 위험성
3.간호 계획, 목표 : 혈청 빌리루빈치 감소
치료에 따른 합병증 예방치료 목적
핵황달 예방
간호 진단에 따른 계획, 목표
4. 간호수행
5. 평가 : 혈청 빌리루빈치 감소
치료에 따른 합병증 예방
간호 진단, 수행에 따른 평가
상기 김○○ 아들은 2003년 04월 03일 (출생 6일), 황달 증상으로 adm하였다.
4월 4일, 입원 둘째 날 까지는 fever와 diarrhea 있었으나 이 후로는 증상 없이 Urine, Stool모두 정상이었다.
처음에는 모유 반 분유 반 먹었는데, 의사는 모유를 먹어도 된다고 했으나, 간호사는 모유를 먹이지 말라고 하여 분유를 3시간마다 먹였고, 잘 먹었다.
밤에도 잘 자고, 하루 16-20시간정도 정상적으로 수면을 취하며, 혈액 채취를 할 때 도 잠깐 울고 말뿐 보채거나 하지 않았다.
교환 수혈과 Phototherapy를 받았다.
-기저귀만 착용하고 옷을 벗은 상태
-빛에 의한 망막 손상을 예방하기 위한 안대 착용
거즈 안에 먹지를 넣고 접어 만든 안대를 플라스타로 고정하여 눈을 가려준다.
첫 번째 날 에는 안대를 불편해 하며 보챘으나 두 번째 날 부터는 잘 적응하여 편안 해 보 였다.
-안대는 8시간마다 교체 해 주며 빛이 새어 들어가지 않도록 눈 밑, 눈썹 쪽에도 뜨는 공간 이 없이 밀착 되도록 플라스타로 고정하였다.
-광선요법과 관련된 체액부족의 가능성을 고려하여 가습기를 적용하였고, I/O
Check을 하였다.
-수유 시에는 안대를 벗기고 보호자(할머니)가 안고 수유하였다.
검사 상으로도 빌리루빈 수치가 떨어졌으며, icteric skin color도 조금씩 정상에 가까워졌다.
키워드
추천자료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과 황달
신생아와 미숙아의 간호
간, 담도, 췌장의 구조와 기능
간염(hepatitis) 케이스
간외성 담관폐쇄
호흡부전 환자간호, 성인 호흡기 장애 증후군, 기계적 인공 호흡
수분과 전해질정리
병리 검사 - 혈액 검사 및 소변 검사
IHBD, CBD stone 케이스 스터디
담석증과 총담관 결석 이해
병원 실습 레포트 - COPD 간호력
[성인 내과케이스] 백혈병 (leukemia) 케이스 스터디
[A+] 수술실 케이스 - laparoscopic choelcystectomy
급성호흡부전 케이스, 병태생리, 간호과정, 간호진단 5개, A+ 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