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자폐성 장애
2) 자폐성 장애의 사회적 상호작용 특성 및 의사소통 특성
3) 사회적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 지원방법
3.
결론
4.
참고문헌
서론
2.
본론
1) 자폐성 장애
2) 자폐성 장애의 사회적 상호작용 특성 및 의사소통 특성
3) 사회적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 지원방법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었다. 자폐의 증상이 대표적으로 ‘언어’에서 나타난다는 것, 그리고 자폐를 가진 아이의 어떠한 부분이 다른 사람과의 사회적 관계를 맺기 어려운 것인지도 알게 되었다. 그리고 그들이 보여주는 문제 행동이나 공격 행동, 자해 행동 같은 것들이 꾸준한 주변의 관심어린 태도, 약물치료 등으로도 개선이 가능한 것들이라는 점도 새로이 깨닫게 되었다. 다시 한 번 이번 과제를 작성하면서 사회적으로 자폐에 대한 인식이 개선되어야 함을 느낄 수 있었다. <말아톤>이 당시에 자폐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 변화에 큰 영향을 끼친 점은 인정하지만, 아직도 우리사회에서는 장애인에 대한 부정적이거나 시혜적인 시선이 깔려있는 것이 사실이다. 거리에 장애인이 많이 보일수록 살기 좋은 나라라는 말이 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의 거리는 어떠한가? 우리나라의 장애인들은 거리로 나오지 않는다. 경증인 장애인들은 외형적으로 비장애인과 큰 차이가 없어 알아채지 못하는 경우가 많겠지만, 장애의 모습이 분명하게 나타나는 사람들의 모습은 쉽게 찾아볼 수 없다. 우리 사회는 여전히 장애인에 대한 차별이 존재하는 것이다. 심지어 장애인 학교 건립에도 반대를 하는 사람들이 많은 세상이다. <말아톤>과 같은 장애에 대한 시선을 변화시킬 수 있는 계기가 다시 한 번 만들어져야 할 것이다. 우리의 인식부터 바뀌어야 장애인들을 지원할 수 있는 제도가 생겨나고 지원할 수 있는 기관이 늘어날 것이다. 장애인이 더 이상 숨지 않도록 해야 한다. 장애인들도 비장애인이 이미 자연스럽게 누리고 있는 교육의 권리, 문화예술을 향유하는 것, 어디든 본인이 가고 싶은 곳으로 이동할 수 있는 자유를 우리가 먼저 만들어 주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자폐와 더불어 장애를 가진 아동들이 조기에 장애를 판정받고, 가족과 교육기관, 지자체를 비롯한 사회의 지원과 제도를 통하여 장애를 극복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을 깨닫게 되는 기회가 되었다.
4. 참고문헌
- 이소연, 『상체운동 프로그램이 자폐아동 사회성 행동변화에 미치는 효과』,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9
- 홍점숙, 『자폐성 장애학생의 제한적 반복행동과 감각반응 특성 및 특수교사의 감각지원 분석』, 우석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20
- 김하은, 『긍정적 행동지원을 활용한 중재가 자폐성장애 유아의 즉각반향어 및 적절한 의사소통 반응에 미치는 효과』, 인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8
4. 참고문헌
- 이소연, 『상체운동 프로그램이 자폐아동 사회성 행동변화에 미치는 효과』,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9
- 홍점숙, 『자폐성 장애학생의 제한적 반복행동과 감각반응 특성 및 특수교사의 감각지원 분석』, 우석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20
- 김하은, 『긍정적 행동지원을 활용한 중재가 자폐성장애 유아의 즉각반향어 및 적절한 의사소통 반응에 미치는 효과』, 인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8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