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지역사회 복지 실천
2) 장애인 시설(경기도 의정부)
3) 사회복지사의 역할
3.
결론
4.
참고문헌
서론
2.
본론
1) 지역사회 복지 실천
2) 장애인 시설(경기도 의정부)
3) 사회복지사의 역할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에 역량강화를 돕는다.
- 모든 중증장애인을 대상으로 한다.
- 운영프로그램
권익옹호 지원으로 장애인 차별상담, 장애인권강사 양성, 정책제안과 모니터링을 한다. 그리고 동료상담은 개별 또는 집단동료상담과 동료상담가 양성을 하기도 한다. 자립생활기술훈련으로 자조모임 운영과 발달장애인 자립생활기술 훈련을 한다.
3) 사회복지사의 역할
① 근린지역과 지역사회 조직화모델
- 지리적으로 가까운 근린지역이나 지역사회 조직화에 초점을 둔다.
- 조직가, 교사, 코치, 촉진자처럼 조직의 리더십과 참모의 촉진역할을 명확하게 구분하는 것이 중요하다.
② 기능적 지역사회 조직화모델
- 지역적으로 떨어져 있다. 하지만 공통되는 관심사와 이해관계를 기초로 하는 지역사회의 조직화를 둔다. 그래서 지리적인 의미의 지역사회조직보다 기능에 초점을 둔다. 즉 이 모델은 이해관계를 기초를 둔다.
- 조직원의 총원이나 문제의 정의, 옹호전략이나 전술 결정에 기여한 촉진자의 역할을 한다. 그리고 조사나 분석기법을 가르치는 역할, 집필이나 정보제공자 역할로 조직가, 옹호자, 촉진자, 정보전달자를 말한다.
③ 지역사회의 사회적 또는 경제적 개발모델
- 지역사회의 성공적 개발을 위하여 사회적 또는 경제적 개발이 동시 진행되는 것을 강조한다. 다시 말해 사회경제적 개발이나 자원개발의 계획을 준비하면서 실행하도록 하여 주민과 지역사회조직의 능력을 강화시키는 것에 중심을 둔다. 그리고 저소득이나 불이익계층의 효과성을 제고시키기 위해서다.
- 지방자치제의 스태프와 초기조직단계에서 집단의 스태프 역할로 협상가, 증진자, 교사, 계획가, 관리자로서 역할을 말한다.
④ 사회계획모델
- 사회 서비스나 정책의 개발과 확장이나 조정에 초점을 둔다.
- 계획가가 수행한 중심적 과업으로 서비스통합, 사회계획 또는 인간 서비스 합리성을 부여한다.
- 조사자, 프로포절 제안자, 욕구사정, 정보전달자, 관리자의 역할을 한다.
3. 결론
지역사회 복지는 한 곳에서만 잘한다고 해서 되는 것이 아니다. 지역사회의 지자체와 기관 주민, 도와주는 도움체들이 서로 합을 맞춰야 한다. 이처럼 서로의 이익을 우선하는 것이 아니라 지역 안에서 서로가 잘 어울려 지역 주민들이 골고루 복지의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
4. 참고문헌
1. 권오균, 길귀숙 외 3명, 《지역사회복지론》, 공동체, 2011
2. 김경우, 구재관 등 지음, 창지사, <지역사회복지론>, 2011.
- 모든 중증장애인을 대상으로 한다.
- 운영프로그램
권익옹호 지원으로 장애인 차별상담, 장애인권강사 양성, 정책제안과 모니터링을 한다. 그리고 동료상담은 개별 또는 집단동료상담과 동료상담가 양성을 하기도 한다. 자립생활기술훈련으로 자조모임 운영과 발달장애인 자립생활기술 훈련을 한다.
3) 사회복지사의 역할
① 근린지역과 지역사회 조직화모델
- 지리적으로 가까운 근린지역이나 지역사회 조직화에 초점을 둔다.
- 조직가, 교사, 코치, 촉진자처럼 조직의 리더십과 참모의 촉진역할을 명확하게 구분하는 것이 중요하다.
② 기능적 지역사회 조직화모델
- 지역적으로 떨어져 있다. 하지만 공통되는 관심사와 이해관계를 기초로 하는 지역사회의 조직화를 둔다. 그래서 지리적인 의미의 지역사회조직보다 기능에 초점을 둔다. 즉 이 모델은 이해관계를 기초를 둔다.
- 조직원의 총원이나 문제의 정의, 옹호전략이나 전술 결정에 기여한 촉진자의 역할을 한다. 그리고 조사나 분석기법을 가르치는 역할, 집필이나 정보제공자 역할로 조직가, 옹호자, 촉진자, 정보전달자를 말한다.
③ 지역사회의 사회적 또는 경제적 개발모델
- 지역사회의 성공적 개발을 위하여 사회적 또는 경제적 개발이 동시 진행되는 것을 강조한다. 다시 말해 사회경제적 개발이나 자원개발의 계획을 준비하면서 실행하도록 하여 주민과 지역사회조직의 능력을 강화시키는 것에 중심을 둔다. 그리고 저소득이나 불이익계층의 효과성을 제고시키기 위해서다.
- 지방자치제의 스태프와 초기조직단계에서 집단의 스태프 역할로 협상가, 증진자, 교사, 계획가, 관리자로서 역할을 말한다.
④ 사회계획모델
- 사회 서비스나 정책의 개발과 확장이나 조정에 초점을 둔다.
- 계획가가 수행한 중심적 과업으로 서비스통합, 사회계획 또는 인간 서비스 합리성을 부여한다.
- 조사자, 프로포절 제안자, 욕구사정, 정보전달자, 관리자의 역할을 한다.
3. 결론
지역사회 복지는 한 곳에서만 잘한다고 해서 되는 것이 아니다. 지역사회의 지자체와 기관 주민, 도와주는 도움체들이 서로 합을 맞춰야 한다. 이처럼 서로의 이익을 우선하는 것이 아니라 지역 안에서 서로가 잘 어울려 지역 주민들이 골고루 복지의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
4. 참고문헌
1. 권오균, 길귀숙 외 3명, 《지역사회복지론》, 공동체, 2011
2. 김경우, 구재관 등 지음, 창지사, <지역사회복지론>, 2011.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