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영화 <사도> 줄거리
(2) 영화의 역사적 배경
1) 경신환국
2) 기사환국
3) 갑술환국
4) 노론과 소론
(3) 사도세자의 입장
(4) 영조의 입장
3.
결론
4.
참고문헌
서론
2.
본론
(1) 영화 <사도> 줄거리
(2) 영화의 역사적 배경
1) 경신환국
2) 기사환국
3) 갑술환국
4) 노론과 소론
(3) 사도세자의 입장
(4) 영조의 입장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하기 시작했던 것이다. 사도세자가 역적이 되어버리면 손자인 정조마저 왕위를 물려받지 못하게 되므로 조선 왕조에 혼란이 발생할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영조는 사도세자에게 자결하라는 명령을 내리게 되었다. 그럼에도 하루 간의 실랑이를 벌이다가 결국은 뒤주에 들어가라고 명령하였고, 사도세자는 죽으리라고 예상하지 못한 채 스스로 들어갔으나 결국은 8일 만에 죽어 나오게 되었다.
3. 결론
임오화변을 주제로 하는 영화 <사도>는 영조와 사도세자의 갈등, 그리고 그 결과 사도세자가 뒤주에 갇혀 죽게 되기까지의 이야기를 묘사하고 있다. 현대사회에서는 가정이라는 구조를 중요하게 여기기 때문에 일면 영조를 아들을 죽인 비정한 아버지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임오화변이 발생하게 된 정치적 배경을 살펴보고 사도세자는 정치적 불안과 정쟁에 의한 희생자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조선 중기부터는 신하들이 둘로 분열되어 계속 의미 없는 정쟁을 지속했다. 숙종 대 세 번의 환국으로 그 대립이 격화되었고, 이는 이후의 예송 논쟁으로 심화되기도 했다. 숙종 대에 유악 사건과 삼복의 변으로 인해 경신환국이 일어났고 지배 세력이던 남인이 세력을 잃고 서인이 집권하게 된다. 이후 숙종이 장 씨를 희빈으로 올리면서 인현왕후를 지지하는 서인과 장 씨를 지지하는 남인 사이에 또 한 번 갈등이 일어나게 되었고 기사환국으로 서인이 세력을 잃게 된다. 그러나 갑술환국을 통해 희빈 장 씨가 축출되고 인현왕후 복귀 운동이 일어나며 서인이 지배 세력으로 집권한다.
세 번의 환국을 거치면서 서인은 집권 세력이 되었지만 환국 과정에서 관련된 남인 세력을 처벌하고자 하는 문제를 두고 다시 분열하게 되었다. 이것이 송시열을 지지하는 노론과 윤증을 지지하는 소론이다. 노론과 소론 또한 서인과 남인처럼 처음에는 학문적 갈등으로 시작하였으나 점차 정치적 갈등으로 심화되었다. 그러면서 소론은 경종을 지지하여 경종이 재위하던 때에는 소론이 집권하였는데 이후 경종이 알 수 없는 이유로 사망하면서 소론이 실각하고 노론이 집권하게 되었다. 노론은 당시 연잉군이었던 영조를 임금으로 추대하였다. 영조는 임금으로서 권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노론을 거스를 수 없었고, 조선 왕조와 종묘사직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사도세자를 버리는 선택을 할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한국사의 어느 시기에서든 정치적으로 불안정한 시기에는 늘 희생자가 발생해왔다. 그만큼 정치적으로 평화를 이루는 것이 매우 중요한 과제이며 불필요하고 의미 없는 당파 싸움은 희생자를 만들 수밖에 없다. 임오화변을 교훈 삼아 이후 탕평책을 펼친 정조 또한 아버지인 사도세자의 죽음을 이렇게 해석했을 것이라고 본다.
4. 참고문헌
- 조선 시대 노론과 소론의 탄생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2260845&memberNo=30620779
- 사도 영화 정보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21922
- 최성환. (2012). 임오화변 (壬午禍變) 관련 당론서 (黨論書) 의 계통과 ‘정조의 임오의리’. 역사와현실, (85), 177-224.
- 한기범, “숙종조의 환국정치와 대전사림”, 대전광역시, 2015
- 설민석의 [사도] 버림받은 왕자, 사도세자
https://www.youtube.com/watch?v=qcGmThWrrvA&list=PL7jofTvC3k-7ymiZIsCngkEMol-rU7MoP
- 이다지의 [사도세자], 당신이 몰랐던 사도세자의 뒷이야기
https://www.youtube.com/watch?v=Eo0IVExPomM
3. 결론
임오화변을 주제로 하는 영화 <사도>는 영조와 사도세자의 갈등, 그리고 그 결과 사도세자가 뒤주에 갇혀 죽게 되기까지의 이야기를 묘사하고 있다. 현대사회에서는 가정이라는 구조를 중요하게 여기기 때문에 일면 영조를 아들을 죽인 비정한 아버지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임오화변이 발생하게 된 정치적 배경을 살펴보고 사도세자는 정치적 불안과 정쟁에 의한 희생자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조선 중기부터는 신하들이 둘로 분열되어 계속 의미 없는 정쟁을 지속했다. 숙종 대 세 번의 환국으로 그 대립이 격화되었고, 이는 이후의 예송 논쟁으로 심화되기도 했다. 숙종 대에 유악 사건과 삼복의 변으로 인해 경신환국이 일어났고 지배 세력이던 남인이 세력을 잃고 서인이 집권하게 된다. 이후 숙종이 장 씨를 희빈으로 올리면서 인현왕후를 지지하는 서인과 장 씨를 지지하는 남인 사이에 또 한 번 갈등이 일어나게 되었고 기사환국으로 서인이 세력을 잃게 된다. 그러나 갑술환국을 통해 희빈 장 씨가 축출되고 인현왕후 복귀 운동이 일어나며 서인이 지배 세력으로 집권한다.
세 번의 환국을 거치면서 서인은 집권 세력이 되었지만 환국 과정에서 관련된 남인 세력을 처벌하고자 하는 문제를 두고 다시 분열하게 되었다. 이것이 송시열을 지지하는 노론과 윤증을 지지하는 소론이다. 노론과 소론 또한 서인과 남인처럼 처음에는 학문적 갈등으로 시작하였으나 점차 정치적 갈등으로 심화되었다. 그러면서 소론은 경종을 지지하여 경종이 재위하던 때에는 소론이 집권하였는데 이후 경종이 알 수 없는 이유로 사망하면서 소론이 실각하고 노론이 집권하게 되었다. 노론은 당시 연잉군이었던 영조를 임금으로 추대하였다. 영조는 임금으로서 권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노론을 거스를 수 없었고, 조선 왕조와 종묘사직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사도세자를 버리는 선택을 할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한국사의 어느 시기에서든 정치적으로 불안정한 시기에는 늘 희생자가 발생해왔다. 그만큼 정치적으로 평화를 이루는 것이 매우 중요한 과제이며 불필요하고 의미 없는 당파 싸움은 희생자를 만들 수밖에 없다. 임오화변을 교훈 삼아 이후 탕평책을 펼친 정조 또한 아버지인 사도세자의 죽음을 이렇게 해석했을 것이라고 본다.
4. 참고문헌
- 조선 시대 노론과 소론의 탄생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2260845&memberNo=30620779
- 사도 영화 정보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21922
- 최성환. (2012). 임오화변 (壬午禍變) 관련 당론서 (黨論書) 의 계통과 ‘정조의 임오의리’. 역사와현실, (85), 177-224.
- 한기범, “숙종조의 환국정치와 대전사림”, 대전광역시, 2015
- 설민석의 [사도] 버림받은 왕자, 사도세자
https://www.youtube.com/watch?v=qcGmThWrrvA&list=PL7jofTvC3k-7ymiZIsCngkEMol-rU7MoP
- 이다지의 [사도세자], 당신이 몰랐던 사도세자의 뒷이야기
https://www.youtube.com/watch?v=Eo0IVExPomM
추천자료
영조와 오광운의 탕평론
전근대 통치구조와 정치활동
[조선시대][조선시대 왕권][조선시대 왕조][조선시대 왕조실록][왕의 일상][왕복][왕실 호칭]...
사회과 역사 지도안
혜경궁 홍씨의 한의 세월을 적은 한중록 = 믿을 수 있는 화자와 믿을 수 없는 화자 = 작가와...
한국정치사상_정조의 영원한 제국
[최신A+자료] : 사도영화감상문, 사도 역사적고찰및 분석, 영화사도에대한평가및역사적고찰...
불안과 방어기제(프로이드 정신분석이론에서의 불안 불안에 대한 대처와 자아방어 갈등과 자...
가족상담 및 치료) 부모 자녀 간 미분화로 인해 갈등을 겪는 소설, 드라마, 영화 중 하나를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