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물분무헤드의 설치
(2) 수원의 확보
1) 저수량
2) 수원의 량
(3) 고가수조
1) 정의
2) 구성
3) 고가 수조의 자연 낙차 이용 방식
3.
결론
4.
참고문헌
서론
2.
본론
(1) 물분무헤드의 설치
(2) 수원의 확보
1) 저수량
2) 수원의 량
(3) 고가수조
1) 정의
2) 구성
3) 고가 수조의 자연 낙차 이용 방식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하다.
- 고가수조로부터 물분부소화설비의 수직배관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를 다른 설비의 급수구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한다.
(3) 고가수조
1) 정의
- 사용하고자 하는 물을 건물옥상 또는 별도로 높은 위치에 설치된 저수조에 양수해 보관하고, 필요할 때 자연압(중력)에 따라서 급수하기 위해서 설치한 저수조를 말한다.
2) 구성
- 양수관, 급수관, 월류관, 배수관, 맨홀로 구성된다. 먼저 지하에 설치되어 대용량의 저수조에 담아서 저장한다. 그 후에 물 사용량의 일부를 간헐적으로 고가수조로 끌어올려 공급하는 방식이다. 이때 수돗물이 물탱크에 장시간 저장될 때 잔류염소량은 줄고, 수질 악화의 우려가 있다. 그리고 지하 저수조에서 고가수조로 물을 끌어 올리는 경우 많은 동력이 소모된다는 단점을 가진 다.
3) 고가 수조의 자연 낙차 이용 방식
H = h₁ + h₂
H는 필요한 낙차(m)로 수조의 하단으로부터 최고층에 설치되는 물분무 헤드까지의 수직거리를 말한다.
h₁은 물분부 헤드의 설계 압력 환산수두(m)
h₂은 배관의 마찰 손실 수두(m)
3. 결론
최근 지하 저수조나 고가수조를 거치지 않고 부스터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바뀌고 있다. 즉 수돗물을 보내는 방식을 직결급수 방식이 도입이 되면서 수질 개선과 더불어 에너지 절약과 수압 상승의 효과를 볼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고층건물에서도 수압을 조절하기 위해서 건물 중간층은 중간저수조를 설치하고 있다.
4. 참고문헌
1. 물백과사전 “고가수조 [高架水槽, elevated storage, elevated tank]”
2. 수계시스템 공학, 손봉세, 동화기술 2014
- 고가수조로부터 물분부소화설비의 수직배관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를 다른 설비의 급수구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한다.
(3) 고가수조
1) 정의
- 사용하고자 하는 물을 건물옥상 또는 별도로 높은 위치에 설치된 저수조에 양수해 보관하고, 필요할 때 자연압(중력)에 따라서 급수하기 위해서 설치한 저수조를 말한다.
2) 구성
- 양수관, 급수관, 월류관, 배수관, 맨홀로 구성된다. 먼저 지하에 설치되어 대용량의 저수조에 담아서 저장한다. 그 후에 물 사용량의 일부를 간헐적으로 고가수조로 끌어올려 공급하는 방식이다. 이때 수돗물이 물탱크에 장시간 저장될 때 잔류염소량은 줄고, 수질 악화의 우려가 있다. 그리고 지하 저수조에서 고가수조로 물을 끌어 올리는 경우 많은 동력이 소모된다는 단점을 가진 다.
3) 고가 수조의 자연 낙차 이용 방식
H = h₁ + h₂
H는 필요한 낙차(m)로 수조의 하단으로부터 최고층에 설치되는 물분무 헤드까지의 수직거리를 말한다.
h₁은 물분부 헤드의 설계 압력 환산수두(m)
h₂은 배관의 마찰 손실 수두(m)
3. 결론
최근 지하 저수조나 고가수조를 거치지 않고 부스터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바뀌고 있다. 즉 수돗물을 보내는 방식을 직결급수 방식이 도입이 되면서 수질 개선과 더불어 에너지 절약과 수압 상승의 효과를 볼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고층건물에서도 수압을 조절하기 위해서 건물 중간층은 중간저수조를 설치하고 있다.
4. 참고문헌
1. 물백과사전 “고가수조 [高架水槽, elevated storage, elevated tank]”
2. 수계시스템 공학, 손봉세, 동화기술 2014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