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옥내 소화전 설비 구성요소
2. 옥외 소화전 설비 구성요소
3. 스프링클러 소화설비 구성요소
3. 소화용수설비 구성요소
4. 소화활동설비 구성요소
5. 포 소화설비 구성요소
2. 옥외 소화전 설비 구성요소
3. 스프링클러 소화설비 구성요소
3. 소화용수설비 구성요소
4. 소화활동설비 구성요소
5. 포 소화설비 구성요소
본문내용
선, 그 밖의 스프링클러설비의 감시, 조작 또는 표시
등 회로의 배선 - 내화배선 또는 내열배선
3. 소화용수설비 구성요소
[1] 상수도소화용수설비
[2] 소화 수조
채수구 또는 흡수관투입구
[3] 가압송수장치
1) 수조방식
2) 순환배관 - 펌프의 체절운전 시 수온 상승 방지하기 위해 설치( 릴리프 밸브 설치 )
3) 성능시험배관 - 펌프의 성능곡선의 불량 및 방사압과 토출량을 검사하기 위한 배관
4) 물올림장치 - 펌프의 풋밸브 고장 시 펌프케이싱에서 풋밸브까지 물을 공급하여 펌프
작동 시 물이 흡입될 수 있도록 대비시켜 주는 장치.
5) 기동용 수압 개폐 장치 - 수압의 변화를 감지, 펌프를 기동(정지)시키는 장치
압력챔버
압력스위치 - 배관 내의 압력이 설정 이하로 강하되면 압력스위치가 펌프 기동
안전밸브 - 펌프 토출측의 과압력 작용 시 작동되어 압력 방출.
6) 수격방지기 - 순간적인 이상고압을 흡수 충격을 완화
7) 압력계 - 펌프의 토출측에 설치하여 토출압력 나타냄
8) 연성계 - 물의 흡입상태 확인 위해 펌프의 흡입측 배관에 설치
9) 밸브
게이트밸브 - 배관의 횡단면과 평행하게 개폐
앵글밸브 - 수류의 방향을 90로 변환
체크밸브 - 유체의 흐름 역류를 방지
릴리프밸브 - 설정된 압력직하에서 작동되도록 사용자가 압력 조정해 사용할 수 있는 밸브
안전밸브 - 설정된 압력이상에서만 작동되도록 고정, 압력 조정이 불가능한 밸브
풋밸브 - 흡수관 말단에 설치, 물의 흐름을 펌프측으로만 흡상, 펌프 정지 시 흡입관내
물을 가둠(체크밸브역할), 수조 내 이물질이 흡입되는 것을 1차적으로 여과
흡입관 - 펌프의 흡입측에 설치하는 관
스트레이너 - 흡입측 배관에 이물질 등이 펌프케이싱 내 침입 방지하여 펌프의 고장이나
기능 저하를 방지하는 여과장치.
플랙시블 조인트 - 펌프로부터의 진동 흡수, 배관의 파손 및 변형 방지
4. 소화활동설비 구성요소
[1] 연결송수관 설비
1) 송수구 - 구경 65mm 이상의 쌍구형으로 설치
2) 배관 - 주배관의 구경은 100mm 이상
3) 방수구 - 11층 이상의 부분에 설치하는 방수구는 쌍구형으로 설치
4) 방수기구함 - 3개층마다 1개씩 설치
5) 가압송수장치
6) 전원시설
7) 배선
[2] 연결살수설비
1) 송수구 - 구경 65mm 이상의 쌍구형으로 설치
2) 선택밸브
3) 자동배수밸브 및 체크밸브
4) 개방형 헤드 - 수평거리 3.7m 이하
5) 배관
[3] 연소방지설비
1) 송수구 - 구경 65mm 이상의 쌍구형으로 설치
2) 배관
3) 방수헤드
4. 물분무소화설비 구성요소
[1] 물분무 헤드
[2] 일제개방밸브 - 유량 8,300 L/min
[3] 원거리 조작장치
[4] 수원 - 바닥면적 1m²당 10 L/min, 20분간 방수 할 수 있는 양
[5] 가압송수장치
1) 수조방식
2) 순환배관
3) 성능시험배관
4) 물올림장치
5) 기동용 수압 개폐 장치 압력챔버 압력스위치 안전밸브
6) 수격방지기
7) 압력계
8) 연성계
9) 밸브 - 게이트밸브 앵글밸브 체크밸브 릴리프밸브 안전밸브 풋밸브
흡입관 스트레이너 플랙시블 조인트
[6] 제어밸브, 기타밸브
[7] 중간 가압송수장치 - 건물의 높이 60m 초과 시 설치
[8] 배관
[9] 송수구 - 구경 65mm 쌍구형으로 설치
[10] 배수설비
[11] 전원설비 - 상용전원, 비상전원
[12] 제어반 - 감시제어반, 동력제어반
[13] 배선
5. 포 소화설비 구성요소
[1] 포 혼합장치
라인프로포셔너 방식 펌프프로포셔너 방식 프레셔프로포셔너 방식
프레셔 사이드 프로포셔너 방식
[2] 포 방출구 - 포 수용액을 교반, 공기를 흡입하는 역할, 고정포방출구
[3] 포 헤드 - 포헤드, 포워터스프링클러헤드
[4] 수원 - Q = N x Q₁x 10( 방사시간 )
[5] 가압송수장치
1) 수조방식
2) 순환배관
3) 성능시험배관
4) 물올림장치
5) 기동용 수압 개폐 장치 압력챔버 압력스위치 안전밸브
6) 수격방지기
7) 압력계
8) 연성계
9) 밸브 - 게이트밸브 앵글밸브 체크밸브 릴리프밸브 안전밸브 풋밸브
흡입관 스트레이너 플랙시블 조인트
[6] 개방밸브
[7] 기동장치 - 수동식 기동장치, 자동식 기동장치
[8] 기동장치용 자동경보장치
[9] 배수설비
[10] 전원설비 - 상용전원, 비상전원
[11] 제어반 - 감시제어반, 동력제어반
등 회로의 배선 - 내화배선 또는 내열배선
3. 소화용수설비 구성요소
[1] 상수도소화용수설비
[2] 소화 수조
채수구 또는 흡수관투입구
[3] 가압송수장치
1) 수조방식
2) 순환배관 - 펌프의 체절운전 시 수온 상승 방지하기 위해 설치( 릴리프 밸브 설치 )
3) 성능시험배관 - 펌프의 성능곡선의 불량 및 방사압과 토출량을 검사하기 위한 배관
4) 물올림장치 - 펌프의 풋밸브 고장 시 펌프케이싱에서 풋밸브까지 물을 공급하여 펌프
작동 시 물이 흡입될 수 있도록 대비시켜 주는 장치.
5) 기동용 수압 개폐 장치 - 수압의 변화를 감지, 펌프를 기동(정지)시키는 장치
압력챔버
압력스위치 - 배관 내의 압력이 설정 이하로 강하되면 압력스위치가 펌프 기동
안전밸브 - 펌프 토출측의 과압력 작용 시 작동되어 압력 방출.
6) 수격방지기 - 순간적인 이상고압을 흡수 충격을 완화
7) 압력계 - 펌프의 토출측에 설치하여 토출압력 나타냄
8) 연성계 - 물의 흡입상태 확인 위해 펌프의 흡입측 배관에 설치
9) 밸브
게이트밸브 - 배관의 횡단면과 평행하게 개폐
앵글밸브 - 수류의 방향을 90로 변환
체크밸브 - 유체의 흐름 역류를 방지
릴리프밸브 - 설정된 압력직하에서 작동되도록 사용자가 압력 조정해 사용할 수 있는 밸브
안전밸브 - 설정된 압력이상에서만 작동되도록 고정, 압력 조정이 불가능한 밸브
풋밸브 - 흡수관 말단에 설치, 물의 흐름을 펌프측으로만 흡상, 펌프 정지 시 흡입관내
물을 가둠(체크밸브역할), 수조 내 이물질이 흡입되는 것을 1차적으로 여과
흡입관 - 펌프의 흡입측에 설치하는 관
스트레이너 - 흡입측 배관에 이물질 등이 펌프케이싱 내 침입 방지하여 펌프의 고장이나
기능 저하를 방지하는 여과장치.
플랙시블 조인트 - 펌프로부터의 진동 흡수, 배관의 파손 및 변형 방지
4. 소화활동설비 구성요소
[1] 연결송수관 설비
1) 송수구 - 구경 65mm 이상의 쌍구형으로 설치
2) 배관 - 주배관의 구경은 100mm 이상
3) 방수구 - 11층 이상의 부분에 설치하는 방수구는 쌍구형으로 설치
4) 방수기구함 - 3개층마다 1개씩 설치
5) 가압송수장치
6) 전원시설
7) 배선
[2] 연결살수설비
1) 송수구 - 구경 65mm 이상의 쌍구형으로 설치
2) 선택밸브
3) 자동배수밸브 및 체크밸브
4) 개방형 헤드 - 수평거리 3.7m 이하
5) 배관
[3] 연소방지설비
1) 송수구 - 구경 65mm 이상의 쌍구형으로 설치
2) 배관
3) 방수헤드
4. 물분무소화설비 구성요소
[1] 물분무 헤드
[2] 일제개방밸브 - 유량 8,300 L/min
[3] 원거리 조작장치
[4] 수원 - 바닥면적 1m²당 10 L/min, 20분간 방수 할 수 있는 양
[5] 가압송수장치
1) 수조방식
2) 순환배관
3) 성능시험배관
4) 물올림장치
5) 기동용 수압 개폐 장치 압력챔버 압력스위치 안전밸브
6) 수격방지기
7) 압력계
8) 연성계
9) 밸브 - 게이트밸브 앵글밸브 체크밸브 릴리프밸브 안전밸브 풋밸브
흡입관 스트레이너 플랙시블 조인트
[6] 제어밸브, 기타밸브
[7] 중간 가압송수장치 - 건물의 높이 60m 초과 시 설치
[8] 배관
[9] 송수구 - 구경 65mm 쌍구형으로 설치
[10] 배수설비
[11] 전원설비 - 상용전원, 비상전원
[12] 제어반 - 감시제어반, 동력제어반
[13] 배선
5. 포 소화설비 구성요소
[1] 포 혼합장치
라인프로포셔너 방식 펌프프로포셔너 방식 프레셔프로포셔너 방식
프레셔 사이드 프로포셔너 방식
[2] 포 방출구 - 포 수용액을 교반, 공기를 흡입하는 역할, 고정포방출구
[3] 포 헤드 - 포헤드, 포워터스프링클러헤드
[4] 수원 - Q = N x Q₁x 10( 방사시간 )
[5] 가압송수장치
1) 수조방식
2) 순환배관
3) 성능시험배관
4) 물올림장치
5) 기동용 수압 개폐 장치 압력챔버 압력스위치 안전밸브
6) 수격방지기
7) 압력계
8) 연성계
9) 밸브 - 게이트밸브 앵글밸브 체크밸브 릴리프밸브 안전밸브 풋밸브
흡입관 스트레이너 플랙시블 조인트
[6] 개방밸브
[7] 기동장치 - 수동식 기동장치, 자동식 기동장치
[8] 기동장치용 자동경보장치
[9] 배수설비
[10] 전원설비 - 상용전원, 비상전원
[11] 제어반 - 감시제어반, 동력제어반
추천자료
다국적기업[코카콜라]
택배사업
전자상거래의 성공사례와 실패사례의 분석
[사업계획서] `자전거택배회사` 사업계획서
교대제근무의 문제점과 방안
세계최고의 철강기업, 포스코(POSCO) 분석
SCM 및 생산관리, 물류, CPIM, 구매 파트 지원자 자기소개서 [그룹사 인사팀 출신 현직 컨설...
조직구조 변화에 따른 성공적인 인간관계 방법
정신장애인의 사회복귀를 위한 원외시설-삼성프로그램당선작
조리사의 자세, 역할, 업무
[고이즈미총리][신사참배][자민당][일본의 정치][일본의 통치기구][일본의 국회]일본의 정치...
암과힐링스토리 (2)건강기능식품의 기능.ppt
콜라전쟁 사례 분석 [코카콜라 vs 펩시]
애플(Apple)의 new CEO 팀 쿡(Timothy Cook)과 애플 (Apple)의 미래.pptx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