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논문 선정
2) 연구 문제 제기
3) 이론적 배경
(1) 빈곤의 개념
(2) 사회복지서비스의 개념
4) 선행연구 및 연구 방법
(1) 선행연구와 관련이론의 요약
(2) 이론적 틀 제시
(3) 변수에 대한 개념 규정
5) 연구 모형 및 측정 도구
6) 자료 분석 및 결과
(1) 분석 방법
(2) 분석 결과
3.
결론
4.
참고문헌
서론
2.
본론
1) 논문 선정
2) 연구 문제 제기
3) 이론적 배경
(1) 빈곤의 개념
(2) 사회복지서비스의 개념
4) 선행연구 및 연구 방법
(1) 선행연구와 관련이론의 요약
(2) 이론적 틀 제시
(3) 변수에 대한 개념 규정
5) 연구 모형 및 측정 도구
6) 자료 분석 및 결과
(1) 분석 방법
(2) 분석 결과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
일곱 째, 서울시 거주중인 중위소득 50% 이하 빈곤가구의 가처분소득은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줄 것이다.
여덟 째, 서울시 거주중인 중위소득 50% 이하 빈곤가구의 사회복지기관 접근성은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줄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12년 기준의 중위소득 50% 이하 저소득층 및 빈곤가구이며 연구대상의 규모는 3,780 조사가구로 선정하였다. 측정도구는 ①사회복지서비스 이용 정도, ② 소인성 요인, ③욕구 요인, ④가능성 요인이다.
6) 자료 분석 및 결과
(1) 분석 방법
본 연구 자료는 SPSS 20.2 프로그램으로 빈도분석, 평균, 표준편차를 측정하여 통계 분석하였으며 t-test 분석을 통해 각 독립변수에 대한 평균값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다중회귀분석으로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대해 영향을 끼치는지도 파악하였다.
(2) 분석 결과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끼치는 빈곤가구의 특성은 위의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나타냈다. “빈곤가구의 특성이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결과를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 3,749명 중 빈곤가구에 속하는 1,074명을 대상으로 소인성 요인으로는, 가구주의 나이가 많으면 사회복지서비스의 이용이 많아진다. 하지만 성별, 교육수준은 유의미한 관계가 없었다. 욕구 요인으로 장애가 있고, 만성질환이 있으며 주관적인 건강상태가 좋지 않다고 응답한 대상의 사회복지서비스 이용량이 높았다.
3. 결론
본 연구를 통해 강재신이 제언한 내용은 아래와 같다.
첫째, 빈곤가구의 공공부조서비스 이용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개편을 통해 지원 대상자의 규모가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빈곤가구의 특성과 욕구에 적합한 다양한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셋째, 저소득 노인에 대한 소득보장 제도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빈곤 가구의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을 증가시키기 위해 신체적 및 정신적 건강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사회복지서비스 이용 대상의 다양화, 다층화 및 이용 정보에 대한 접근성이 제고되어야 할 것이다.
4. 참고문헌
1. 강재신, 『빈곤가구의 특성이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서울복지실태조사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5
2. 김안나·최승아, 『결혼이주여성의 서비스 이용에 관한 영향요인 연구』, 보건사회연구, 제32권 제2호, 2012
일곱 째, 서울시 거주중인 중위소득 50% 이하 빈곤가구의 가처분소득은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줄 것이다.
여덟 째, 서울시 거주중인 중위소득 50% 이하 빈곤가구의 사회복지기관 접근성은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줄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12년 기준의 중위소득 50% 이하 저소득층 및 빈곤가구이며 연구대상의 규모는 3,780 조사가구로 선정하였다. 측정도구는 ①사회복지서비스 이용 정도, ② 소인성 요인, ③욕구 요인, ④가능성 요인이다.
6) 자료 분석 및 결과
(1) 분석 방법
본 연구 자료는 SPSS 20.2 프로그램으로 빈도분석, 평균, 표준편차를 측정하여 통계 분석하였으며 t-test 분석을 통해 각 독립변수에 대한 평균값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다중회귀분석으로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대해 영향을 끼치는지도 파악하였다.
(2) 분석 결과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끼치는 빈곤가구의 특성은 위의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나타냈다. “빈곤가구의 특성이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결과를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 3,749명 중 빈곤가구에 속하는 1,074명을 대상으로 소인성 요인으로는, 가구주의 나이가 많으면 사회복지서비스의 이용이 많아진다. 하지만 성별, 교육수준은 유의미한 관계가 없었다. 욕구 요인으로 장애가 있고, 만성질환이 있으며 주관적인 건강상태가 좋지 않다고 응답한 대상의 사회복지서비스 이용량이 높았다.
3. 결론
본 연구를 통해 강재신이 제언한 내용은 아래와 같다.
첫째, 빈곤가구의 공공부조서비스 이용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개편을 통해 지원 대상자의 규모가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빈곤가구의 특성과 욕구에 적합한 다양한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셋째, 저소득 노인에 대한 소득보장 제도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빈곤 가구의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을 증가시키기 위해 신체적 및 정신적 건강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사회복지서비스 이용 대상의 다양화, 다층화 및 이용 정보에 대한 접근성이 제고되어야 할 것이다.
4. 참고문헌
1. 강재신, 『빈곤가구의 특성이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서울복지실태조사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5
2. 김안나·최승아, 『결혼이주여성의 서비스 이용에 관한 영향요인 연구』, 보건사회연구, 제32권 제2호, 2012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