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상담
2) 정신분석 상담이론
(1) 정신분석 상담 기법
3) 분석치료 상담이론
4) 프로이드와 융의 견해
3.
결론
4.
참고문헌
서론
2.
본론
1) 상담
2) 정신분석 상담이론
(1) 정신분석 상담 기법
3) 분석치료 상담이론
4) 프로이드와 융의 견해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개인의 인격은 개성화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융은 이 개성화 과정이 진행되면서 인격이 더욱 더 성숙하게 형성되어 갈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4) 프로이드와 융의 견해
프로이드는 인간 마음 속 스스로 의식할 수 없는 무의식의 영역이 있다고 주장했고 이러한 무의식은 인간의 행동에 매우 큰 영향을 주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 무의식은 아래의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의식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 마음”이다. 어떤 것을 의식하게 되면 곤란해지는 마음들이 사람의 의식 깊이 숨어 있다.
둘째, “의식 불가능한 마음”이다. 의식되어지지 않을 정도로 직감적인 마음이다.
셋째, “의식할 필요가 없는 마음”이다. 인간의 생리적이거나 심리적인 활동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것과 같은 마음이다. 어떤 활동에 대해서 인식하지 않을 만큼 자연적인 것이다.
프로이드는 ‘무의식’이란 우리의 생각보다 훨씬 더 넓은 영역을 차지하고 있음을 주장하였고 융은 그러한 프로이드의 주장을 높이 평가하였다. 융은 프로이드의 이론을 지지하였고 자신의 이론에도 프로이드의 ‘무의식’을 접목하였다.
프로이드는 무의식이 억압된 것이라고 하였지만 융은 그것으로 인한 가능성을 보았다. 프로이드는 무의식을 맹목적인 것, 무분별한 것으로 보고 부정적인 시각으로 보았지만, 융은 그 부정적인 면과 더불어 긍정적인 면이 있다고 여겨 큰 관심을 보인 것이다. 융은 정신을 사고, 느낌과 같은 무의식을 모두 포괄하여 정의하였다.
3. 결론
본론에서는 프로이드와 칼 융의 정신분석학 이론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두 학자는 같은 ‘무의식’에서 출발하였지만 이내 다른 견해를 보이며 각자의 연구에 매진하였다. 분석심리학에서 무의식이란 굉장히 방대한 영역을 포함하고 있는데 프로이드와 융의 이론에 의해 쉽게 정리된 이론을 알아볼 수 있었다. 이 두 학자의 이론을 바탕으로 인간의 무의식은 인간이 실제 살아가는데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요인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무의식 속에 존재하는 스스로의 모습을 찾아보고 인식할 수 있게 된다면 자신의 정신적 갈등 및 스트레스에서 유발되는 문제를 해결하는데 좀 더 수월해지지 않을까 생각되는 바이다.
4. 참고문헌
1. 신미경, 『융의 분석심리학적 고나점에서 본 민화의 예술치료적 의미에 대한 연구』, 광주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4
2. 한재선, 『융과 프로이드의 종교에 관한 연구』, 성공회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5
4) 프로이드와 융의 견해
프로이드는 인간 마음 속 스스로 의식할 수 없는 무의식의 영역이 있다고 주장했고 이러한 무의식은 인간의 행동에 매우 큰 영향을 주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 무의식은 아래의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의식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 마음”이다. 어떤 것을 의식하게 되면 곤란해지는 마음들이 사람의 의식 깊이 숨어 있다.
둘째, “의식 불가능한 마음”이다. 의식되어지지 않을 정도로 직감적인 마음이다.
셋째, “의식할 필요가 없는 마음”이다. 인간의 생리적이거나 심리적인 활동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것과 같은 마음이다. 어떤 활동에 대해서 인식하지 않을 만큼 자연적인 것이다.
프로이드는 ‘무의식’이란 우리의 생각보다 훨씬 더 넓은 영역을 차지하고 있음을 주장하였고 융은 그러한 프로이드의 주장을 높이 평가하였다. 융은 프로이드의 이론을 지지하였고 자신의 이론에도 프로이드의 ‘무의식’을 접목하였다.
프로이드는 무의식이 억압된 것이라고 하였지만 융은 그것으로 인한 가능성을 보았다. 프로이드는 무의식을 맹목적인 것, 무분별한 것으로 보고 부정적인 시각으로 보았지만, 융은 그 부정적인 면과 더불어 긍정적인 면이 있다고 여겨 큰 관심을 보인 것이다. 융은 정신을 사고, 느낌과 같은 무의식을 모두 포괄하여 정의하였다.
3. 결론
본론에서는 프로이드와 칼 융의 정신분석학 이론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두 학자는 같은 ‘무의식’에서 출발하였지만 이내 다른 견해를 보이며 각자의 연구에 매진하였다. 분석심리학에서 무의식이란 굉장히 방대한 영역을 포함하고 있는데 프로이드와 융의 이론에 의해 쉽게 정리된 이론을 알아볼 수 있었다. 이 두 학자의 이론을 바탕으로 인간의 무의식은 인간이 실제 살아가는데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요인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무의식 속에 존재하는 스스로의 모습을 찾아보고 인식할 수 있게 된다면 자신의 정신적 갈등 및 스트레스에서 유발되는 문제를 해결하는데 좀 더 수월해지지 않을까 생각되는 바이다.
4. 참고문헌
1. 신미경, 『융의 분석심리학적 고나점에서 본 민화의 예술치료적 의미에 대한 연구』, 광주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4
2. 한재선, 『융과 프로이드의 종교에 관한 연구』, 성공회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5
추천자료
정신분석 상담이론과 분석치료 상담이론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시오
상담이론과실제)정신분석 상담이론과 분석치료 상담이론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시오
[상담이론과실제 과제] 정신분석 상담이론과 분석치료 상담이론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 분...
[상담이론과실제]정신분석 상담이론과 분석치료 상담이론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시오
상담이론과실제 ) 정신분석 상담이론과 분석치료 상담이론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시오
[상담심리학 2023]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 로저스의 인간중심 상담이론, 엘리스의 합리정...
정신분석 상담이론과 분석치료 상담이론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시오
상담치료와실제_정신분석 상담이론과 분석치료 상담이론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