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말아톤)를 보고 등장인물이 해당하는 정신장애를 제안하고 그 근거를 임상적인 특징을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제시하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화(말아톤)를 보고 등장인물이 해당하는 정신장애를 제안하고 그 근거를 임상적인 특징을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제시하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Ι. 머리말

Ⅱ. 본론
1. 자폐장애의 의학진단 기준과 정의
2. 영화 말아톤
1) 실화바탕 제작
2) 줄거리
3. 말아톤에서 나타난 자폐장애의 행동특성
1) 특정분야에 집중하는 모습
2) 신체적 반응
3) 얼룩말 무늬 사건
4) 감정 결핍
5) 환상

Ⅲ. 맺음말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과는 많이 다르다. 억양이 들어가야 하는 부분이 없는 경우도 많다.
3) 얼룩말 무늬 사건
초원이는 얼룩말을 굉장히 좋아한다. 거의 심취해하는 수준이며, 당연한 말이겠지만, 자신의 행동이 어떠한 결과를 낳을지 잘 모른다. 지하철에서 어떤 여성이 얼룩말 무늬 치마를 입자, 이를 만져서 큰 난리가 나게 된다. 자신이 좋아하는 것에 대해 확실하게 몰두하는 특징이 나타났다고 볼 수 있겠다.
4) 감정 결핍
말아톤이 후반부에 좋게 끝나서 그렇지 은근히 갈등도 많고 슬픈 감정표현이나 다소 해학적인 부분도 나타난다. 그런데 그 중심에 있는 초원이는 어머니나 코치, 동생의 감정을 이해하지 못한다. 물론, 어머니가 아프자 약간의 감정표현이 나타나기는 하는데 다소 서툰 느낌이 강하다.
5) 환상
초원이는 극 후반부에 스프링클러를 맞으면서 모두가 자신을 응원하는 환상을 본다. 사실, 이 환상의 경우 영화에서 감동을 주기 위해 표현해낸 것이기에, 자폐아가 이러한 특색을 지니고 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그러나 영화에서 나타난 특성이라 생각하고 본다면, 자신만의 세계를 가지고 있고 그게 좋아하는 것을 통해 나타난다고 볼 수 있겠다.
Ⅲ. 맺음말
지금까지 영화 말아톤을 통해 자폐스펙트럼장애에 대해서 상세하게 분석해보았다. 말아톤은 명작이지만, 지금 나오면 더 좋은 내용으로 나올 수 있을 것 같다. 20여년 전에 비해서 일반인들도 자폐스펙트럼장애에 대한 이해도가 굉장히 많이 올라간 상태이기 때문이다. 과거에 비해 장애에 대한 인식이 다소 개선되었으며, 함께 나아가는 분위기(정상화 이론)이기 때문이다.
추정이지만, 리메이크 형식으로 다시 나오게 된다면 갈등이나 이런 것들이 좀 더 적게 그려질 것 같고 이들을 도와주는 전문적인 상담사도 존재할 것 같다. 아무래도 그러한 요소들이 들어가게 된다면, 극의 재미는 다소 떨어지겠지만 말이다.
지금도 자폐스펙트럼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치료를 위한 방법부터, 상담 방식, 부모가 가져야할 마음이나 행동 등 과거보다 더더욱 세밀하게 분석되고 있다. 자폐증을 완전히 고칠 수는 없겠지만, 조기 발견을 통한 약간의 완화는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Ⅳ. 참고문헌
함주희, 2021,「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비디오모델링 중재에 대한 메타분석 : 단일대상연구 중심으로」,『한양대학교 대학원 아동심리치료학과 석사학위논문』.
포쓰저널(http://www.4th.kr/news).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3.06.27
  • 저작시기2023.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142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