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문헌고찰
-골절
-골절 치료
-골절 치유 과정
-증상, 진단
-치료, 간호
3. 본론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목표
-간호계획
-간호수행
-간호평가
4. 결론
2. 문헌고찰
-골절
-골절 치료
-골절 치유 과정
-증상, 진단
-치료, 간호
3. 본론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목표
-간호계획
-간호수행
-간호평가
4. 결론
본문내용
190/110 mmHg
1pm BP : 180/110 mmHg
2pm BP : 180/100 mmHg
수술에 관해 자꾸 물어보심
2003/4/18
진단번호
진 단 명
# 2
계속되는 고혈압과 임박한 수술과 관련된 불안
목표 : 불안이 사라지거나 불안의 정도가 감소한다
기 대 결 과
간 호 지 시
12시간 이내에 혈압이 정상범위로 유지된다.
수술전까지 수술에 대해 알고 자신감이 생긴다.
지속적으로 혈압 상태를 check하고 항고혈압제를 투여한다.
정서적, 심리적으로 지지해준다.
환자에게 수술에 대해 교육한다.
진단번호
중재날짜
중 재 내 용
# 2
2003/4/17
지속적으로 1시간마다 혈압을 check하였다.
항고혈압제인 Nifedifine 1tab을 구강으로 물과 함께 먹지 않도록 투여하였다.(내일 op)
환자에게 편안하고 안정적인 체위를 유지하도록 하였고 환자가 깨어있는 상태에서 너무 불안정한 모습이 보여 될 수 있으면 수면을 취하도록 권유하였다.
수술 절차와 방법등을 미리 알려주었고 수술의 중요성을 환자와 보호자에게 설명하였다.
통증과 관련하여 척수마취를 하고 무통주사도 있다고 이야기해주어 통증에 관한 걱정과 불안감이 감소되도록 하였다.
환자에게 같은 수술을 하신 다른 분을 예로 들어 수술 성공률과 치유과정을 설명하여 불안을 줄일 수 있도록 도와드렸다.
보호자를 비롯한 주위사람들의 격려를 받을 수 있도록 부탁하여 정서, 심리적 안정을 찾을 수 있게 하였다.
환자분께는 잘할 수 있으리라는 격려의 말로 안심시켜 편안한 마음으로 수술에 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진단번호
평가날짜
평 가 내 용
# 2
2003/4/18
(op 당일 오전8시)
지속적인 혈압check와 약물 투여로 수술 당일 아침에는 정상 혈압을 유지하여 수술에 무사히 들어갈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수술에 대한 불안감을 감소시키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으로 환자분께 접근하였으나 수술실에 들어가기 전까지도 환자는 불안해하고 불안정해 보였다. 하지만 말로는 “자고 일어나면 되지 뭐”하며 자신감을 갖기 위해 노력하시는 모습이 보였다.
혈압을 정상으로 유지시켜 혈압에 대한 불안은 해결되었으나 수술에 대한 불안은 완전히 해결하지 못해 아쉬웠다.
# 3 - 수술로 인한 통증
진단번호
발생날짜
간 호 진 단
해결날짜
서 명
# 3
2003/4/18
▶ 과학적 근거
통증은 환자가 고통이라고 표현하는 주관적 증상으로 수술의 결과로 특정한 신경말단부의 자극 또는 외상에 의해 초래된다.
▶ 합리적 근거
“간호사님, 진정제 좀 놔줘요.”
“다리를 못 움직이겄어. 아이구...”
통증을 호소하여 매일 routine으로 들어가는 진통, 진정제 외에도 PRN으로 처방된 약물을 투여하였음.
2003/4/19
진 단 번 호
진 단 명
# 3
수술로 인한 통증
목표 : 통증이 완화되거나 사라진다
기 대 결 과
간 호 지 시
환자가 통증의 호소 없이 편안하다고 말한다.
기본적인 안위를 제공한다
처방된 약물을 투여하여 통증을 완화시킨다.
통증완화 방법을 설명하고 이용하도록 한다
환자의 불편감을 보조하기 위한 지지적 관계를 형성한다.
진단번호
중재날짜
중 재 내 용
# 3
2003/4/18
기본적으로 V/S을 check하였다.
수술 한 부위는 고정시키면서 통증이 덜하거나 통증이 없는 환자에게 가장 편안한 자세를 취하도록 하였다.
환자의 자세를 바꾸거나 자리를 옮길 때에는 아래 부분을 부목으로 지지하여 천천히 안정되게 하도록 하였다.
환자가 휴식을 충분히 취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도록 보호자에게 이야기하였다.
처방된 약물을 투여하고 통증 호소시 PRN으로 처방된 Diclofenac sodium를 투여하였다.
수술 후에는 PCA를 달아 통증을 완화시키도록 하였다.(수술 전 미리 신청하여 맞을 수 있도록 준비해 두었다)
환자에게 통증을 완화할 수 있는 방법으로 연상요법이나 이완요법 등을 설명하고 이용해 보도록 권하였다. 또 자기최면이나 호흡조절을 통해 통증을 이겨보도록 하였다.
환자가 통증을 잊을 수 있도록 다른 곳에 관심을 둘 수 있는 일을 하도록 권유하였다. (예를 들어 환자분이 즐겨보시는 책을 읽는 일 등)
보호자가 환자옆에서 있으면서 환자와 많이 대화하도록 하고 격려하고 정서적 지지를 해 드리도록 하였다.
진단번호
평가날짜
평 가 내 용
# 3
2003/4/19
기본적인 안위를 제공해 드렸지만 계속 누워 있는 것으로도 불편해 하셨고 어느 정도의 통증은 약물로 완화되었다. 그러나 중재후에도 환자분이 말씀하시기에 “약이 들어갈 땐 안아픈데 다들어가고 나면 아퍼. 나 진정제 좀 놔줘” 라고 자주 말씀하셨다. 또한 가르쳐드린 통증 완화요법은 보호자들과 시간나는 대로 찾아가 이용하도록 노력해보았으나 하기 싫다고 하시며 귀찮아 하셨다.
환자분이 나이가 많이 드셔서 그런지 다른 것엔 관심을 두지 않으시고 오직 약물에 의존해서만 통증을 조절하셨다.
또한 보호자들과의 대화는 많이 하시는 편이었는데 그 대화와 격려를 통해 통증 완화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리라 짐작된다.
Ⅳ. 결 론
이번 실습을 통해서 정형외과 병동에서의 환자 케이스를 보았고 그 중에서도 고관절 대치술 환자에 대해 사례연구를 하면서 더 자세히 알 수 공부할 수 있었던 기회였다. 나름대로 간호과정에 맞춰 진단도 내려보고 계획도 세워보고 중재하고 평가까지 하면서 많은 것을 느낄 수 있는 시간이었다. 비록 중재한 대로 환자가 잘 실행해 주지는 못했지만 그래도 보람있는 시간이었다.
또한 정형외과 특성상 장기 환자가 많은데 마찬가지로 간호사도 정형외과에서는 한사람에 대한 장기간의 집중케어를 해야 한다는 것을 알았다. 그만큼 어느 곳에서나 간호사의 역할이 중요하지만 정형외과에서 만큼은 정말 중요함을 느꼈다.
참고문헌
인체해부학, 이성호 외 - 현문사 - (1999)
성인간호학 下-1, 전시자 외 - 현문사 - (2001)
임상약리학, 김옥녀 - 수문사 - (1999)
의학약어와 해설, 오송자 외 - 현문사 - (1997)
최신 임상간호메뉴얼, Sigma Theta Yau Lambda 외1인 -현문사- (1999)
간호과정, 한윤복 외 - 현문사 - (1998)
1pm BP : 180/110 mmHg
2pm BP : 180/100 mmHg
수술에 관해 자꾸 물어보심
2003/4/18
진단번호
진 단 명
# 2
계속되는 고혈압과 임박한 수술과 관련된 불안
목표 : 불안이 사라지거나 불안의 정도가 감소한다
기 대 결 과
간 호 지 시
12시간 이내에 혈압이 정상범위로 유지된다.
수술전까지 수술에 대해 알고 자신감이 생긴다.
지속적으로 혈압 상태를 check하고 항고혈압제를 투여한다.
정서적, 심리적으로 지지해준다.
환자에게 수술에 대해 교육한다.
진단번호
중재날짜
중 재 내 용
# 2
2003/4/17
지속적으로 1시간마다 혈압을 check하였다.
항고혈압제인 Nifedifine 1tab을 구강으로 물과 함께 먹지 않도록 투여하였다.(내일 op)
환자에게 편안하고 안정적인 체위를 유지하도록 하였고 환자가 깨어있는 상태에서 너무 불안정한 모습이 보여 될 수 있으면 수면을 취하도록 권유하였다.
수술 절차와 방법등을 미리 알려주었고 수술의 중요성을 환자와 보호자에게 설명하였다.
통증과 관련하여 척수마취를 하고 무통주사도 있다고 이야기해주어 통증에 관한 걱정과 불안감이 감소되도록 하였다.
환자에게 같은 수술을 하신 다른 분을 예로 들어 수술 성공률과 치유과정을 설명하여 불안을 줄일 수 있도록 도와드렸다.
보호자를 비롯한 주위사람들의 격려를 받을 수 있도록 부탁하여 정서, 심리적 안정을 찾을 수 있게 하였다.
환자분께는 잘할 수 있으리라는 격려의 말로 안심시켜 편안한 마음으로 수술에 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진단번호
평가날짜
평 가 내 용
# 2
2003/4/18
(op 당일 오전8시)
지속적인 혈압check와 약물 투여로 수술 당일 아침에는 정상 혈압을 유지하여 수술에 무사히 들어갈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수술에 대한 불안감을 감소시키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으로 환자분께 접근하였으나 수술실에 들어가기 전까지도 환자는 불안해하고 불안정해 보였다. 하지만 말로는 “자고 일어나면 되지 뭐”하며 자신감을 갖기 위해 노력하시는 모습이 보였다.
혈압을 정상으로 유지시켜 혈압에 대한 불안은 해결되었으나 수술에 대한 불안은 완전히 해결하지 못해 아쉬웠다.
# 3 - 수술로 인한 통증
진단번호
발생날짜
간 호 진 단
해결날짜
서 명
# 3
2003/4/18
▶ 과학적 근거
통증은 환자가 고통이라고 표현하는 주관적 증상으로 수술의 결과로 특정한 신경말단부의 자극 또는 외상에 의해 초래된다.
▶ 합리적 근거
“간호사님, 진정제 좀 놔줘요.”
“다리를 못 움직이겄어. 아이구...”
통증을 호소하여 매일 routine으로 들어가는 진통, 진정제 외에도 PRN으로 처방된 약물을 투여하였음.
2003/4/19
진 단 번 호
진 단 명
# 3
수술로 인한 통증
목표 : 통증이 완화되거나 사라진다
기 대 결 과
간 호 지 시
환자가 통증의 호소 없이 편안하다고 말한다.
기본적인 안위를 제공한다
처방된 약물을 투여하여 통증을 완화시킨다.
통증완화 방법을 설명하고 이용하도록 한다
환자의 불편감을 보조하기 위한 지지적 관계를 형성한다.
진단번호
중재날짜
중 재 내 용
# 3
2003/4/18
기본적으로 V/S을 check하였다.
수술 한 부위는 고정시키면서 통증이 덜하거나 통증이 없는 환자에게 가장 편안한 자세를 취하도록 하였다.
환자의 자세를 바꾸거나 자리를 옮길 때에는 아래 부분을 부목으로 지지하여 천천히 안정되게 하도록 하였다.
환자가 휴식을 충분히 취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도록 보호자에게 이야기하였다.
처방된 약물을 투여하고 통증 호소시 PRN으로 처방된 Diclofenac sodium를 투여하였다.
수술 후에는 PCA를 달아 통증을 완화시키도록 하였다.(수술 전 미리 신청하여 맞을 수 있도록 준비해 두었다)
환자에게 통증을 완화할 수 있는 방법으로 연상요법이나 이완요법 등을 설명하고 이용해 보도록 권하였다. 또 자기최면이나 호흡조절을 통해 통증을 이겨보도록 하였다.
환자가 통증을 잊을 수 있도록 다른 곳에 관심을 둘 수 있는 일을 하도록 권유하였다. (예를 들어 환자분이 즐겨보시는 책을 읽는 일 등)
보호자가 환자옆에서 있으면서 환자와 많이 대화하도록 하고 격려하고 정서적 지지를 해 드리도록 하였다.
진단번호
평가날짜
평 가 내 용
# 3
2003/4/19
기본적인 안위를 제공해 드렸지만 계속 누워 있는 것으로도 불편해 하셨고 어느 정도의 통증은 약물로 완화되었다. 그러나 중재후에도 환자분이 말씀하시기에 “약이 들어갈 땐 안아픈데 다들어가고 나면 아퍼. 나 진정제 좀 놔줘” 라고 자주 말씀하셨다. 또한 가르쳐드린 통증 완화요법은 보호자들과 시간나는 대로 찾아가 이용하도록 노력해보았으나 하기 싫다고 하시며 귀찮아 하셨다.
환자분이 나이가 많이 드셔서 그런지 다른 것엔 관심을 두지 않으시고 오직 약물에 의존해서만 통증을 조절하셨다.
또한 보호자들과의 대화는 많이 하시는 편이었는데 그 대화와 격려를 통해 통증 완화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리라 짐작된다.
Ⅳ. 결 론
이번 실습을 통해서 정형외과 병동에서의 환자 케이스를 보았고 그 중에서도 고관절 대치술 환자에 대해 사례연구를 하면서 더 자세히 알 수 공부할 수 있었던 기회였다. 나름대로 간호과정에 맞춰 진단도 내려보고 계획도 세워보고 중재하고 평가까지 하면서 많은 것을 느낄 수 있는 시간이었다. 비록 중재한 대로 환자가 잘 실행해 주지는 못했지만 그래도 보람있는 시간이었다.
또한 정형외과 특성상 장기 환자가 많은데 마찬가지로 간호사도 정형외과에서는 한사람에 대한 장기간의 집중케어를 해야 한다는 것을 알았다. 그만큼 어느 곳에서나 간호사의 역할이 중요하지만 정형외과에서 만큼은 정말 중요함을 느꼈다.
참고문헌
인체해부학, 이성호 외 - 현문사 - (1999)
성인간호학 下-1, 전시자 외 - 현문사 - (2001)
임상약리학, 김옥녀 - 수문사 - (1999)
의학약어와 해설, 오송자 외 - 현문사 - (1997)
최신 임상간호메뉴얼, Sigma Theta Yau Lambda 외1인 -현문사- (1999)
간호과정, 한윤복 외 - 현문사 - (1998)
추천자료
두개내 출혈
간호과정 적용사례 보고서(사례: 대퇴경부 골절)
[두개내 출혈] ICH (Intracranial hemorrhage)
[성인간호학][Fracture][골절]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정형외과][발골절]
[성인간호학][Fracture][골절]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정형외과 실습)
대퇴골경부골절(Femur Neck Fracture) case study
정형외과 실습일지(2주일)A+++(입퇴원 진단명,요일 주제별 요약/정리(case환자 문헌고찰부터~...
대퇴경부골절 케이스(Femur neck FX, 대퇴경부골절 케이스, 대퇴경부골절 간호과정, 대퇴경부...
정형외과실습 대퇴경부 대퇴골 골절 케이스 스터디 femur neck fx fracture case study
정형외과 케이스 - Fracture of distal tibiofibula and left ankle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