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수업 설계에 대해
2. ADDIE 모형
3. 글레이져의 모형
4. 한국교육개발원의 수업 과정 모형
2. ADDIE 모형
3. 글레이져의 모형
4. 한국교육개발원의 수업 과정 모형
본문내용
있음
ㆍ총괄평가 : 이는 최초에 설정된 교수목표가 교수활동을 통해서 어느 정도 달성되었는가를 측정하기 위한 것
4. 한국교육개발원의 수업 과정 모형
ㆍ한국교육개발원에서는 우리 대한민국의 현실을 전제로 교사에게 과중한 직무부담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가능한 개인차를 고려한 수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수업 과정에 대한 모형을 개발하였다. 수업 과정의 모형 단계는 다음과 같다.
ㆍ계획단계 → 진단평가단계 → 지도단계 → 발전 단계 → 평가단계
ㆍ계획단계
- 학습과제 분석
- 수업계획(수업목표 명료화, 수업내용의 세분화를 통해 학습 요소 간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
ㆍ진단평가단계
- 학습자의 출발점 행동을 진단하는 단계
- 학습자들이 수업하는 데 어느 정도 준비가 되어 있는가를 진단하고 이에 대한 교정조치를 취하는 단계
ㆍ지도단계
- 본 수업이 이루어지는 단계
- 전체 수업 배정 시간의 80% 정도를 차지
ㆍ발전 단계 : 학습된 내용에 대한 학생들의 학습 성취도를 평가해 보고 그 결과에 따라 심화ㆍ보충학습의 기회를 제공하는 단계
ㆍ평가단계 : 총괄평가가 이루어지며, 학습과제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단계
(여기서 총괄평가는 절대평가 방법에 따라 이루어져야 함)
ㆍ총괄평가 : 이는 최초에 설정된 교수목표가 교수활동을 통해서 어느 정도 달성되었는가를 측정하기 위한 것
4. 한국교육개발원의 수업 과정 모형
ㆍ한국교육개발원에서는 우리 대한민국의 현실을 전제로 교사에게 과중한 직무부담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가능한 개인차를 고려한 수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수업 과정에 대한 모형을 개발하였다. 수업 과정의 모형 단계는 다음과 같다.
ㆍ계획단계 → 진단평가단계 → 지도단계 → 발전 단계 → 평가단계
ㆍ계획단계
- 학습과제 분석
- 수업계획(수업목표 명료화, 수업내용의 세분화를 통해 학습 요소 간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
ㆍ진단평가단계
- 학습자의 출발점 행동을 진단하는 단계
- 학습자들이 수업하는 데 어느 정도 준비가 되어 있는가를 진단하고 이에 대한 교정조치를 취하는 단계
ㆍ지도단계
- 본 수업이 이루어지는 단계
- 전체 수업 배정 시간의 80% 정도를 차지
ㆍ발전 단계 : 학습된 내용에 대한 학생들의 학습 성취도를 평가해 보고 그 결과에 따라 심화ㆍ보충학습의 기회를 제공하는 단계
ㆍ평가단계 : 총괄평가가 이루어지며, 학습과제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단계
(여기서 총괄평가는 절대평가 방법에 따라 이루어져야 함)
추천자료
체제적 설계와 구성주의 설계 비교 / Dick & Carey 의 수업설계모형 / 수업의 형태
사회과 교수-학습설계의 기초, 수업설계 적용의 실제, 사회과의 평가
프로젝트중심학습(프로젝트수업, PBL) 개념과 유형, 프로젝트중심학습(프로젝트수업, PBL) 특...
[수업설계][수업설계전략]수업설계의 의미, 수업설계의 원리, 수업설계의 목적과 수업설계의 ...
Keller의 ARCS 모델의 장점과 단점, 구성요소에 따른 전략, 수업설계
PBL(프로젝트수업, 프로젝트중심학습)의 의의와 요소, PBL(프로젝트수업, 프로젝트중심학습)...
PBL(프로젝트학습, 프로젝트수업)의 원리와 특징, PBL(프로젝트학습, 프로젝트수업)의 목적과...
수업설계하기-우열의 법칙-
아동문학 교육과 관련한 주요이론을 반응중심 문학활동과 통합적 문학활동의 개념을 중심으로...
(2022학년도 1학기 기말시험, 교육과정) 공통형, 교육과정에 대한 철학, 사회학, 심리학의 영...
소개글